• 최종편집 2024-11-06(수)

뉴스
Home >  뉴스

실시간뉴스
  • 도쿄관광한국사무소, 도쿄 여행을 더욱 편리하고 여유롭게 만들어주는 신규 호텔 3곳 소개
    소비자불만119=유인옥/기자] 2025년 2월 17일 --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계속해서 신규 오픈하고 있는 도쿄의 숙박 시설 중에서 신규 및 리뉴얼한 호텔 3곳을 소개했다. 관광객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지역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호텔부터, 관광지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아리아케’에 위치한 호텔까지 관광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엄선된 호텔이 이번 소개 리스트에 올랐다.YOTEL 도쿄 긴자(YOTEL東京銀座)2024년 12월 16일 신규 오픈한 글로벌 호텔 브랜드 ‘YOTEL 도쿄 긴자’는 다이닝과 쇼핑의 중심지로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쿄의 관광지 긴자에 있다. 또한 도쿄역에서 도보 15분 거리에 있어 신칸센과 하네다 및 나리타 공항으로의 접근이 매우 편리하다.· 여행객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객실 타입가장 객실 수가 많은 퀸 룸을 비롯해 퍼스트 클래스 트윈, 2층 침대를 갖춘 프리미엄 트리플 패밀리 커넥트 등 다양한 타입의 객실이 준비돼 있다. 각 객실에는 YOTEL의 시그니처인 SmartBed™, 고속 WiFi, 무선 충전 등의 다양한 편의시설이 마련됐다. 또한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지는 큰 창문을 통해 도쿄 타워, 긴자 거리, 신칸센의 경치를 감상하며 도쿄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다.· 주소: 도쿄도 미나토구 신바시1-7-7· 공식사이트: https://www.yotel.com/ja/yotel-tokyo-ginza슈퍼 호텔 이케부쿠로 니시구치 천연 온천(スーパーホテル池袋西口天然温泉)2024년 12월 26일 리뉴얼 오픈한 ‘슈퍼 호텔 이케부쿠로 니시구치 천연 온천’은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이케부쿠로역의 C1b 출구에서 엘리베이터까지 이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신설돼 비에 젖지 않고도 직접 호텔까지 이동할 수 있다.· ‘레이디스룸’의 등장으로 더욱 다양해진 객실 타입이번 리뉴얼에서는 패밀리 룸과 엑스트라 룸, 커넥팅 등의 새로운 타입 객실과 더불어 여성 투숙객도 안심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레이디스룸’도 마련했다. 객실 수는 113실에서 201실로 늘어나 기존의 주 고객층이었던 비즈니스 고객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 이용객과 여성 고객 등 투숙객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한층 더 새롭게 남녀별 천연 온천 대욕장을 설치해 오쿠유가와라 온천(奥湯河原温泉)으로부터 운반한 온천수를 활용해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온천욕을 즐길 수 있다.· 주소: 도쿄도 도시마구 이케부쿠로2-14-1· 공식사이트: https://www.superhotel.co.jp/s_hotels/jrikebukuro더블트리 바이 힐튼 도쿄 아리아케(ダブルツリーbyヒルトン東京有明)2024년 12월 20일 신규 오픈한 ‘더블트리 바이 힐든 도쿄 아리아케’는 유리카모메 아리아케역·린카이선의 고쿠사이텐지조역에서 도보 약 1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도쿄 빅 사이트, 오다이바, 시부야, 신주쿠까지 환승 없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어 비즈니스와 레저 등의 니즈에 최적화된 입지라 할 수 있다.· 7가지 타입, 11종의 객실 마련모든 객실에는 분리형 욕조와 레인 샤워기가 갖춰져 있다. 게스트룸(22㎡)에는 비즈니스와 1인 여행객은 물론 가족, 친구, 소중한 사람과 함께 머물 수 있는 퀸 베드가 설치된 객실 타입도 준비했다. 또한 게스트룸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보다 넓은 공간에서 고객의 니즈에 맞게 침대 타입을 선택할 수 있는 디럭스 룸(26~30㎡)은 최대 4명까지 이용 가능하도록 세 가지의 침대를 설치했다. 한층 더 특별한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프리미엄룸(43㎡)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뉴스
    2025-02-18
  • 죽음의 원인은 무시하고"조작"서류는 인정하는 세상 !!!
    소비자의" 눈" 위 사건의 쟁점은 편법으로 작업자를 속여서 공사하게 하고 작업 도중 사망사고가 발생해서 시공자는 작업자를 하도급 업자라고 해서 책임을 면하고 산재 사고로 처리 승인도 못 받은 억울한 사건이다. 1. 법은 공정해야 한다면 편법은? 위에서 말하는 건축주 이ㅇㅇ은 위의 주소에 농기계 보관창고를 짓는다며 옹진군 영흥면에 100 m2 농기계 보관창고로 속여서 신고만 하고 건축비의 70% 지원금을 받아서 농기계 보관창고는 건축을 안 하고 받은 자금으로 10년 전에 건축이 돼 있던 쌀 처리장 증·개축 공사를 허가도 받지 않고 증·개축 공사 작업 중 추락해서 10여 년 전 때려 박아 놓은 콘크리트에 머리를 충격 당해 사망했고 농기계 보관창고였다면 머리는 다치지 않는다. 왜? 농기계 보관창고는 바닥에 콘크리트 때려 박기가 없다. 미곡처리장 증·개축 공사를 하는 관계로 작업자는 머리를 심하게 다쳐 병원에 입원 일주일 만에 사망한 것이다, 2. 위의 시공자는 증·개축 공사는 무리 위의 시공자 응응 농자재 대표는 안 모 씨 안산 거주자의 사업자등록증으로 옹진군 영흥면에 주거하는 박ㅇㅇ은 남의 명의로 옹진군 비닐하우스 공사를 맡아서 하는 시공 업체이다. 위의 시공자는 남의 명의라도 작업자들을 세무서에 적법하게 신고해서 작업을 시켜야 했는데 사업자 명의 (안ㅇㅇ)에게 세금과 보험료 등등이 부담되는 관계로 직원도 일당으로 지급해서 세금을 피해 왔는데 이번의 사고로 남의 명의 사용 적발로 많은 과태료를 냈다. 3. 건축주는 증·개축이라 산재 사고 언급 건축주도 원래 하고자 했던 비닐하우스 농기계 보관하는 창고를 짓는다면 창고 내부에 트랙터 경운기 탈곡기 농업에 관한 장비를 말 그대로 보관해서 농업에 사용하는 농기계 창고는 창고 내부 바닥에 콘크리트는 때려 박기 안 하는 것이 원칙인데 건축주는 옹진군에 농기계 보관창고를 짓는다며 편법으로 자금을 지원받았고 공사도 10여 전에 지어져 있던 미곡처리장이 작아서 철거하고 크게 증축 공사를 하게 되자 건축주는 시공자 ㅇㅇ 농자재와 계약서 작성하면서 산재 사고를 언급하자 시공자 박ㅇㅇ 부인은 계약서에 산재 사고처리는 시공자가 책임을 진다고 자필로 서명했다. 3. 시공자는 할 수가 있는 공사인가. 남의 명의로 사업장 운영을 하니까 직원이 1명이 있는데 직원 명의로 트럭을 구매해서 자재를 현장에 운반하는 직원도 보험을 들어주지도 못하는 것은 남의 사업자 부담 때문에 공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가 없는 사업자인데 어떻게 산재도 가입도 안 하고 산재 처리는 시공자가 책임을 진다고 했는지 알수 없는 일이고 산재 처리해준다고 해놓고 왜 안 해주냐고 하자 시공자 박ㅇㅇ 답변은 건축주와 산재 처리 문구는 사고 난 후에 건축주 대신해 책임진다는 내용으로 계약서에 서명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한 것이다. 4. 건축주는 무허가 증·개축 사고의 책임은? 건축주는 허가도 없는 무허가 공사를 했고 시공자는 남의 명의로 산재 보험 가입도 안 하고 증·개축 공사를 감추기 위해서 사고 현장을 다른 장소의 번지에 농기계 보관창고를 짓는다고 속임수를 써서 공사하게 했는데 작업자던 하도급을 준 것이던 시공자는 산재 책임을 진다고 계약했으면 작업자에게도 사실 얘기해야 하는데 원인은 무허가 불법 편법으로 공사하면서 옹진군청에 지원금 받았고 작업자를 속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사망한 작업자 김 0화가 10년이 넘게 몸을 담고 있던 경기도 시흥시 소재 00 농자재에서 이 공사를 하려고 도면도 다 그려서 옹진군에 제출했는데 농기계 보관창고가 아니고 증축 공사라 문제가 있다고 하던 중에 비닐하우스 00 농자재가 시공하게 된 것이다. 5. 근로복지공단에 가짜서류 제출. 시공자는 근로복지공단에 사망한 김 0 화가 원청이고 현장 소장이 되는 서류를 만들어서 원도급자로 만들어 250만 원의 인건비 공사하는 작업자를 소장 원도급자 이렇게 서류를 꾸밀 수가 있었던 것은 시공자 박ㅇㅇ은 사망사고 발생 후 자기의 잘못을 알고 매일매일 술만 마시다가 사업자를 빌려준 (안ㅇㅇ)이 안산에 있는 노무사를 1.500만 원 수임료를 주고 서류를 조작해서 사업자로 만들었던 것은 사자는 말이 없는 관계도 있고 유가족도 당시 망자의 이모할머니 여성스러운 분이 천방지축으로 사업주의 산재 보험처리 해준다는 꼬임수에 4개월이 되도록 근로복지공단에 문의도 해보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주는 거금을 주고 노무사를 선임해서 서류를 조작해서 4개월 동안 형사 처벌 혐의없음으로 끝이 났어도 유가족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 6. 법원도 유사한 판례를 적용하는데. 이 사건도 옹진군에 농자재 공사하는 업체가 4개가 있는데 모두가 이렇게 작업자를 고용해서 돈내기 인건비 도급 주는 것은 관행처럼 돼 있다. 그것은 옹진군은 서해5도를 끼고 있어서 사업주가 관리할 수가 없어서 이렇게 인건비 따먹기로 작업을 시키는데 이번의 사고를 발생시킨 사업자 박ㅇㅇ은 남의 명의 사업자로 세무서 신고나 산재 보험이나 4대 보험 자체가 없이 세금 신고 안 하고 변칙으로 하는 업체는 응응 농자재만 이렇게 불법으로 세무서 신고 없이 사업하는 것이지 다른 업체들은 세무서에 근로자로 임금을 책정해서 신고해 주고 작업자에게 일 관리 맡기는 관계로 경비 조로 쓰라고 노임을 몇 공수 더 책정해 주고 작업을 시키고 사고가 나도 산재 처리는 문제가 없는데 여기서 사망한 김 화는 건축주도 무허가 시공자도 남의 명의 어떻게든 죽은 자와 유가족을 속이고 면죄부를 받는 것만이 살길이고 근로복지공단은 노무사와 근로 감독이 짜고 서류를 완벽하게 일방적으로 꾸며서 제출했으니 사망한 사람과 유가족은 억울하고 분통이 터지는 일이고 약자의 서러움이 개탄스럽다.
    • 뉴스
    2024-05-23
  • 세상 인간의 무한도전 7 Real Transforming Vehicles You Didn't Know Existed ▶ 1
    세상 인간의 무한도전 7 Real Transforming Vehicles You Didn't Know Existed ▶ 1
    • 뉴스
    2022-01-20
  • 미주 LA 가요무대 공연 실황!
    미주 LA 가요무대 공연 실황!리스트에 이미지출력을 원하신다면 대표이미지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 뉴스
    2022-01-06

실시간 뉴스 기사

  • 서울대 공대 윤성로 교수팀, 엔비디아 ‘아카데믹 그랜트 프로그램’ 선정… 멀티모달·멀티에이전트 AI 연구 박차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및 협동과정 인공지능 전공 소속 윤성로 교수 연구진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선도 기업인 엔비디아(NVIDIA)의 ‘아카데믹 그랜트 프로그램(Academic Grant Program)’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글로벌 AI 연구의 중심에서 기술적 선도력을 인정받았음을 시사하는 이번 프로그램 선정은 향후 한국의 AI 연구 역량 제고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엔비디아의 아카데믹 그랜트 프로그램은 전 세계 교육기관의 AI 연구진 중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연구팀을 대상으로, AI 연구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최신 AI 연구에는 대량의 GPU (연산장치) 자원이 필수적이지만, 대학은 예산과 전력 등의 제약으로 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AI 전문 인력 양성에도 장애가 되고 있다. 엔비디아는 이런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아카데믹 그랜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진에 GPU 자원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윤성로 교수 연구진의 ‘Towards Robust and Trustworthy Multi-modal Multi-agent Systems’ 프로젝트는 신뢰성과 견고함을 갖춘 차세대 멀티모달·멀티에이전트 AI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진은 프로그램 선정으로 엔비디아로부터 총 2만6000 GPU-시간(GPU-Hours)을 연구 지원 형태로 기부받았다. 이는 클라우드 기반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인 새턴 클라우드(Saturn Cloud)를 통해 제공되며, AI 분야 최첨단 연구를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연구진은 주어진 GPU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해 일반적인 대학 연구실에서는 수행이 불가능한 수준의 대규모 실험 및 모델 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며, 이는 학술대회 논문 발표, 기술 시연, 미디어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 성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박사과정 중 이번 연구에 참여하는 목지수 연구원은 “평소에는 상상도 못 했던 많은 수의 GPU를 활용해 연구를 수행하게 돼 크게 기대된다”며 “글로벌 기업의 지원 아래 첨단 AI 연구를 수행한 경험은 앞으로 AI 분야의 핵심 인재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해당 프로젝트의 혁신성과 사회적 파급력을 높이 평가하며 이 연구를 통해 엔비디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첨단 인공지능 연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널리 알려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산업계와 학계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AI 생태계의 선순환을 도모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윤성로 교수는 “엔비디아의 이번 지원은 고성능 GPU 자원이 필요한 AI 연구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멀티모달 및 멀티에이전트 기술의 신뢰성과 실용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울대 윤성로 교수 연구진은 글로벌 AI 선도기업인 엔비디아와 수년에 걸쳐 산학협력 관계를 쌓아왔으며, AI 분야 세계적 학술대회에서 공동으로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등 함께 다양한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윤성로 교수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2025 제3회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축제 & 아트페어’ 성황리에 종료
    대한민국 전통문화의 가치와 비전을 현대에 맞게 재조명하며 세계를 향한 발걸음을 내디딘 ‘2025 제3회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축제 & 아트페어’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이하 전승원)의 설립 10주년을 기념한 이번 축제는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흘간 개최됐으며,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수준 높은 프로그램들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전승원 국악분과 변종혁 부이사장이 기획하고 박희태 정책기획실장이 연출했으며, 전통예술의 계승과 현대적 변화를 동시에 선보이며 국내외 관객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축제 기간 총 3500여 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는 등 높은 관심과 참여가 이뤄졌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만남이라는 축제의 핵심 메시지가 더욱 많은 사람에게 확산됐고, 대한민국 전통문화의 세계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전통 예술계 명인들의 헌신, 그 가치를 기리다 올해도 축제의 핵심 프로그램 중 하나였던 명인 명패 추대가 진행됐다. 이번 축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술인들이 명인으로 선정돼 공로를 치하받았다. - 국악창작가 김보희 -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 신영희 -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보유자 양성옥 - 한복단체총연합회 이수동 회장 - 문인화가 조영실 - 서예가 조종숙 각 예술인에게는 명인패와 문인화가 김무호 이사장이 준비한 합죽선이 증정됐다. 이는 그들의 공로에 대한 감사와 전통문화 전승 활동에 대한 기대를 상징한다. 개막부터 폐막까지, 고유의 전통과 현대적 창의성의 만남 축제 개막식은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이수자인 김문숙 선생의 경기민요로 막을 열며 전통 예술의 깊이를 선보였다. 이어 전해옥, 허애선 명창, 정용진 무용가 등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감동을 전하는 컬래버 공연을 펼쳤다. 특히 문인화, 전각, 서예계의 거장인 김무호, 장정영, 이주형, 오윤선이 협력해 진행한 높이 8m의 대형 드로잉 퍼포먼스는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안기며 이번 축제의 정점을 장식했다. 폐막식에서는 국악분과 변종혁 부이사장과 검예가로 활동 중인 창작분과 최유미 분과위원장의 컬래버 공연이 축제의 대미를 장식했다. 변종혁 부이사장은 국립국악원 정악연주단 단원을 지냈으며,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의 이수자로 인정받은 아티스트다. 특히 그는 2021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전통음악의 권위자로 명성을 쌓아왔다. 그의 연주는 전통문화와 창의적인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관객에게 깊은 울림과 감동을 선사했다. 최유미 분과위원장은 전통과 현대를 결합하며 예술적 가치를 높여온 주목할 만한 창작자다. 특히 검예 분야에서 그의 창작은 매우 독창적이며 표현의 경계를 넓혀왔다. 국가무형유산 승무 전수자로서 전통예술을 끊임없이 보존하고 진화시키고 있다. 전통예술, 전시와 시상까지 풍성하게 축제 기간 함께 진행된 동행전에는 200여 명이 참가했으며, 명인전과 아트페어에도 각 분야의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이 참여해 다채로운 전시를 선보였다. 특히 현대적 해석이 가미된 전통 작품들이 예술성을 높이며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아트페어에서는 23개 부스에서 98명의 작가들이 다양한 작품을 전시했으며, 미술공로상, 단체상, 특별상, 인기작가상, 우수상, 최우수상, 대상이 시상돼 축제의 열기를 더욱 고조시켰다. 최우수상은 수채화 부문의 신재희, 서예 부문의 조현성, 창작 부문의 최영민 작가가 수상했으며, 협진과 대흥피앤피에서 이들에게 각각 50만원을 후원했다. 대상은 한지화 부문의 김혜정 작가가 수상하했으며, 경우이앤씨의 후원을 통해 200만원의 상금이 지급됐다. 미래를 향한 새로운 발걸음 전승원은 지난 10년 동안 성공적으로 다양한 전통물을 보존하며 새로운 콘텐츠로 발전시켰다. 대표적으로 미술, 승무, 민요, 판소리 등 유산을 현대인들이 향유할 수 있는 공연 및 체험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해 미래 세대를 위한 계승 작업을 지속해왔다. 더불어 청년 아티스트를 위한 지원 사업도 꾸준히 실행하며, 전통예술의 장기적 유지를 위한 기반을 다졌다.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며 국내외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승원의 노력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이다. 다가올 프로그램 및 축제들이 전통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하면서 동시에 현대적 트렌드를 흡수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우리가 일군 전통으로 세계를 향한다’는 목표와 비전은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우리의 전통, 세계의 문화로 전승원은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과 세계적 네트워크를 통해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갈 것이다. 궁극적으로 전통예술을 세계적인 문화적 자산으로 만드는 데 기여하며 대한민국 전통예술의 미래를 이어갈 것이다. 더 자세한 정보와 소식은 전승원 공식 웹사이트(www.ktai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류 문화를 국제적으로 교류하기 위한 공연, 전시 등의 제안은 이메일(ktaia123@naver.com)로 문의할 수 있다.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소개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은 국악, 무용, 미술, 복식, 창작 등 5개분과의 연합단체로서 전통문화 예술의 계승발전·저변확대·융복합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발전·공연 및 작품의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화·정책 제안·예술인의 위상 제고와 화합·후진 양성 등을 통하여 대한민국의 우수한 전통예술의 보존과 문화창조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문화재청 소관 비영리법인이다. 언론연락처: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사무국 함봉균 사무총장 02-766-326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동원그룹, 대표이사 인사 단행… 기술 경영 본격화·신사업 발굴 박차
    동원그룹이 기술과 전문성에 방점을 둔 대표이사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26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동원산업 지주부문 신임 대표이사로 김세훈 총괄임원을 선임했다. 김 신임 대표는 1995년 동원그룹에 입사해 30년간 근무해 온 재무회계·전략기획 전문가다. 김 신임 대표는 입사 이후 기획관리·재경 부서를 두루 거쳤으며, 직전까지 지주부문의 총괄임원으로 무상증자와 유통 주식 수 확대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프로젝트 등을 진두지휘했다. 이와 함께 동원그룹은 창사 56년 만에 처음으로 기술부문을 신설하고,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장인성 종합기술원장을 발탁했다. 기술 전문가를 전진 배치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장 기술부문 대표는 베를린공과대학 기계공학 박사 출신으로 독일 지멘스 연구원, 현대자동차 생산기술센터장을 거쳐 지난 2022년에 동원그룹에 합류했다. 이후 그룹 내 종합기술원장 겸 최고기술책임자를 맡아 국내 최초의 완전 자동화 항만인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의 개항과 AI를 접목한 어군 탐지 드론 개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냉동공조 설비 구축 사업 등을 총괄했다. 앞으로 동원그룹의 설비 자동화와 선진화 등 기술 기반 경영을 총지휘하는 역할을 맡는다. 앞서 내정된 박상진 사업부문 대표는 1998년부터 동원그룹의 주요 부서를 두루 역임한 해양수산 전문가로, 동원산업 선박의 현대화와 지속가능한 어업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로써 동원그룹 지주사는 지주부문과 사업부문, 기술부문 대표가 그룹의 핵심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힘을 모을 계획이다. 한편, 기존 지주부문 대표였던 박문서 부회장은 미래성장위원회의 수장을 맡아 그룹의 M&A를 비롯한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주력할 예정이다. 동원그룹은 사외이사 선임에도 ‘기술’이라는 키워드를 접목시켰다. 동원산업은 한국 공학계의 구루이자 국산 엔진의 선구자인 이현순 중앙대 이사장(전 현대자동차 부회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이 사외이사는 현대차에서 한국 최초의 독자 기술 엔진인 ‘알파엔진’을 개발했다. 두산그룹에서도 최고기술책임자로서 로봇과 드론 개발 등 기술혁신 업무를 담당했다. 이와 함께 2차전지 소재, 패키지 등을 생산하는 계열사 동원시스템즈는 정경민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정 교수는 리튬이온전지, 리튬메탈전지, 전고체전지 등 배터리 분야의 권위자이다. 동원시스템즈는 향후 기술과 전문성을 사업 전반에 접목시켜 2차전지 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동원시스템즈는 지난해 말 LG에너지솔루션 출신의 정용욱 대표, 듀폰코리아 출신의 신동만 총괄임원을 영입하는 등 전문성과 경험을 두루 갖춘 경영진을 구성해 신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원그룹은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의 시대에 내실 경영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술과 전문성을 갖춘 경영진을 전면에 배치했다며, 하이테크를 접목시킨 2차전지소재·스마트항만·육상연어양식 등을 중심으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동원그룹 홍보실 김영재 주임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국내 최초 비전공자를 위한 바이브 코딩 입문서 ‘커서 AI 트렌드&활용백과’ 출간
    AI가 업무를 대신해주는 시대, 이제는 일하는 방식도 ‘창의적으로 게을러져야’ 할 때다. “어려운 일을 시킬 때는 게으른 사람에게 맡긴다. 더 쉬운 해결책을 찾아내기 때문이다” 빌 게이츠의 유명한 이 말이 2025년 현재 놀랍도록 구체적인 형태로 실현되고 있다. 미국 MIT 출신의 20대 개발자들이 만든 혁신적인 AI 툴 ‘커서 AI(Cursor AI)’가 그 주인공이다. 이 AI는 단순히 코딩을 도와주는 개발 도구를 넘어 ‘누구나 말로 명령만 하면 원하는 웹서비스나 도구를 만들어주는’ 꿈같은 기술이다. 그리고 그 ‘커서 AI’의 실용적 활용법을 담은 국내 최초의 바이브 코딩 활용서가 나왔다. 바로 ‘커서 AI 트렌드&활용백과’(스마트북스)다. 코드 한 줄 몰라도, 복잡한 기술 스택을 몰라도 이제는 누구나 ‘사람의 말’만으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다. 내가 만들고 싶은 걸 말로만 설명하면 끝… 프롬프트만 잘 써도 개발자 못지않은 생산성 이 책은 단순한 도구 사용법을 넘어 ‘일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반복적인 일은 AI에게 맡기고, 우리는 창의적인 문제 정의와 해결책 구상에 집중하라는 메시지다. 저자는 이를 ‘창의적 게으름’이라고 정의한다. 즉, 무작정 일을 줄이자는 게 아니라 더 본질적인 일에 집중하기 위해 불필요한 과정을 걷어내자는 발상이다. 실제로 이 책은 ‘커서 AI’를 이용해 투 두 리스트, 설문조사 폼, 온라인 명함, SNS 클론, AI 챗봇, 크롤링 자동화, 유튜브 요약, 카드뉴스 생성 등 일상과 비즈니스에 유용한 웹서비스들을 실습하며 따라 만들 수 있게 구성돼 있다. 개발 비전공자·왕초보도 ‘슈퍼개인’ 되는 시대 이 책이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기술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는 방식 때문이다. 복잡한 코딩 설명 없이 단계별 실습과 직관적인 설명, 그리고 AI에게 어떻게 ‘사람의 언어’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지를 상세히 알려준다. 덕분에 IT 지식이 부족한 직장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예비 창업자들도 이 AI를 무기 삼아 ‘슈퍼개인(Super Individual)’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된다. 특히 6장~8장에 이르면 뉴스 및 부동산 정보 크롤링, 고객 리뷰 자동화, PDF 분석, 견적서 비교, 엑셀 자동화 등 반복 업무를 AI에게 맡기는 구체적인 노하우가 쏟아진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얻는 궁극의 메시지는 하나다. ‘이제 몸이 아니라, 머리로 승부하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그리고 바이브 코딩의 미래 이 책은 단순히 AI 사용법을 넘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라는 신개념까지 다룬다. 이는 AI에게 ‘어떻게 말을 거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이다. 저자는 기술과 인문을 넘나드는 인사이트로 독자에게 ‘아하!’ 하고 무릎을 치게 만드는 장면들을 곳곳에 배치했다. 결국 이 책은 단순한 IT 활용서가 아니라 AI 시대를 살아가는 새로운 사고방식의 안내서다. 슈퍼개인의 시대, 그리고 창의적 게으름을 실현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철학적 가이드를 모두 갖춘 책이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당신이야말로 가장 먼저 AI와 함께 새로운 일의 방식을 시도해볼 자격이 있다. 일은 AI에게 맡기고, 생각은 사람에게 남겨라. ‘커서 AI 트렌드&활용백과’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필수 조건이다. 일의 미래를 묻는 당신에게 이 책이 명확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스마트북스 소개 스마트북스는 경제경영서와 인문교양서를 주로 출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녀교육서, 심리학 에세이로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대체로 일반인 독자들을 위한 입문서를 만드는 데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출간종수는 많지 않지만, 독자들이 오래 찾는 책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인문과 경제, 역사, 과학 등 세상 모든 것이 연결돼 있고, 어떤 문을 통해 들어가든 결국 광장에서 만나게 된다고 생각하기에 정형화된 콘텐츠 패턴을 넘어 융합된 형태를 고민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스마트북스 유해용 대표 02-337-78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브이코리아 임성진 대표, 글로벌 거점 유치 확장 잰걸음
    브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이하 브이코리아) 대표이자 록 밴드 베르세인의 리더 임성진 대표가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을 선언했다. 임성진 대표는 브이코리아의 동남아시아 거점으로 태국, 중동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유럽은 프랑스 파리를 각각 선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UAE는 가장 먼저 투자 의사를 밝힌 국가로, 브이코리아는 UAE 두바이에 해외 메인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또한 기동성과 행정 절차의 효율성을 고려해 대륙별로 하나씩의 국가를 우선 선정했으며, 이후 순차적으로 참가국들을 확장할 계획이다. 임 대표는 이를 위해 직접 각 국가를 방문해 현지 스폰서들과 대면 회담을 진행하고, 사무실 및 게스트 숙소 확보는 물론 차량, 뷰티(헤어·메이크업), 방송 채널(라디오· TV), 영화사, 촬영 프로덕션, 연습실, 합주실, 레코딩실, 악기 및 음향 장비 렌털 등 엔터테인먼트 운영에 필요한 핵심 인프라를 대륙별로 동일하게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는 일종의 국제 프랜차이즈형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향후 참여 국가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할 방침이다. 임 대표는 동남아시아의 경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들이 거점 유치를 요청했지만 효율적인 운영과 UAE 측의 중재로 우선 태국이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럽은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가 초기에 검토됐으나 유럽 내 투자 의사를 가장 먼저 밝힌 프랑스를 최우선 방문 후보로 확정했다. 프랑스는 유럽의 정치·경제 중심지인 만큼 수도 파리의 현지 준비 과정에는 최소 2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UAE 투자자들 또한 프랑스에서 임 대표와 만남을 갖고 상호 협력 방안과 비즈니스 확대를 논의할 예정이다. 브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소개 브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는 공연기획, 영상제작, 작곡, 편곡, 광고, SNS, 통역/번역, 연예인&인플루언서 섭외 등 KBS 외주제작 회사로서 언론(방송·신문) 등의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내부 디자인 팀이 따로 구성돼 있어 축제나 공연 등의 제안서를 빠른 시간 내에 맞춰 제공한다. 특히 브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의 큰 장점은 대표와 이사진이 직접 작사·작곡이 가능한 뮤지션이라는 것으로, 작곡 패키지를 만드는 회사다. 언론연락처: 브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홍보/기획/디자인팀 정신 이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삼성SDS, 더 정교해진 AI 분석·예측으로 ‘데이터 기반 디지털 물류’ 이끈다
    삼성SDS는 26일 잠실캠퍼스에서 ‘글로벌 공급망 혼란의 해법, 데이터 기반 물류 혁신’이란 주제로 ‘첼로스퀘어 콘퍼런스 2025(Cello Square Conference)’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에 구현된 분석형 AI를 활용한 ‘출항일 및 도착 예정일 예측 (Predictive ETD & ETA)’이나 ‘환적 및 하역 항구 이슈 조기 감지’ 등 더욱 정교해진 서비스와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물류 시황 정보 및 분석 리포트 등 고객 편의 서비스를 소개하는 자리였다. 삼성SDS는 이 자리에 화주와 이커머스 셀러, 파트너사 등 업계 관계자 등 600명을 초청해 글로벌 정세의 변화와 시장 트렌드, 공급망 리스크 해결을 위한 디지털 전환 해법 등에 대해 논의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은 △지정학적 리스크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등 항공 및 해상 물류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공급망 혼란의 시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를 빠르게 감지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또한, 물류 비즈니스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하는 IT 역량을 활용하게 되면서 여러 출처의 정보 속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삼성SDS의 첼로스퀘어는 축적된 운영 데이터와 AI 기법을 활용해 최적화된 물류 운영 전략을 제시하고 수출입 물동의 실시간 위치 및 지연 시간을 자동 예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사의 글로벌 공급망 운영을 과학적으로 지원한다. 분석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물류 비즈니스 의사결정 지원 삼성SDS는 선사가 제공하는 화물의 도착 예정일(ETA)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분석형 AI 기술을 활용해 도착예정시간 예측(Predictive ETA)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박의 이동시간 및 항만 체류시간은 물론 ‘항구별 혼잡도’까지 변수에 포함해 예측 정보의 정확도를 높였다. 화물 선적 예약 후 변동 가능성이 있는 출항일(ETD)을 예측하는 서비스도 추가했다. 이로 인해 화물의 선적부터 최종 도착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예측해 선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목적지 항구의 재난 및 파업으로 인해 하역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리스크 요인을 감지해 하역항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륙 운송 계획을 세우는 등의 기민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마련했다. 생성형 AI가 작성하는 시황 분석 리포트로 고객 편의와 접근성 향상 첼로스퀘어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글로벌 물류 리스크를 센싱하고 위험도를 판단한다. 이 중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동을 산출해 고객 및 물류 운영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하고 이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췄다. 고객은 언제든 ChatGPT 스토어(GPTs)의 첼로스퀘어 채널에 접속해 견적 조회, 적재 최적화, 화물 추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최근 SCFI(상하이 컨테이너 운임 지수) 등 종합지수를 분석하고 관련 리포트를 생성·제공하는 서비스가 추가됐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쉽게 구하기 어려운 최근 물류 시황 정보와 분석 리포트를 언제든지 원하는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삼성SDS 오구일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심화되는 글로벌 변동성으로 인해 물류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객이 많다”며 “삼성SDS는 빠르고 정확한 글로벌 물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삼성SDS 커뮤니케이션팀 이세건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대웅제약, 제23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 트리플 크라운 달성하며 사상 최대 실적
    대웅제약(대표이사 이창재·박성수)은 26일 서울 본사에서 제23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2024년 경영성과와 2025년 전략 방향을 공유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부의안건 3건이 모두 원안대로 의결됐으며, 신규 사외이사로 서울성모병원 권순용 교수가 선임됐다. 또한 이사 및 감사의 보수한도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책정돼 승인됐다. 대웅제약은 창사 이래 최고의 실적을 기록하며 ‘트리플 크라운’(매출,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동반 성장)을 달성한 지난해 실적을 공표했다.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1조4227억원, 영업이익은 20.7% 증가한 1479억원, 영업이익률은 10.4%를 기록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글로벌 경쟁 심화와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주주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고, 세계 시장에서 대웅의 이름을 더욱 높이겠다”고 말했다. 3대 신약 나보타·펙수클루·엔블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도약 가속 주요 성과 중 하나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의 약진이다. 출시 3년 만에 연매출 1000억원 블록버스터 반열에 오른 펙수클루는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도약하고 있다.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 역시 국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진출을 위해 주요 국가에서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다. 두 제품 모두 글로벌 제약사와 협업해 해외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는 미국 시장에서 미용 톡신 2위의 입지를 확고히 다진 데 이어, 유럽, 중남미, 아시아 시장에서도 빠르게 점유율을 넓히고 있다. 대웅제약은 맞춤형 마케팅 전략과 현지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AI·디지털 헬스케어·인재 육성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 대웅제약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AI 기반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를 비롯해 연속혈당측정기, 웨어러블 심전도기, 실명질환 모니터링 기기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하며, 진단·관리·예방을 아우르는 토탈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또한 자체 항암 신약 후보물질과 경구용 간섬유증 치료제 개발을 포함해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있으며, 오픈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차세대 제제 기술 개발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인재 전략 측면에서도 대웅제약은 자율, 성장, 성과를 핵심으로 한 인재경영 체계를 구축하고, 나이·연한· 성별·국적에 관계없이 주도적으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잇는 ‘일하기 좋은 기업’, ‘일 잘하는 기업’을 만들어가고 있다. 역량 중심의 일 잘하는 조직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가는 것이다. ‘1품 1조’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비전 실현 박차 이 대표는 “대웅제약은 단일 품목으로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하는 ‘1품 1조’ 비전을 통해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을 육성하고,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무대로 도약할 것”이라며 “변화와 혁신을 멈추지 않는 글로벌 경쟁력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웅제약은 향후에도 투명한 지배구조, ESG 경영 강화, 재무 건전성 확보를 통해 기업의 내실을 다지며, 주주와 함께하는 장기적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언론연락처: 대웅제약 홍보실 조영득 과장 02-2190-692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마이크론과 함께 메모리 솔루션 관련 새로운 전자책 발간
    최신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제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https://www.mouser.kr/)는 마이크론(Micron) (https://www.mouser.kr/manufacturer/micron-technology/)과 협력해 AI (artificial intelligence) 엣지 애플리케이션에서 메모리의 중요성과 엣지 AI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주요 설계 고려사항 등을 탐구한 새로운 전자책을 발간했다. 마이크론은 엣지 컴퓨팅과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및 모바일 등 주요 시장 분야에서 AI와 머신러닝 및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혁신적인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계 선도 기업이다. ‘최종 제품에 엣지 AI를 구현할 때 직면하게 되는 예상치 못한 과제 에 대해 5인의 전문가가 제시하는 해결 방법(5 Experts On Addressing The Hidden Challenges of Embedding Edge AI into End Products)’ (https://resources.mouser.com/manufacturer-ebooks/micron-5-experts-on-addressing-the-hidden-challenges-of-embedding-edge-ai-into-end-products-mg)이라는 제목의 전자책에서 AI 업계 전문가들은 데이터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연결과 관련한 지연 시간 및 보안 문제를 최소화하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엣지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살펴본다. 엣지 AI 애플리케이션은 매우 많은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고, AI 추론과 관련한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고성능의 저지연 메모리 솔루션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메모리 기술은 고대역폭 및 저전력 메모리와 같은 솔루션을 통해 혁신이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제는 단순한 범용 메모리 영역을 넘어 AI 지원 기기 및 애플리케이션을 차별화하는 AI 에코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 전자책은 엣지 AI 애플리케이션에서 메모리의 중요성과 엣지 AI 구현을 위한 설계 고려사항, 그리고 마우저와 마이크론이 선도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업계 최고 성능 및 최대 용량의 메모리 솔루션에 대해 살펴본다. 최신 AI 추론 아키텍처 요건에 부합하도록 설계된 마이크론의 LPDDR5 DRAM 메모리는 LPDDR4 대비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50% 향상됐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1-베타 LPDDR5X는 최대 9.6Gbps의 성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향상된 성능을 통해 엣지 환경에서 효율성과 AI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이크론의 LPDDR4 DRAM 메모리는 배터리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화됐으며, 초경량 휴대용 기기와 배터리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DDR4 대비 33% 빠른 피크 대역폭을 제공한다. 마이크론의 e.MMC 관리형 NAND 기술은 대용량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 운용성과 듀얼 전압 지원 및 뛰어난 내구성을 갖추고 있어 소비가전, 네트워크, 산업,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적합하다. 마이크론의 직렬 NOR 플래시는 산업 표준 패키지를 기반으로 핀아웃, 명령 세트 및 칩셋 호환성을 제공해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소비가전 제품과 산업, 유선 통신 및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새 전자책은 https://resources.mouser.com/manufacturer-ebooks/micron-5-experts-on-addressing-the-hidden-challenges-of-embedding-edge-ai-into-end-products-mg 에서 볼 수 있다. 마우저가 제공하는 방대한 전자책 목록은 https://resources.mouser.com/manufacturer-ebooks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가장 다양한 최신 반도체와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제품을 공급한다™. 마우저의 고객은 제조사가 생산해 출처 확인이 가능한 100%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 마우저의 웹사이트에서는 고객이 더욱 빠르게 설계할 수 있도록 제품 데이터시트, 제조사별 레퍼런스 설계, 애플리케이션 노트, 기술 설계 정보, 엔지니어링 도구 및 기타 유용한 정보, 기술 지원 센터 (https://www.mouser.kr/technical-resources) 등 광범위한 기술 지원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엔지니어는 마우저가 제공하는 무료 전자 뉴스레터를 통해 최신 업데이트된 흥미로운 제품,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뉴스를 계속 접할 수 있다. 마우저의 고객과 구독자는 각자의 고유한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마우저의 이메일 뉴스 및 레퍼런스 구독을 맞춤화할 수 있으며, 다른 어떤 유통기업보다 더 많은 맞춤형 서비스와 제어 권한을 엔지니어에게 제공한다. 새로운 기술, 제품 동향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sub.info.mouser.com/subscriber-kr 에서 등록해 확인할 수 있다. 마이크론(Micron) 소개 마이크론(Micron)은 혁신적인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 분야의 업계 선도 기업이다. 마이크론은 글로벌 브랜드인 마이크론(Micron®), 크루셜(Crucial®), 발리스틱스(Ballistix®)를 통해 고성능 메모리 및 스토리지 기술 기반의 DRAM, NAND, NOR 플래시, 3D XPoint™ 메모리 등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해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고 있다. 35년 이상의 기술 리더십에 기반한 마이크론의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모바일과 같은 주요 시장 분야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및 자율주행 차량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소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업계 선도적인 제조업체 파트너의 신제품 소개에 주력하는 공인 반도체 및 전자 부품 유통기업이다. 전 세계 전자 설계 엔지니어 및 구매자들을 위한 Mouser.com 웹사이트는 세계 다국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다양한 화폐로 거래되며, 1200개 이상의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제품 680만 종 이상을 판매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전 세계 28개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면서 223개 이상 국가/지역의 65만명 이상의 고객들에게 현지 언어, 통화 및 시간대를 지원함으로써 업계 최고의 고객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대도시 지역에 9만2900㎡ 규모의 최첨단 물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우저와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유)의 등록 상표이며, 여기에 언급된 모든 제품, 로고, 회사명은 각 소유주의 고유 상표이다. 언론연락처: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홍보대행 페리엔 박윤희 실장 02-565-66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Blooming Peace : 평화의 꽃, 마음의 빛’ 서울과 도쿄에서 펼쳐지는 글로벌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마인드디자인은 오는 4월 1일부터 6일까지 ‘Blooming Peace : 평화의 꽃, 마음의 빛’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가 간 갈등과 글로벌 분쟁이 지속되는 오늘날,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국제적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미디어아트 기반 행사다. 서울과 도쿄에서 동시 개최되며, 약 1만2000명의 시민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미디어아트 행사는 서울 봉은사의 미륵광장에서 개최되며, 행사 기간 매일 저녁 특별한 라이트쇼가 펼쳐진다. 특히 이번 미디어아트 연출에는 몰입형 공간 연출 전문 미디어 크리에이티브 그룹 사일로랩(SILO Lab)이 참여한다. 사일로랩은 아트 철학을 보여주는 아트 프로젝트부터 브랜드 메시지를 공간으로 전달하는 상업 프로젝트까지 진행해왔다. 이번 행사에서도 사일로랩만의 기술과 오감을 자극하는 공간 연출로 몰입과 감동을 극대화하는 순간을 선보일 예정이다.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현장 및 사전 배포된 QR코드를 스캔한 후 웹사이트에 접속해 평화의 메시지를 작성하면 이 메시지가 실시간 미디어아트로 구현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단순한 전시를 넘어 평화의 메시지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공간이 연출된다. 김민지 마인드디자인 대표는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지는 평화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확산하고, 더 나아가 국제적인 연대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평화의 의미를 공감하고 공유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Blooming Peace : 평화의 꽃, 마음의 빛’은 한일 국제 문화 교류를 촉진하는 동시에 전 세계가 연결되는 평화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인드디자인 소개 마인드디자인은 문화재청형 사회적기업으로, 전통문화 소비의 일상화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청년 소셜벤처다. 일상 속에서 잊혀지고 소외되고 있는 한국전통문화를 현대에 맞게 재해석해 좀 더 많은 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즐기는 전통문화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 스스로가 한국다움을 즐기는 것, 그것이 진정한 한류의 가치며 우리의 자부심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언론연락처: 마인드디자인 박새별 대리 070-4916-943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신한금융지주회사, 제24기 정기 주주총회 및 임시 이사회 개최
    신한금융지주회사(회장 진옥동)는 26일 오전 10시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신한금융 본사에서 제24기 정기 주주총회 및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주요 안건인 재무제표 결산 및 이사 선임의 건 등을 승인했다. 주주총회에서는 기타비상무이사인 정상혁 신한은행장을 포함해 사외이사의 신규 및 재선임 안건 등이 진행됐으며, 임시 이사회에서는 올해 이사회 의장으로 지난해 처음 선임됐던 윤재원 사외이사가 재선임됐다. 이날 진옥동 회장은 주주총회 인사말을 통해 “신한금융은 지난해 어려운 경제환경 속에서도 밸류업 계획의 선제적 공시 및 이행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에 힘쓰며 기초 체력을 더욱 튼튼히 다진 한 해를 보냈다”고 소회를 전했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은 올해 더욱 ‘절실함’을 갖고 ‘내부통제 확립’, ‘고객 편의성 제고’, ‘비즈니스 혁신 생태계 주도’를 목표로 한 탁월한 질적 성장 및 혁신을 바탕으로 일류 신한을 달성해 가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신한금융지주회사 홍보팀 이규호 과장 02-6360-317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HD현대중공업, 제6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
    HD현대중공업이 26일(수) 울산 동구 현대예술관에서 ‘제6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감사보고와 영업보고가 이뤄졌고,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3개 안건이 가결됐다. HD현대중공업은 이날 임기가 만료된 박현정 사외이사를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이사로 재선임했다. HD현대중공업 이상균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미국의 에너지 수출 확대 정책에 따른 새로운 기회를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며 “올해를 HD현대중공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다시 한번 세계 최고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HD현대중공업은 지난해 매출 14조4865억원, 영업이익 7052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매출은 21.1%, 영업이익은 294.8% 증가했다. 이처럼 개선된 실적을 바탕으로 2021년 코스피 상장 이후 처음으로 1주당 2090원(시가배당률 0.7%)의 현금 배당을 실시하기로 했다. 언론연락처: HD현대중공업 문화홍보부 이민규 사원 052-202-223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RAA와 Duck Creek Technologies, SaaS 핵심 보험 제공 기술 파트너십 신규 계약 발표
    손해보험(P&C) 및 일반 보험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글로벌 기업인 Duck Creek Technologies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개인대상 최대 보험사인 RAA와 SaaS 핵심 보험 제공 프로세스 기술 관련 신규 파트너십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온디맨드 방식의 클라우드 제공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보험 정책과 평가, 청구, 클레임 및 명확성(데이터 및 인사이트)을 포함한 Duck Creek의 솔루션은 개인용 자동차 및 주택 보험 상품에 대한 RAA의 기존 온프레미스 레거시 기술을 대체하게 된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아키텍처, 업무용 키트, 로컬 레이어, 간단한 통합 기능을 갖춘 Duck Creek의 플랫폼은 RAA가 신제품 출시 속도를 개선하고 82만5000여 명의 회원에게 더욱 현대적이고 원활한 디지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RAA의 최고 기술 책임자인 James Galdes는 “개인 및 자동차 보험 상품의 핵심 보험 기술 파트너로 Duck Creek을 맞이하게 돼 매우 기쁘다.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최대 개인 보험사로서 우리 회원들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때문에 보다 유연하고 민첩하며 지속 가능한 보험 제공 플랫폼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는 Duck Creek Technologies가 갖춘 솔루션에서 이 같은 메리트를 발견했다. Duck Creek Technologies의 미래 지향적인 SaaS 핵심 보험 제공 기술은 현재와 미래에 걸쳐 효율성을 높이고 직원과 회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RAA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더욱 혁신적인 제품과 더 많은 가치 제공을 실현할 수 있게 된 것은 물론 새로운 솔루션을 통해 상당한 운영상의 이점과 효율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Galdes 책임자는 “Duck Creek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SaaS는 확장성과 가용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데이터 센터 공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호주 시장의 여건에 맞게 구축된 플랫폼의 보안 시스템 덕분에 규제 준수의 간소화도 가능해졌다. 액티브 딜리버리를 통해 2주에 한 번씩 조용히 업데이트되기에 업그레이드에 따른 혼란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다운타임이 사라지게 됐다. 다시 말해 우리가 제공하는 보험의 보장 범위, 신뢰, 가치, 더 나은 회원 경험을 제공하는 데 더욱 집중하고 기술에는 덜 집중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Duck Creek Technologies의 아태지역 매니징 디렉터인 Christian Erickson은 “Duck Creek Technologies 입장에선 새로운 파트너십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Erickson 디렉터는 “회원 기반으로 운영되는 RAA는 보험 가입자를 보호하는 것 이상의 것이 필요했던 상황이었다. 그들은 회원들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데 자부심을 갖고 있다. RAA는 원대한 비전과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으며 혁신과 가능성의 경계를 넓혀가게 될 것이다. 이를 지원하고 실현해 나가는 도전을 기꺼이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RAA의 파트너십 결정은 철저한 평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Galdes 책임자는 “우리는 전략적 파트너인 가트너(Gartner)와 딜로이트(Deloitte)의 도움을 받아 종합적인 시장 평가 프로세스를 주도했다. Duck Creek의 에버그린 아키텍처, 강력한 파트너십 정신, 현지 제품 지원, 사전 구축된 마켓플레이스 연결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는 최근 RAA와 알리안츠 오스트레일리아(Allianz Australia) 간에 이루어진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다. RAA는 20년간의 파트너십 계약에 따라 보험 상품의 마케팅 및 유통을 담당하고, 알리안츠는 상품, 가격, 보험금 청구 및 언더라이팅을 담당하게 된다. Duck Creek Technologies 소개 Duck Creek Technologies는 재산 및 손해(P&C), 일반 보험 산업의 미래를 주도할 지능형 솔루션을 공급한다. 당사는 최신 보험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으로 업계가 클라우드를 활용해 민첩성을 가지고 지능형 방식으로 원활하게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진정성, 목적성, 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삼는 Duck Creek은 개인과 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시기, 장소, 방법을 통해 보험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시장을 선도하는 당사의 솔루션은 독립형 또는 전체 제품군으로 제공되며, 모두 Duck Creek OnDemand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채널(LinkedIn, Twitte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Duck Creek Technologies Chris Hamilton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6
  • 통신판매자 통신판매중개자 담합해서 소비자 죽이기!!!
    트에 이미지출력을 원하신다면 대표이미지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 뉴스
    2025-03-25
  • 한화, 글로벌 조선·방산 업체 호주 오스탈 전략적 투자
    한화가 호주에 본사를 둔 글로벌 조선 및 방위산업체인 오스탈 사(社)의 지분을 인수했다. 오스탈는 미군 함정을 직접 건조하는 4대 핵심 공급업체 중 하나로 한화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글로벌 조선·방산 분야의 키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한화는 17일 호주증권거래소 장외거래를 통해 오스탈의 지분 9.9%를 직접 매수했다. 해당 지분 외에도 호주 현지 증권사를 통해 추가로 9.9% 지분에 대한 TRS* 계약을 체결했다. 18일에는 호주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 (FIRB)에 오스탈에 대한 19.9% 지분 투자 관련 승인도 동시에 신청했다. 이번 투자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각각 60%와 40%의 지분을 보유한 호주 현지법인을 통해 진행했다. * TRS(Total Return Swap, 총수익스와프): 신용 파생상품으로 기초자산(주식)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자산에 연동된 수익 손실만 수취하는 금융 계약 필리 이어 오스탈 전략적 투자… 글로벌 시장 확대 광폭 행보 한화의 이번 지분 인수는 글로벌 방위산업과 조선산업의 호조 속에 오스탈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호주뿐 아니라 나아가 미국까지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는 이미 지난해 12월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선 바 있다. 오스탈는 서호주 헨더슨과 미국 앨라배마주 모빌,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필리핀, 베트남 등에 조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을 위한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Ensuring Naval Readiness Act)이 발의되는 등 한국을 포함한 동맹과의 조선산업 기반 확대 정책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오스탈는 미국 해군의 4대 핵심 공급업체 중 하나로 142억 호주달러에 달하는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내 소형 수상함, 군수지원함 시장점유율 40~6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 알루미늄 중심 수주에서 최근 강철선 건조 체제로의 전환이 안정세로 접어들었다. 한화의 글로벌 상선 및 함정 분야에서 입증된 건조 능력과 미 국방부 및 해군과의 단단한 네트워크에 오스탈의 시너지가 더해진다면 향후 수주 확대가 예상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사업 총괄 담당 마이클 쿨터(Michael Coulter) 사장은 “한화는 오스탈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방위 및 조선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전략적 투자자로서 오스탈의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며, 호주 현지 방위산업 및 해군 조선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화의 스마트 조선 및 방위산업 역량은 오스탈에 자본, 네트워크, 운영 및 기술 전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전 세계 방위 및 조선산업에서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오스탈와의 성공적인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언론연락처: 한화그룹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 02-729-589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1
  • 한국청소년연맹 희망사과나무-키친스토리,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식사 후원 선물 전달
    키친스토리(대표 고준영)와 요리연구가 빅마마 이혜정, 그리고 한국청소년연맹(총재 임호영)의 사회공헌사업 희망사과나무가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따뜻한 나눔을 이어갔다. 이번 기부를 통해 이혜정 요리연구가의 인기 메뉴 펄쉘리조또 800인분이 복지사각지대 아동·청소년들에게 전달됐다. 키친스토리는 2021년부터 희망사과나무와 협력해 명절, 어린이날, 여름방학, 크리스마스 등 특별한 순간마다 정성 가득한 음식을 나누며 ‘엄마의 사랑과 정성’이라는 특별한 조미료를 더해왔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나눔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확산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청소년연맹의 사회공헌사업인 희망사과나무(www.hopeappletree.or.kr)는 국내·외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장학금, 생활·교육 물품 지원, 그룹홈 자립청소년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사업 및 후원 문의는 공식 홈페이지 또는 운영본부를 통해 가능하다. 한국청소년연맹은 청소년의 자기계발과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청소년단체로 샛별단·아람단·누리단·한별단·한울회로 구성돼 있으며,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청소년연맹 소개 한국청소년연맹(샛별단·아람단·누리단·한별단·한울회)은 학교 교육과 상호 보완을 통한 건전한 미래 세대를 육성하기 위해 1981년 설립돼 ‘한국청소년연맹육성에관한법률(1981년 4월 13일 법률 제3434호)’에 의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받으며, 학교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우리 고유의 청소년단체다. 현재는 전국 17개 시도, 8000여 개 학교에서 29만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전국 22개의 청소년 수련시설을 운영하는 등 대한민국 최고의 청소년 사회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청소년단체 활동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공헌 활동 및 다양한 청소년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한국청소년연맹 대외협력부 이재현 과장 02-2181-743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1
  • 구례군장애인복지관, 제26회 구례 산수유꽃 축제에서 장애 이해 캠페인 진행
    구례군장애인복지관은 지난 17일(월) ‘제26회 구례 산수유꽃 축제’에서 장애 이해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장애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이해를 돕고 상호 존중과 배려를 증진시키기 위해 기획됐다. 복지관은 구례 산수유꽃 축제장을 방문한 지역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복지관 홍보와 함께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했다. 장애 이해 캠페인은 크게 두 가지 활동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활동은 뇌병변 장애 체험으로, 거울을 보고 미로 찾기와 선 긋기 활동을 진행해 장애인들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두 번째 활동은 시각장애 체험으로, 안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한궁을 체험하며 시각장애인들의 감각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캠페인은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지역 내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장애 이해 캠페인 참여자들은 직접 체험해 보니 장애인 분들의 삶을 느낄 수 있었으며, 앞으로 장애인 분들을 생활에서 만나게 된다면 조금 더 기다려주고 더 배려할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소감을 밝혔다. 구례군장애인복지관은 이번 산수유꽃 축제를 시작으로 지역 사회 및 축제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인과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마련할 계획이다. 구례군장애인복지관 송태영 관장은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립 및 이해도 향상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것이며,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보통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구례군장애인복지관 소개 구례군장애인복지관은 △사람중심서비스 지원 체계 강화 △사회모델로 지역사회 변화 유도 △지역사회 중심 교류·협력 강화 △ESG 경영·인권 경영의 서비스 실천 △존중·소통·참여라는 핵심 가치 아래 ‘미래로 도약하는 구례군장애인복지관’, ‘지역사회중심으로 보통의 삶을 실현하는 복지관’이라는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구례군장애인복지관 기획운영지원팀 장중기 사회복지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1
  • 로블록스, 생성형 AI 기반 모델 및 새로운 크리에이터 도구 출시
    몰입형 게임 및 창작 플랫폼 로블록스(Roblox)는 미국 현지시간 기준 3월 17일(월)부터 21일(토)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되는 게임 개발자 회의(GDC) (https://gdconf.com/?)에서 개발자의 창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새로운 수익 창출 방식을 제시하며, 그들의 게임 및 체험 노출 가능성을 지원하는 일련의 새로운 기술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세부 발표 내용은 블로그 (http://a.to/25IXvPm)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생성형 AI · 로블록스는 핵심 생성형 AI 시스템인 로블록스 큐브(Cube)를 소개 (http://a.to/25jka3O)하는 한편, 이번주 내로 로블록스 플랫폼 내에서 3D 개체 및 씬(Scene)을 생성하기 위한 3D 기반 모델인 ‘큐브 3D 기반 모델(Cube 3D Foundational Model)’을 공개 및 오픈소스화할 예정이다. 또한 메시 생성을 위한 첫 번째 API의 베타 버전도 함께 공개할 계획이다. 큐브 제품군은 매우 복잡한 씬 생성을 지원하는 도구를 포함해 향후 개발될 다양한 AI 도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큐브/큐브 3D는 3D 창작을 위한 빌딩 블록을 의미하며, 이러한 최초의 3D 모델은 일반적으로 모든 창작의 기초인 와이어프레임 큐브(wireframe cube)로 여겨진다. 이처럼 로블록스의 3D 모델은 기존의 AI 창작 도구와 통합돼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학습하는 멀티모달 모델로 발전할 것이다. 2. 크리에이터를 위한 ‘로블록스 스튜디오(Roblox Studio)’ 간소화 · 로블록스는 로블록스 스튜디오의 UI를 고도화하고, 툴바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도입하는 동시에 성능과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켜 더욱 쉽게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로블록스 스튜디오의 에셋 관리자(Asset Manager) (https://create.roblox.com/docs/ko-kr/projects/assets/manager)는 에셋 관리 통일, 검색 및 필터링 기능 강화와 함께 성능 및 안정성 향상 등 주요 업그레이드가 이뤄지고 있다. · 또한 로블록스는 실시간 협업을 플랫폼 내에서 성공 달성의 핵심 요소로 생각하며, 이를 위해 크리에이터 팀이 실시간 공동 작업 공간에서 함께 작업할 수 있는 도구를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의 일환으로 이제 개발자 간의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댓글 및 주석 남기기 기능 (https://app.frame.io/reviews/67008ded-e5b4-4573-bc28-ed7476df98f7/0ad2c112-5c57-480d-b2e7-18e4a63f6909)을 새롭게 도입할 예정이다. · 이와 더불어 개발 시작 과정을 돕고, 기술을 보완해주며, 지속적인 개발을 지원하는 등 콘텐츠 생성을 가속화하는 AI 도우미인 ‘로블록스 어시스턴트(Roblox Assistant)’는 스크립트 이터레이션(Script Iteration) 기능 (https://app.frame.io/reviews/67008ded-e5b4-4573-bc28-ed7476df98f7/188bf297-72a7-4da6-9a92-1e8ea3602ca0) 출시 등 다양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3. 탐색 및 수익화 · 로블록스는 관심을 유도하고, 유대관계를 형성하며, 크리에이터가 그들의 잠재 고객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탐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 그 일환으로 로블록스는 조만간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체험에 친구를 초대한 플레이어에게 맞춤형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친구 추천 프로그램(Friend Referral Program)’을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 로블록스 개발자들은 로블록스가 제공하는 강력한 생성 및 탐색 도구를 기반으로 그들의 아이디어를 하나의 비즈니스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있다. 실제로 로블록스는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개발자 환전 프로그램(DevEx)을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총 9억2300만달러를 지급했다. 또한 로블록스 플랫폼 내 상위 10명의 개발자는 2024년 지난 2019년 대비 450% 증가한 평균 339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상위 100명의 개발자는 500% 증가한 평균 600만달러의 수익을 거뒀다. 이러한 로블록스에서의 성공이 최상위 개발자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상위 1000명의 개발자는 훨씬 더 빠른 속도의 수익 증가율을 보이며, 2024년 지난 2019년 대비 570% 증가한 평균 82만달러의 수익을 벌어들였다. · 또한 보상형 동영상 광고(Rewarded Video Ads)가 엄선된 체험 내에서 베타 버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2분기 내에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들은 게임 내 주요 지점에서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위한 고성능 광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해당 방식은 크리에이터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지원하는 것과 더불어 체험 자체에 대한 더욱 높은 참여도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발표와 관련해 보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 포스트 (http://a.to/25k9Krp)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특히 큐브에 대해서는 해당 링크 (http://a.to/25jka3O)를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표 관련 AI 비디오, 제품 데모, 스틸컷 등 시각 자료는 프레스킷 링크 (https://app.frame.io/reviews/67008ded-e5b4-4573-bc28-ed7476df98f7)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로블록스 홍보대행 KPR 김지윤 AE 02-3406-222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1
  • 아누아, 뷰티 인플루언서와 함께한 두 번째 기부 플리마켓 성료
    글로벌 브랜드 빌더 기업 더파운더즈(각자대표 이선형, 이창주)가 운영하는 글로벌 뷰티 브랜드 아누아(ANUA)가 지난 15일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뷰티 인플루언서와 함께 진행한 기부형 플리마켓을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행사는 지난 5일 월드비전과 체결한 업무 협약의 일환으로, 피부질환을 겪고 있는 아동과 뷰티 분야 진로를 꿈꾸는 뷰티 꿈나무들을 위한 지원금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지난해 6월 첫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데 이어 올해는 규모를 한층 확대해 총 15인의 뷰티 인플루언서가 참여했으며, 이들은 판매 수익의 50% 이상 또는 전액을 기부하는 등 선한 영향력을 실천했다. 행사 당일에는 1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몰리며 열띤 분위기를 자아냈다. 실제로 행사 시작과 동시에 배부된 번호표가 순식간에 소진될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으며, 참여자들에게는 아누아의 베스트셀러인 ‘PDRN 라인’ 제품을 증정해 따뜻한 나눔의 온기를 더했다. 아누아는 두 번째 플리마켓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준 인플루언서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며, 올해는 피부질환 아동뿐 아니라 뷰티 업계 종사를 꿈꾸는 아이들에게도 후원할 수 있어 더욱 의미가 깊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다양한 나눔 활동을 통해 소외계층 및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브랜드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플리마켓 행사 참여자에게 증정된 아누아의 ‘PDRN 라인’은 피부 재생 및 회복에 좋은 PDRN 성분과 히알루론산, 콜라겐을 결합해 광채와 수분 플럼핑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군이다. 대표 제품인 ‘PDRN 세럼’은 독자적인 스마트캡슐 공법을 적용해 PDRN 성분의 피부 침투력을 3배 이상 높였다. 아누아의 ‘PDRN 세럼’은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올리브영에서 품절을 기록하며 2024 화해 효능/효과 에센스·세럼·앰플 부문 1위, 2024 글로우픽 어워드 트렌드 PDRN 부문 1위를 차지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에 힘입어 최근 ‘PDRN 수분크림’, ‘PDRN 세럼 마스크’, ‘PDRN 글로우 패드’ 등을 선보이며 라인업을 확장했다. 언론연락처: 더파운더즈 아누아 홍보대행 커뮤니크 윤서영 대리 02-788-738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1
  • 국내 최대 세차 플랫폼 오토스테이, 활성 앱 회원수 21만명 돌파… 세차 업계 부동의 1위
    국내 최대 세차 플랫폼 오토스테이(Autostay)가 앱 회원수 자체 최고 기록을 돌파했다. 오토스테이는 3월 17일을 기해 누적 활성 앱 회원수가 21만명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국내 세차 플랫폼 가운데 처음 달성한 것으로, 오토스테이는 명실상부 국내 1등 세차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오토스테이는 △앱 회원 수를 비롯해 △매장당 월평균 매출 △매장당 세차 대수 등 모든 핵심 지표에서 업계 1위를 기록하며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오토스테이 장경수 대표는 “현재 오토스테이는 국내 세차 플랫폼 중 가장 많은 21만 명 이상의 누적 활성 앱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 매장당 월평균 매출 1억1000만 원을 상회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기록을 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토스테이는 구독형 세차 서비스를 통해 자동차 관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정기적인 차량 관리 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 특히 전국 세차장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올패스(ALL PASS)’ 구독 서비스는 오토스테이만의 독보적인 특허로, 고객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오토스테이의 구독형 세차 모델은 해외에서도 이미 검증된 성장 전략이다. 미국 최대 세차 체인인 미스터 카워시(Mister Car Wash)는 구독형 무제한 세차 모델(Unlimited Wash Club)을 도입한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현재 45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스터 카워시는 이 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고객 기반을 확보하며, 전체 매출의 60% 이상을 구독 서비스에서 창출하고 있다. 오토스테이 역시 국내 최초로 세차 구독 모델을 정착시키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오토스테이는 지속적인 기술 투자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전국 단위 세차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다. 더 많은 고객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프리미엄 세차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장경수 대표는 “고객들이 보다 편리하고 만족스러운 세차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혁신을 멈추지 않겠다”며 “세차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대한민국 대표 차량 관리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토스테이는 앞으로도 첨단 기술과 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며, 글로벌 수준의 차량 관리 플랫폼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오토스테이 소개 오토스테이는 국내 유일의 노터치 자동세차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기술과 전국 매장을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비대면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며, 월정액으로 전국 어디서나 무제한 세차를 이용할 수 있는 올패스 상품으로 세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오토스테이 사업지원팀 오희진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5-03-2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