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7-27(목)

뉴스
Home >  뉴스

실시간뉴스

실시간 뉴스 기사

  • SK㈜ C&C, AI 디지털 미래 혁신 이끌 신입 인재 뽑는다
    SK㈜ C&C가 생성형 AI, 디지털 Net Zero 등 미래 사업을 리드할 역량 있는 인재들을 찾기 위해 신입사원 채용을 시작한다. SK㈜ C&C(사장 윤풍영)는 산업별 디지털 ITS, AI/데이터, 클라우드, 디지털 팩토리, 디지털 컨설팅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신입사원 채용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산업별 디지털 ITS는 전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 고객사 경영 및 사업 현장 곳곳에서 IT 기술을 바탕으로 생성형 AI와 클라우드에 기반을 둔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글로벌 최고 수준 기업들이 갖춘 실제 시스템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한다. AI/데이터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모델과 서비스를 기획·설계하고, 대내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디지털 AI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며 고객 업무 효율화 등을 맡는다. 클라우드는 고객 시스템 전반에 걸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M)는 물론 디지털 AI 시스템을 완벽하게 개발하고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설계·구축·운영한다. 디지털 팩토리는 제조 공정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공장 자동화·지능화 라인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업무다. 국내는 물론 미국·유럽·중국 등 글로벌 주요 지역의 스마트 공장에서 공정 자동화·지능화 기획 및 설계,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하며 제조 분야 DX전문가로 활동하게 된다. 디지털 컨설팅 분야는 SK㈜ C&C가 올해 설립한 컨설팅 자회사인 애커튼 파트너스 소속 전문 디지털 컨설턴트로서 고객의 ‘디지털 코치’이자 ‘비즈니스 씽킹 파트너(Business Thinking Partner)’로 활동하게 된다. △생성형 AI 등에 기반한 디지털 전환 전략 △Digital Net Zero(디지털 넷제로) 등 디지털 ESG전략 △주요 사업 프로세스 혁신(PI)·정보화 전략 계획(ISP) △제조 엔지니어링 등 분야별 전문 디지털 컨설팅 업무를 맡게 된다. 이번 채용은 전공 무관으로 IT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역량 및 외국어 능력 우수자 등을 우대한다. 신입사원 채용 서류 접수는 10월 3일까지다. 서류 전형, 필기 전형, 면접 전형 순으로 진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SK그룹 채용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SK㈜ C&C 김완종 CCO(최고고객책임자)는 “SK㈜ C&C는 국내외 모든 산업 현장에서 생성형 AI와 Digital Net Zero를 기반 삼아 고객 기업들의 디지털 미래 혁신을 이끌고 있다”며 “AI, 클라우드, ESG 등 신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 디지털 전문가로 성장할 패기 있는 인재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SK㈜ C&C 홍보팀 지윤진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서부발전과 국산 발전기술 고도화 협력
    두산에너빌리티가 한국서부발전과 국산 발전기술 고도화와 발전소의 운영 최적화를 위해 협력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서부발전과 ‘김포열병합 설비안정화 및 태안 IGCC 책임정비를 위한 기술교류·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15일 오후 경기도 분당두산타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한국서부발전 박형덕 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사장 등 각 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체결식에서 두 회사는 김포 열병합발전소와 태안 IGCC[1] 발전소의 운영 최적화를 위한 상호협력을 약속했다. 한국서부발전은 2개 발전소 운영 주체로서 각 설비 운전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소 성능 및 설비 안정화를 담당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사장은 “국산 발전기술 고도화를 위한 한국서부발전의 적극적인 의지로 가스터빈, IGCC 등 두산에너빌리티와 국내 산·학·연이 개발한 기술들이 실증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며 “두산에너빌리티는 앞으로도 더욱 향상된 기술력과 서비스를 발전사에 제공해 국산 발전기술 수출은 물론, 국내 발전산업 생태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제작한 대한민국 1호 가스터빈이 도입된 김포 열병합발전소는 7월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또한, 정부 연구과제로 국내 최초 추진된 태안 IGCC 발전소는 한국서부발전을 비롯해 두산에너빌리티, 국내 연구기관, 대학 등이 참여했으며, 2016년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1] 석탄가스화복합발전, Integrated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언론연락처: 두산에너빌리티 커뮤니케이션팀 이성민 수석 031-5179-303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삼성바이오로직스, BMS와 새로운 10년 이어간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BMS와 총 2억4200만달러(약 3213억원) 규모의 면역항암제 의약품을 2030년까지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9월 18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 주체는 SWORDS LABORATORIES UNLIMITED COMPANY, DUBLIN, BOUDRY BRANCH로 BMS의 자회사이다. BMS는 암·혈액·면역·심혈관 질환 분야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분야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이다. 차세대 바이오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등 신사업 부분을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2022년 매출 기준 글로벌 7위 제약사, 시총 약 200조원).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이 향후 7년여간 BMS의 주력 제품인 면역항암제의 생산 기지로 활용된다는데 의미가 있다. ◇ 창립 이래 첫 고객으로 시작… 10년간 윈윈 파트너십 확대·강화 BMS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CMO 사업을 시작한 이후 첫 고객사로 인연을 시작해 현재까지 CMO 신규/증액 계약을 체결하며 10년 넘게 파트너십을 지속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1공장이 가동되던 2013년 처음 CMO 계약을 체결, 이듬해인 2014년 4월 제품 수 및 서비스 협력 범위를 확대하는 추가 계약을 맺었다. ◇ 신뢰할 수 있는 CDMO 인정… 4공장 수주 급물살 BMS와의 장기 파트너십이 가능했던 배경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계 최대 생산능력 △초스피드 생산 속도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품질을 바탕으로 고객사의 신뢰를 쌓은 덕분이다. 존림 사장의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둔 경영 방식도 주효했다. 존림 사장은 시장 수요와 고객사의 니즈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끊임없이 도전과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 같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BMS뿐 아니라 글로벌 주요 빅파마와의 신규/증액 계약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글로벌 상위 빅파마 20곳 중 14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6월 전체 가동을 시작한 4공장은 그 규모가 24만 리터에 달하는 초대형 생산시설임에도 빅파마 중심의 대규모 수주가 증가하며 높은 수준의 가동률을 기록 중이며, 4공장 매출은 3분기 실적부터 반영될 예정이다. ◇ 연간 누적 수주금액 역대 최고 기록… 3조원 달성 기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간 실적에 대한 시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올해 화이자, 노바티스 등 빅파마들과의 대형 수주에 이어 이번 BMS 계약 건까지 현재 기준 연간 누적 수주액은 역대 최고 기록인 2조7000여 억원으로 연간 누적 3조원을 향해 달리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위탁생산 계약은 보통 최소구매물량보전(MTOP)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계약 금액과 물량은 고객사의 요구와 상황에 따라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정적 공장 가동 능력을 인정받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최근 계속된 대규모 계약으로 시장에서 한때 나왔던 Overcapacity 우려를 완전 불식시킴과 동시에 4공장 가동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글로벌 톱 제약사들로부터 대량 장기계약이 끊이지 않아 현재 공사 진행 중인 5공장의 미래도 희망적이다. ◇ 빅파마를 사로잡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생산능력 · 속도 · 품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 세계 바이오 의약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선제적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미리 확보했다. 2020년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4공장(24만리터) 공장을 착공해 2023년 6월 전체 가동에 돌입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60만4000리터로 전 세계 압도적인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8만리터 규모의 5공장을 올해 4월 착공, 2025년 4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임이다. 5공장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전체 생산능력은 78만4000리터가 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필수적인 기술이전 기간을 업계 평균의 절반 수준인 3개월로 단축했다. 또한, 촉박한 일정으로 긴급 물량 요청이 있을 경우에도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생산 일정을 준수해 고객 만족도를 실현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98% 이상의 배치(Batch) 성공률을 거두고, 8월 말 기준 누적 규제기관 승인 건수 231건을 기록하며 의약품 제조/관리되는 전 과정에서 뛰어난 품질 능력을 입증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삼성바이오로직스 홍보파트 김유정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뉴로보 파마슈티컬스, NASH 치료제 ‘DA-1241’ 글로벌 임상2상 미국 첫 환자 투약 개시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김민영)의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NASH(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비알콜성지방간염) 치료제 ‘DA-1241’의 글로벌 임상 2상 미국 첫 환자 투약을 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DA-1241의 임상 2상을 승인받았다. 8월 미국 임상시험위원회(IRB) 승인을 획득했으며, 임상 대상자 스크리닝을 거쳐 첫 임상 환자 등록까지 마쳤다. 첫 환자 투약은 14일 미국에 소재한 지정된 임상시험 기관에서 진행됐다. 이번 임상은 DA-1241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NASH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16주간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 비교 방식으로 진행된다. DA-1241은 GPR119 agonist(작용제) 기전의 First-in-Class 신약으로 전임상에서 NASH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됐다. DA-1241 투여 후 간경화, 염증, 섬유화, 지질 대사 및 포도당 조절 등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DA-1241 글로벌 임상 2상을 2024년 하반기에 종료할 계획이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나스닥 상장사로 DA-1241과 DA-1726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는 동아쏘시오그룹의 글로벌 R&D 전진기지다. GLP1R/GCGR dual agonist로서 비만 및 N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726은 올해 하반기에 글로벌 임상 1상 IND를 제출할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동아제약 커뮤니케이션실 권희재 책임 02-920-836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신한카드, 개인사업자CB 활용해 소상공인 특화 대출 상품 출시
    신한카드가 개인사업자CB ‘MyCredit(이하 마이크레딧)’ 신용평가 모델을 활용해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상품을 선보인다. 신한카드(사장 문동권)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사인 데일리펀딩(대표 이민우)과 함께 소상공인 특화 금융 상품인 ‘My Daily 동네상권 사장님 대출’ 상품을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상품은 데일리펀딩이 고객에게 투자받아, 소상공인에게 대출을 해주는 온투업 금융 상품이다. 신한카드는 소상공인의 신용도 및 투자 적격성 심사 시 개인사업자 신용평가 서비스인 마이크레딧을 데일리펀딩에 제공하고, 데일리펀딩은 이를 활용해 대출 심사와 실행, 상환 관리 등 상품을 전반적으로 운영한다. 신한카드의 마이크레딧은 가맹점 매출을 비롯해 상권 및 고객 선호도 정보 등 신한카드가 보유한 대안 정보를 종합해 개인사업자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서비스다. 개인 신용정보를 중심으로 평가하던 기존 금융권의 평가 방식 대비 가맹점의 성장성과 안정성 등 가맹점 특성을 평가에 활용할 수 있어 개인사업자의 상환 능력을 더욱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이 금융 상품을 이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신한카드는 2021년 9월 금융사 최초로 개인사업자 신용정보업 허가를 획득해 개인사업자CB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개인사업자 신용평가, 매출 추정, 휴폐업 지수, 사업자 프로파일 등을 개발해 관련 데이터를 금융·공공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한편 데일리펀딩은 2021년 9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에 등록된 금융사로, 올 상반기 누적 대출액 8000억원을 돌파했다. 금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이 이용 가능한 다양한 상생 금융 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신한카드 홍보팀 02-6950-846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Online Retailers Feel Trapped Between Keeping Loyal Customers and Dwindling Profits: 90% Losing Money to Policy Abuse
    Riskified (https://www.riskified.com/) (NYSE:RSKD), a leader in ecommerce fraud and risk intelligence, today published “Policy Abuse and Its Impact on Merchants: Global Benchmarks 2023,” (https://www.riskified.com/lp/policy-abuse-global-benchmarks-report/) revealing how consumer misuse of refunds, returns, and promotional programs, alongside resellers, is forcing retailers and other merchants to strike a difficult balance between keeping customers and accepting an inevitable loss in profits. The report found that policy abuse-behaviors such as excessive returns, refund scams such as claiming an item was not received or returning empty boxes, abusing promotions like coupon codes or loyalty program rewards, or reselling limited-inventory items-is soaring: 90% of online merchants believe policy abuse is a significant problem for their bottom lines.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https://www.wsj.com/articles/online-retailers-tighten-return-policies-to-boost-profits-9bf6ccc2) that the cost to process $100 of returned merchandise is about $26.50. Riskified’s survey found that this number is likely even higher. Two-thirds of retailers (67%) said they can recoup less than half of the total value of a returned item. A representative from a leading fitness apparel brand that Riskified interviewed even said that, depending on item cost, their company might be better off financially if the customer broke into their warehouse and stole an item, rather than purchase and then return it. Lenient return policies and promotion programs are driving lost profits, yet merchants feel they must maintain their approach: 93% of retailers said it is “somewhat important” or “very important” for their organizations to offer generous refund and return policies to win new customers and retain loyal ones. 90% of respondents said they are reliant on promotions to drive sales and remain competitive. Other key findings from the Riskified’s policy abuse benchmark report include: · 9 out of 10 online retailers said they face significant costs due to policy abuse. · Policy abuse “peaks” at certain times of year. 70% of online merchants experienced a rise in all forms of policy abuse during the summer shopping season, and two-thirds (67%) saw more policy abuse during the post-holiday returns season. · Losses from policy abuse have increased year-over-year (YoY). 57% of merchants faced increased costs from INR (item-not-received) abuse between 2021 and 2022, compared to a 45% YoY increase for reseller abuse, a 38% YoY increase for promotional code and loyalty program abuse, and 37% YoY increase for returns abuse. Customer-centrism at a tipping point Amidst the challenging economic climate for ecommerce enterprises globally, the report identifies the key trends that are contributing to the rapid rise in policy abuse in 2023. According to Riskified’s data, the motivation for committing policy abuse is due to a mix of economic factors (such as inflation or entering a holiday period during which consumers have stretched disposable income)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a bad customer experience with a retailer). Policy abuse is a unique problem for merchants to tackle because, unlike traditional fraud, it can be committed by people who are otherwise good customers, and in most cases it requires no special skills or access to stolen credentials or accounts. An analysis of Riskified client data, for example, shows that on average 20% of all refund claims are abusive. Notably, policy abuse can cost some merchants even more than traditional fraud chargebacks, resulting in over $100 billion in losses for ecommerce merchants worldwide. Merchants are also burdened by the operational impacts of processing refunds and returns, most of which are handled manually. 62% of merchants said they do not currently have automated systems (including machine learning) to accurately identify and address policy abuse, and 65% of respondents use a manual review process for the majority of refund and return claims. It takes most retailers (68%) three to four days to process a refund or return. “Between Amazon fast and free returns, and popular deep discount flash sales, it has been a race to the bottom for merchants who feel that they must offer increasingly lenient programs in order to remain competitive,” said Jeff Otto, CMO at Riskified. “Although a wonderful experience for good consumers, a growing spectrum of hidden policy abusers have tipped the scales — deeply hurting merchant profitability. The key to solving this challenge is resolving the true identity of the consumer, extending trust and frictionless experiences to good customers, while curbing the abusers, and stopping the fraudsters.” Click here (https://www.riskified.com/lp/policy-abuse-global-benchmarks-report/) to download Riskified’s “Policy Abuse and Its Impact on Merchants: Global Benchmarks 2023.” Methodology Riskified commissioned WBR Insights, the custom research division of Worldwide Business Research, to interview more than 300 leaders from across a variety of online merchant organizations across the world, including United States, Australia, China, Japan, United Kingdom, Germany, Austria, Switzerland, Brazil, and Mexico. The companies represented report at least $500 million in total annual revenue from a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fast fashion, sporting goods, food delivery, consumer electronics, and travel, among others. The respondents consist of director-level and above management personnel who are in charge of fraud & risk, customer care, ecommerce, digital, asset and loss protection, IT, and payments and finance functions. About Riskified Riskified (NYSE:RSKD) empowers businesses to grow ecommerce revenues and profit by mitigating risk. An unrivaled network of merchant brands partner with Riskified for guaranteed protection against chargebacks, to fight fraud and policy abuse at scale, and to improve customer retention. Developed and managed by the largest team of ecommerce risk analysts, data scientists and researchers, Riskified’s AI-powered fraud and risk intelligence platform analyzes the individual behind each interaction to provide real-time decisions and robust identity-based insights. Learn more at Riskified.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14599363/en/ 언론연락처: Riskified PR for Riskified Aileen McNelis Cristina Dinozo Sr. Director of Communications Chett Mandel Head of Investor Relations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두들린, 그리팅에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 연동… 개발자 채용 경쟁력 높인다
    스타트업 두들린(대표 이태규)은 자사의 기업용 채용 관리 솔루션 ‘그리팅(Greeting)’과 그렙(대표 임성수)이 운영하는 개발자 평가·채용·교육 플랫폼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를 연동했다고 18일 밝혔다. 개발자 채용에 있어 코딩 테스트가 필수 관문으로 자리 잡은 만큼 누적 86만명 이상이 응시한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를 연동해 고객들의 채용 경쟁력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그리팅은 대규모 채용 및 수시채용에 특화한 기업용 채용 관리 솔루션(ATS, Applicant Tracking System)이다. △여러 채용 사이트로 접수된 지원자 정보 통합 관리 △기업별 채용 단계 커스터마이징 △손쉬운 면접 일정 조율 △중복지원자 확인 등이 가능해 하루에도 수백 건씩 쏟아지는 지원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돕는다. 프로그래머스는 개발자들의 커리어 성장을 돕는 플랫폼으로 △개발자 커뮤니티 △개발자 채용 △코딩 테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머스가 제공하고 있는 코딩 테스트는 △카카오 △라인 △LG △CJ 등 대기업 및 유수 IT 기업 1000여곳이 사용하고 있을 만큼 신뢰도가 높다. 프로그래밍 테스트와 실무 역량 테스트 두 가지로 구성돼 기본적인 코드 작성 능력뿐만 아니라 웹, 모바일, 머신러닝 등 직무에 대한 전문성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이다. 이번 프로그래머스와의 연동을 통해 그리팅을 이용하는 채용 담당자들은 간편하게 ‘국내 점유율 1위’ 코딩 테스트를 시행할 수 있게 됐다. 그리팅에서 테스트를 요청할 지원자를 선택하고, ‘코딩 테스트 요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지원자에게 코딩 테스트가 발송된다. 채용 담당자들은 코딩 테스트를 요청하기 위해 따로 프로그래머스에 접속하지 않아도 되고, 테스트 결과도 그리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면접관은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와 코딩 테스트 결과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의 의견을 한데 모아 지원자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와 연동한 채용 관리 솔루션(ATS)은 그리팅이 유일하다. 그리팅은 올해 초 프로그래머스와 개발자 채용 서비스도 연동해 양 플랫폼 간 채용 공고가 손쉽게 연동되도록 하고, 프로그래머스에서 지원한 개발 직군 지원자 정보는 그리팅에 바로 등록될 수 있도록 했다. 대다수 IT 기업이 그리팅을 이용하고 있는 만큼 개발 직군의 채용 수요를 충족하고, 그에 걸맞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번 연동을 계기로 양사는 신규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각각 혜택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 중 그리팅에 신규로 가입하는 고객에게는 그리팅 1개월 무료 체험 혜택이 제공된다. 그리팅 기업 고객 중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를 신규로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베이직, 프리미엄 초대권 구매자에 한해 코딩 테스트 응시 초대권 10% 할인이 제공된다. 두들린 이태규 대표는 “많은 기업이 개발자 채용 시에 코딩 테스트를 필수로 진행하고 있다”며 “대다수 IT 기업이 그리팅을 통해 개발자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를 연동해 고객 편의를 한층 높이고자 했다. 그리팅은 계속해서 채용 및 HR 관련 서비스를 연동해 고객들이 그리팅에서 채용의 모든 것을 누릴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두들린 홍보대행 오픈피알 조은우 070-7363-076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대동CMC, 에너지융합일반산업단지 내 신사옥 착공
    대동CMC(대표이사 최진혁)가 15일 울산 울주군 에너지융합일반산업단지에서 신사옥 착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대동CMC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에너지융합일반산업단지 내에 신사옥을 건립할 예정으로, 총면적 3100㎡ 규모로 2024년 2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신사옥 건설은 울산·부산·경남 등 인접 지역과 더불어 국내 모든 지역으로의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전략적인 투자의 일환이며, 직원들에게는 개선된 업무 환경과 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대동CMC는 기술의 가치를 중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추구하는 기술·경영 컨설팅 전문기관으로, 가장 앞선 기술을 연구·전파해 국내 기업의 강점을 끊임없이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주요 사업 분야는 기술사업화, 시제품 제작, 스마트공장 구축, 제품·규격 인증 등이며,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수출바우처, 관광바우처 등 여러 지원사업의 수행기관으로 활동하며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최진혁 대표이사는 “이번 신사옥 건립은 대동CMC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반이 마련된 것에 의미가 있으며, 넓어진 사업영역에서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 지역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대동CMC 컨설팅사업본부 정인식 주임 070-7825-011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음원 시장 진출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체험해보는 ‘유통작품제작 및 시장진출’ 교육 참가자 모집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김삼진)은 예술가들의 창작 지평을 확장하고 공연 시장 진입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2023 전통예술가 역량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전통분야 예술단체들의 음원 제작과 홍보마케팅 업무 수행을 돕는 ‘유통작품제작 및 시장진출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참여 예술단체와 음원 제작 및 마케팅 전문 기획사가 협업해 음원을 제작하고, 저작물 등록, 스트리밍 플랫폼 유통, 홍보마케팅 등 일련의 업무들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장진출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체험하면서 음원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수익 창출 시스템에 대한 직접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모 접수는 9월 15일부터 9월 27일까지로 창작곡을 보유한 전통예술단체 혹은 음원 창작 계획이 있는 전통예술단체라면 나이 제한 없이 지원할 수 있다. 참여 예술단체는 단체의 개성 및 목표, 음원 제작에 관한 계획성, 프로그램에 관한 적극성 등을 중심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선정된 예술단체는 단체별로 200만원의 창작 준비금을 지원받으며 음원 제작과 홍보마케팅 실무교육을 병행한다. 최종적으로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에 단체별 음원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앨범 유통을 목표로 한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김삼진 이사장은 “전통분야 예술단체들이 음원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해 나비효과를 일으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전통예술 단체들이 자생력을 키워 문화산업의 주인공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 전통예술가 역량강화 ‘유통작품제작 및 시장진출’ 교육 참가자 모집 접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누리집 (http://www.kotpa.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소개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전통예술의 진흥과 문화향수 기회 확대를 통한 국민의 문화 품격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재단 설립 허가를 받아 국악문화재단으로 출발했으며, 2009년 재단 명칭을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으로 바꿨다. 전통예술의 보급 및 저변 확대, 고품격 전통문화 콘텐츠 개발 및 전통예술의 대중화, 신진 인력 양성, 해외 교류 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기반조성팀 박혜주 차장 02-580-328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제트컨버터, NHN Cloud 마켓플레이스서 클라우드 재해복구 및 백업 서비스 프로모션 진행
    제트컨버터클라우드(대표 민동준)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NHN Cloud 마켓플레이스에서 구독형 서버리스 클라우드 재해복구 서비스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NHN Cloud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신규 고객은 제트컨버터클라우드의 서버리스 클라우드 재해복구 및 백업 서비스의 구독료를 3개월간 50% 할인받을 수 있다. 제트컨버터 서버리스 클라우드 재해복구 서비스는 운영 서버와 클라우드 플랫폼 간 완전히 다른 인프라 환경으로 발생되는 높은 클라우드 재해 복구 실패율과 관련해 운영 서버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클라우드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는 안정적인 클라우드 애그노스틱(Cloud-agnostic) 복구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온프레미스 재해복구 서비스 대비 향상된 클라우드 재해 복구 성공률과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리스(Serverless) 클라우드 재해복구 기술 제공으로 기업들은 온프레미스 재해복구 솔루션 대비 최대 80%의 총 소유비용(TCO) 절감 효과도 경험할 수 있다. 제트컨버터 서버리스 클라우드 재해복구 서비스는 기업의 클라우드 환경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재해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트컨버터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는 기업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지원하며,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고, 데이터 손실 시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데이터 암호화 및 3-2-1 백업 전략을 제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제트컨버터클라우드 민동준 대표는 “이번 프로모션은 NHN Cloud 고객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클라우드 재해복구 및 백업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트컨버터클라우드 소개 제트컨버터클라우드는 안전하고 신속한 디지털 전환 여정 성공을 위한 서버리스 클라우드 재해복구 솔루션과 혁신적인 자동 클라우드 전환 도구를 제공한다. 제트컨버터의 대표적인 성과는 △삼성전자 클라우드 재해복구 구독 서비스 △KB은행 클라우드 백업/재해복구 서비스 △LG화학, LG엔솔, 하나은행 OS백업 △삼성전자 멀티클라우드 자동전환 프로젝트 △북미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리스 재해복구 구독 서비스 등이며 국내 및 북미 기업에 서버리스 재해복구 솔루션과 자동 클라우드 전환 도구를 공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제트컨버터클라우드 기획재무팀 김지은 수석 02-3453-763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GS샵, 업계 최초 네트워크 기반 방송시스템 구축해 디지털 스튜디오 완성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샵이 홈쇼핑 업계 최초로 NDI(Network Device Interface) 기반 방송시스템을 구축해 디지털 스튜디오를 완성했다. GS샵은 7월 말 가장 큰 스튜디오에 가로 35.1m·세로 4.8m 크기의 초대형 LED 월(Wall)을 설치하는 데 이어 8월에는 NDI 프로토콜 기반 방송시스템을 구축하며 가장 완성도 높은 디지털 스튜디오를 운영할 수 있게 됐다. NDI(Network Device Interface)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다수의 방송 장비를 제어하거나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NDI 기반 방송시스템에서는 기존에 동축 케이블로 주고받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장비나 공간 등 물리적 제약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튜디오가 아닌 곳에서 생방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카메라와 송출 장비를 케이블로 직접 연결해야 했으나, NDI 기반 방송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어 이 같은 제약이 없어진다. 또한 TV와 모바일에서 같은 화면을 내보내기 위해서는 채널별로 각각의 카메라가 촬영해야 했으나 NDI 기반 방송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TV와 모바일에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GS샵이 NDI 기반 방송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현재 구축 중인 디지털 스튜디오를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서다. GS샵은 현재 네 곳의 스튜디오 중 가장 큰 두 곳에 LED 월을 설치해 디지털 스튜디오로 전환했다. LED 월은 디지털 소스를 스튜디오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만큼 다양한 영상 소스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NDI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시너지를 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예를 들면 여러 대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LED 월에 동시에 노출할 수 있고, 반대로 한 대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여러 스튜디오에서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TV홈쇼핑 방송 중 동시 송출되고 있는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를 LED 월에서 보여주는 것도 더욱 쉬워진다. 더불어 LED 월을 벗어난 영역에 증강현실(AR)을 구현하는 것도 훨씬 편리해지고 영상 소스 크기도 기존 16:9 비율 내에서만 구현하던 것에서 이제는 원하는 부분만, 원하는 크기로 사용할 수 있는 등 홈쇼핑 방송을 더욱 다채롭고 역동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됐다. 실제로 9월 7일(목)에 방송한 오로라 투어 여행상품 방송에서 밤하늘을 가득 채운 아름다운 오로라를 구현해 고객들의 눈을 사로잡은 결과 약 1200건의 상담 예약을 받았다. 권인혁 GS샵 영상제작2팀 매니저는 “NDI 기반 방송시스템은 가정에 비유하면 전등, TV, 가전기기 등 다양한 가전이나 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원격제어 등 기존에 할 수 없었던 기능을 구현한 것과 유사하다”면서 “디지털 스튜디오의 핵심인 LED 월에 그간 적용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해 고객과 협력사 모두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언론연락처: GS리테일 커뮤니케이션팀 서주희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AJ네트웍스, 꿀벌 서식지 복원 위해 밀원식물 식재
    AJ네트웍스(코스피 095570)는 최근 기후변화로 개체수가 급감한 꿀벌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서울 서초구 양재천에서 임직원이 참여하는 밀원식물 심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폭우와 침수 등으로 양재천 내 식물들이 뿌리째 뽑히며 현장에 서식하는 동물들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이에 AJ네트웍스 임직원으로 구성된 자원봉사자 20여 명은 15일 양재천에 밀원식물인 셀릭스 삼색버드나무 100그루와 씨드볼 형태의 나팔꽃 60개를 심어 꿀벌 생태계 복원 및 양재천 외관 개선에 기여했다. 특히 셀릭스 삼색버드나무는 탄소흡수 기능이 일반 소나무 대비 4배 높아, 회사는 이번 밀원식물 식재 활동을 통해 꿀벌 서식지 복원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흡수 및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보건복지부 인가 비영리법인인 체인지메이커와 함께 진행됐다. 체인지메이커는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특화된 국내 NGO 기관으로, 국내외 기업과 함께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다. AJ네트웍스는 기후변화로 위협받는 동식물 생물종다양성 보전 활동의 일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꿀벌 감소 현상을 막고자 이번 봉사활동을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환경 개선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다음 세대에게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자연유산을 물려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AJ네트웍스 홍보대행 서울IR 홍민영 매니저 02-2038-491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이너북, 국내 최초 성서식물 컬러링북 ‘나의 성서식물 색연필 컬러링북’ 출간
    이너북이 국내 최초 성서식물 컬러링북 ‘나의 성서식물 색연필 컬러링북’을 출간했다. ‘나의 성서식물 색연필 컬러링북’은 성경에 나오는 식물을 주제로 아름다운 성서식물의 섬세하고 영롱한 모습을 담은 그림 24점을 수록한 보태니컬 아트 컬러링북이다.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부터 조금은 낯선 이름의 식물까지 모두 성경 속에서 그리고 우리 곁에서, 항상 함께했던 자연의 모습과 식물의 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은 보태니컬 아트 작품을 접하고 컬러링을 즐기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 컬러링북 사용 방법, 색연필 선 연습, 색연필 채색 연습 등 다양한 정보와 더불어 부록으로 성서식물 엽서 6종까지 알차게 담았다. 아름다운 보태니컬 아트 작품이 그려진 성서식물 엽서에 마음을 담아 선물을 전해보자. 나만의 보태니컬 아트 컬러링을 완성하고, 마음까지 따뜻해지는 순간을 느낄 수 있다. ‘나의 성서식물 색연필 컬러링북’은 식물과 그림을 사랑하는 보태니컬 아트 작가 제니리의 보태니컬 아트를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층 더 섬세하고 발전한 컬러링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작가는 “어느 날 성경 말씀을 보면서 식물이 많이 비유돼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 뒤로 여러 시도를 하면서 성서식물 책을 내고 싶어 했고 여러 귀한 사람들과의 만남들 통해 드디어 ‘나의 성서식물 색연필 컬러링북’을 만들 수 있게 됐다. 이 책에 담긴 24점의 작품은 제주성서식물원에서 자라는 식물을 관찰해 그린 책이다. 식물원에서 자라는 아름다운 식물을 감상하고 그리면서 모두가 하나님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주 성서식물원 비블리아에서는 성서식물의 실물 제공과 성서 식물에 관한 이야기를 전달해줬다. 기독교 환경 운동연대는 성경 말씀을 통해 우리가 직면한 기후 위기, 생태계 위기를 도서에 풀어줬다. ‘나의 성서식물 색연필 컬러링북’의 아름다운 성서식물 24점을 따라 그리며 마음을 돌보고 나만의 컬러링을 완성해보자. 이너북 소개 이너북 출판사는 단행복 서적 전문 출판사로 2003년 설립해 자기계발, 실용, 인문 등 여러 분야의 도서 출판을 하고 있다. 현재 100종 이상의 도서들을 판매 중이다. 많은 독자들이 책을 통해 공감받고 위로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도서를 출판 중이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이너북 마케팅팀 김집 담당자 02-323-947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문화
    2023-10-02
  • 2023 실버문화페스티벌 in 경북 ‘어르신어울림한마당’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와 한국문화원연합회(회장 김태웅, 이하 한문연)가 주최하고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가 주관하는 ‘2023 실버문화페스티벌 in 경북’이 9월 20일(수) 예천문화회관에서 펼쳐진다. 본 축제에서는 ‘경북의 풍류문화’라는 주제로 60대 이상 어르신들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의 지역, 경북의 소중한 고유문화를 발굴하고 선양하는 주체로서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전시와 체험, 공연형태로 선보인다. 이중 전시·체험마당에서는 포은문화원의 어르신들이 만든 천자문 작품과 한국한지문화예술원의 한지공예작품, 의성 성광성냥공장의 마지막 세대 어르신들의 추억을 기록한 다양한 작품을 만나 볼 수 있으며, 고서 만들기 체험, 천아트 체험도 진행된다. 전시·체험마당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된다. 공연마당에서는 22개 경북지역 어르신 단체 및 동아리가 준비한 무대가 펼쳐진다. 사라져가는 지역의 무형문화를 계승한 의성만경풍물패, 영주 순흥도호부 취타대, 향가를 접목한 퓨전창작극, 풍물, 민요, 우리춤 외 연극, 라인댄스, 난타 등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구성으로 흥겨운 시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공연마당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펼쳐진다. 이외에도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고령화시대 노년세대의 사회적 역할과 노년문화’라는 주제로 포럼을 진행해 다양한 참여자가 교류하고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와 관련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는 지역의 어르신들이 주체가 돼 축제를 준비하시는 모습을 보며 젊은이 못지않은 끼와 열의를 느낄 수 있었다며, 아마추어 어르신 예술가들에게 예술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이런 축제가 앞으로 더 확대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실버문화페스티벌’은 아마추어 예술가로 활동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조명하고 문화를 매개로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 활동의 장을 마련하고자 2015년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대표적인 어르신 문화예술 축제다. 올해부터는 경연을 통해 지역별 우수공연팀을 선정하는 기존의 지역예선 형태에서 벗어나 각 지역별 특색 및 주제에 맞게 다양하게 펼쳐지는 어르신 문화활동을 한자리에 모아 각자의 활동 및 성과를 보여주는 지역민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축제 형태로 진행된다. 한국문화원연합회 소개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전국 16개 시·도연합회와 231개 지방 문화원의 다양하고 특색 있는 창조적 지역 문화 활동을 통해 세계화·지방화(Glocalization) 시대 지역 문화를 통한 한국 문화의 위상을 세계 속에 널리 알리고 전승하는 데 목적을 둔 단체다. 언론연락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사업팀 김규리 주임 02-704-024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 현대음악 전문그룹 project21AND 제7회 정기연주회 the TRIO 개최
    project21AND가 주최하고 현대문화기획이 주관하는 project21AND 제7회 정기연주회 ‘the TRIO’가 9월 25일 일신홀에서 공연된다. project21AND는 2013년 창단해 코로나 기간을 제외하고는 10년간 매해 정기연주회를 진행하며 한국 작곡가의 창작곡을 발표하고 있다. 매번 참신하고 예술성 깊은 회원 작품과 초청 작품을 함께 무대에 올리며 마니아층을 형성해 온 project21AND는 3년간의 공백을 깨고 다시 대중 앞에 작품을 올린다.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창작 사업에 선정되기도 한 이번 작품들은 한국 작곡가의 작품을 현대음악 전문 연주자의 해석을 포함해 서로 긴밀히 교류하며 만들었기에 그 의미가 더욱 크다. project21AND 제7회 정기연주회 the TRIO는 공연명에서 알 수 있듯이 삼중주로 편성된 작품을 다수 포함한다. 김정훈의 ‘이중 슬릿’은 양자역학의 핵심을 보여주는 이중 슬릿 실험을 소재로 해 음악 형식적 측면에서의 연결의 문제가 아닌 그 자체로서 혁신적인 트리오의 구성을 작곡 의도로 하고 있다. 임승혁의 ‘Reversible’ 역시 트리오 편성으로, 현재에 안주해 익숙함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신이 과거의 불안하기에 치열했던 나를 돌아보며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가역적(reversible)이고자 하는 심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병무의 ‘개체의 서(書)’는 ‘세 개의 개성적인 솔로 악기들이 모여서 연주할 때, 전체 음향의 조화를 위해서 항상 자신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연주돼야 한다는 생각을 부정한다면, 정말 앙상블이 깨지는 것일까?’라는 재미있는 발상에서 시작했다. 세 악기의 각 개성이 그대로 드러나게 해 기존의 균형을 의도적으로 깨뜨리는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새로운 표현 방법을 모색한 작품이다. 서유라의 ‘Breeze’는 바로크 시대의 트리오 소나타를 아이디어로 삼아,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의 전형적인 피아노 3중주에 클라리넷이 추가돼 4중주로 구성되지만 부분적으로 네 악기 간의 3중주를 구성하면서 또 다른 트리오 편성을 포함하게 작업했다. 김승림의 ‘Zero’는 동사로 ‘영점을 맞추다, 차이를 없애다’ 등의 뜻이 있으며 시대가 흐를수록 음악은 각 악기의 개별성이 더 심화하고 복잡한 텍스쳐(texture)를 갖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도 그것이 더 큰 하나의 음향(sound)으로 표현되거나 조화를 이루려는(harmonize) 양면의 노력을 수반한다는 작가의 생각을 반영했다. 이렇듯 작가 개인의 다채로운 아이디어를 표현하며 다양함을 주는 것이 이번 공연이 기대되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새로운 공연에 대한 기대를 한껏 받으며 공연 준비에 한창인 김정훈 음악감독은 “이번 project21AND의 연주회는 Trio라는 이름 아래 이전에 크고 복잡한 편성의 연주회와 달리 좀 힘을 빼고 작은 편성으로 그다음을 위한 전환을 모색하려고 하는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 과거가 아닌 ‘현재’의 나와 음악에 ‘영점을 맞추는 일’을 하면서 미래로의 전환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현대문화 소개 현대문화는 1975년 도서출판 수문당으로 출발해 대한민국의 작곡 분야에 여러 뜻 있는 일을 시작했다. 수많은 작곡가의 작품과 음악 이론서를 출판했고 작곡 단체의 공연을 함께했다. 2008년 12월 사업 분야를 세분화해 음악 이론서와 번역서 출판은 도서출판 수문당, 공연 기획과 보다 전문적인 이론서와 현대음악 작품 출판은 현대문화가 진행하고 있다. 또 양질의 클래식 공연을 엄선해 기획을 진행해 오고 있다. 척박한 한국의 현대 음악 분야를 개척하는 일에 작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할 계획이다. 언론연락처: 현대문화 홍보팀 최영선 실장 02-2266-130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 웹케시, 자금관리 고민 혁파 세미나 성공적 개최
    B2B 핀테크 전문 기업 웹케시(대표 강원주)가 9월 14일 서울 영등포 본사에서 ‘자금관리 고민 혁파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자금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회계, 재무팀 담당자 등 자금 분야에 관심 있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웹케시는 25년의 기업 자금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주요 자금 트렌드를 공유하며, 이에 적합한 솔루션을 소개하고 혁신 방안을 제안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자금관리와 현금흐름의 중요성 △C레벨이 원하는 자금보고 방식 △위기를 대처하는 DX for Business △사업 성공을 위한 최선의 세무 컨설팅 순으로 진행됐으며, 웹케시의 다양한 솔루션을 활용한 효율적인 자금관리법 소개로 이뤄졌다. 특히 웹케시는 고객사의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자금관리 신제품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도입 기업들의 의견을 수용해 개발한 디지털 자금보고서 ‘웹케시 대시보드’를 출시해 CEO, CFO들의 큰 호응을 얻는 중이다. 발표 세션이 끝난 뒤에는 전문 컨설턴트와 자금 고민을 상담할 수 있는 네트워킹 시간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전문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통해 자금 관련 인사이트를 얻고, 현재 기업이 겪는 고충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웹케시 강원주 대표는 “웹케시는 DX 시대에 발맞춰 기업이 단순 자금관리를 넘어 기업 내 타 담당자도 자금 전체 흐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며 “경영진과 실무진 모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현장 밀착형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기업의 투명한 자금관리를 돕겠다”고 말했다. 웹케시는 현재 22개 은행, 18개 카드사, 24개 증권사, 40개 보험사, 세계 42개 국가와 459개의 금융기관과 연계한 실시간 금융 수집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소상공인부터 중소/중견, 대기업까지 기업 규모에 따른 B2B 핀테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150명의 전문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통해 기업의 맞춤형 자금 고민 해결이 가능하다. 웹케시 소개 웹케시는 IMF 이전 부산·경남 지역을 연고로 전자 금융을 선도하던 동남은행 출신들이 설립한 핀테크 전문 기업으로, 1999년 설립 이후 20년간 국내 최고 기술 및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SW) 분야의 혁신을 이뤄오고 있다. 웹케시는 설립 후 지금까지 다양한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여 왔다. 2000년 편의점 ATM 및 가상계좌 서비스, 2001년 국내 최초 기업 전용 인터넷 뱅킹, 2004년 자금관리서비스(CMS) 등은 현재 보편화한 기업 금융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뿐만 아니라 업계 최초로 B2B 핀테크 연구 센터를 설립해 사례 조사, 비즈니스 상품 개발 및 확산, 금융 기관 대상 핀테크 전략 수립 컨설팅 등 분야 전반에 걸친 연구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며 B2B 핀테크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웹케시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CMS는 초대기업부터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까지 특화해 있으며 기존에 마땅한 SW가 없던 소기업용 경리 전문 SW ‘경리나라’를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 캄보디아, 일본에 3개의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웹케시그룹 김도열 이사 02-3779-06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 더존비즈온,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역량 세계 입증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은 자사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술력을 통해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이 ‘HIMSS AMAM Stage6’ 인증을 획득하며 국제적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18일 밝혔다. 더존비즈온의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이 보유한 기술적 기반을 토대로 전문성을 인정받은 결과다. 미국 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학회(HIMSS)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발전과 효율성 확보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 비영리단체다. 의료기관 정보화 수준을 평가·검증하고 표준을 제시하는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인증기관으로 꼽힌다. 삼성서울병원이 획득한 AMAM( Adoption Model for Analytics Maturity)은 의료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분석 역량의 성숙도를 책정한 인증이다. 더존비즈온은 HIMSS AMAM 심사 과정에 참여해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과 삼성서울병원 Private CDW(Clinical Data Warehouse) 구성 및 서비스 내용을 직접 발표했다. 특히 더존비즈온의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임상적 위험 개입 및 데이터 예측·분석 역량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삼성서울병원이 6단계 인증을 획득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삼성서울병원은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HIMSS 2023 아시아퍼시픽 지역 디지털 헬스케어 어워드’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강원특별자치도가 발주하고 더존비즈온과 삼성서울병원 등 10개 대형병원, 관련 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뤄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하나의 통합된 헬스케어 생태계를 구현해 정보의 표준화, 공유화를 꾀한다는 목표다. 다수 대형병원이 참여하는 양질의 의료 데이터 수집 기반을 구축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데이터 분석도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의 결과물인 CDW는 더존비즈온이 보유한 클라우드·빅데이터·AI 기술과 삼성서울병원의 임상 연구 데이터 제공 방법·시스템 특허가 유기적으로 접목된 것이 특징이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병원의 연구용 의료 데이터 수집부터 클렌징, 레이블링, AI 모델링까지 적재·가공·분석하며, 데이터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삼성서울병원과 강원대병원 2곳이 CDW 구축을 완료했으며, 올해 삼성창원병원·강북삼성병원·분당차병원 등 3개 병원, 2024년도에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부민병원 등이 CDW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더존비즈온 송호철 플랫폼사업부문 대표는 “삼성서울병원의 HIMSS AMAM Stage6 인증 획득은 세계 무대에서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의 디지털 헬스케어 경쟁력과 데이터 분석 역량을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통합된 의료 생태계를 구현하고 환자 중심의 맞춤형 정밀의료 혁신, 병원 간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 서비스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해 나가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더존비즈온 홍보실 김성훈 차장 02-6233-259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 기아, 전기차 공유 서비스 ‘위블 비즈’ 운영 지역 확대
    기아가 강원도 홍천군과 손잡고 전기차 공유 서비스를 시작해 지역 상생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 기아는 전기차 공유 서비스 ‘위블 비즈’를 기존 경기도 화성시, 광명시, 경상남도에 이어 강원도 홍천군에서 확대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위블 비즈는 기업이나 기관이 정해진 업무시간 동안 전기차를 구독해 평일 업무시간에는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그 외 시간에는 개인이 출퇴근 혹은 주말 레저용으로 차량을 대여해 이용하는 친환경 공유 서비스다. 이번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대중교통이 많지 않은 군 단위 지자체에 최초 도입됐으며, 홍천군의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해 지역 주민/상인/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스마트도시 협의체’에 참여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스마트도시 협의체는 집합교육과 리빙랩 방식을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도시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홍천군만의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발굴을 목표로 삼고 있다. 리빙랩은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생활 속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설계해 직접 문제해결까지 진행해 나가는 사회혁신 정책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위블 비즈의 친환경 차량과 홍천군의 주요 관광지 및 음식점을 연계하는 방안들을 발굴하고 사업성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아는 홍천군청에 4대의 니로 EV 전기차를 투입한다. 해당 차량은 평일 업무시간에는 홍천군청 공무원들이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야간 및 주말에는 스마트도시 협의체 구성원/지역 주민/공무원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위블 비즈를 이용할 경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손쉽게 전기차를 예약할 수 있으며 전용 주차 구역에서 편리하게 차량을 픽업하고 반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대여뿐만 아니라 차량 관리와 충전, 애플리케이션, IT 솔루션까지 맞춤형으로 제공해 이용자와 관리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아는 이번 서비스 확대는 기업/공공기관/지역 주민이 협력해 지역에 필요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위블 비즈가 교통복지 개선과 지역 관광 활성화 등 지역사회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기아는 전기차를 기반으로 하는 모빌리티 사업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솔루션, 배터리, 차량 상태, 운행 데이터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기차 전후방 산업을 동시 육성하는 등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언론연락처: 기아 홍보팀 02-3464-210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 시립서대문청소년센터, 청소년 해외자원봉사활동 통한 글로벌 리더십 실천
    시립서대문청소년센터는 여성가족부가 주관하고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주최한 청소년 해외자원봉사단 공모사업 ‘2023년 꿈과 사람속으로’에 선정돼 7월 30일(일)부터 8월 5일(토)까지 몽골 울란바토르 인보지역 아동센터에 청소년 해외자원봉사단(이하 봉사단) 14명을 파견했다. 봉사단은 SDGs(지속발전목표)를 주제로 예술 활동, 문화교류, 환경교육 등 프로그램 전반에 계획부터 실행, 평가까지 주체적으로 진행했다. 봉사단은 인보지역 아동센터 청소년과 함께 태권도 교류, 환경정화 벽화 활동, 한-몽 환경선언문 공동 채택, SDGs 올림픽, 쓰레기 줍깅 등 다양한 환경 활동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특히 서울여자간호대학교와 협력해 칫솔질, 손 닦기 등 위생 보건 교육을 통해 몽골 청소년들의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도왔다. 해외자원봉사단의 박세휘(16세)는 “해외 봉사 활동을 통해 몽골의 환경을 이해하고, 언어가 다른 친구들과 지구 환경을 위해 고민하고 실천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대문청소년센터 소개 서대문청소년센터는 ‘행복 GREEN 서대문 청소년’이라는 비전으로 청소년의 참여 권리, 진로 탐색과 경험, 건강한 여가, 세계시민으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평생교육(문화 예술 및 스포츠)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의 문화생활을 책임지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대문청소년센터 청소년활동팀 김혜은 070-4550-672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