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7-27(목)

뉴스
Home >  뉴스

실시간뉴스

실시간 뉴스 기사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10월 12일 ‘2023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 개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10월 12일 ‘정신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언론보도 가이드라인의 방향성’을 주제로 ‘2023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은 실시간 온라인 생중계(Youtube)로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가 발표한 2021년 서울시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89.8%가 ‘뉴스기사, 매스미디어’를 선택했다. 그 외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대중들이 언론을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언론 보도에 따라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언론보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21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서울시,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와 함께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해 언론인들이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정신질환 보도 가이드라인 1.0’을 공동 개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1년 동안 언론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이번 정신건강 연구심포지엄에서는 그간 진행한 언론 모니터링 사업의 결과를 공유하고, 정신건강과 관련된 편견 해소 및 인식개선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심포지엄은 총 세 개의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정신질환 보도지침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일빈 교수가 기조발제를 진행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정신건강 보도 가이드라인 모니터링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주제로 △언론 모니터링 결과와 제언(김지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상임팀장) △자살보도 권고기준의 성과와 제언(신은정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본부장)을 각각 발제한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올바른 언론보도를 통한 정신질환 편견 및 낙인 해소 방안 제언’을 주제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이해우 단장이 좌장을 맡고, 토론자로 △마인드포스트 박종언 편집국장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윤정혜 위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이진한 부회장(동아일보 의학전문기자) △SBS 시민사회부 박하정 기자 △서울특별시 이경희 정신건강과장이 참여한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이해우 단장은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은 정확한 정보 전달을 넘어 정신질환 치료, 관리를 위한 접근성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심포지엄이 통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미디어의 순기능을 발현시키는 것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2023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은 서울시 정신건강서비스와 정책 동향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심포지엄 참여를 희망하는 경우 포스터의 QR코드 및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할 수 있으며, 10월 11일(수)까지 신청하면 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문의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으로 하면 된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소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05년 전국 최초로 개소한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다. 서울시민들의 정신건강 향상과 정신질환 예방,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있는 시민도 더불어 살며 회복되는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들과 협력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예방팀 김보람 02-3444-9934(내선2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네슬레 퓨리나 ‘냥파티 파티믹스 캠페인’ 통해 소비자와 함께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제품 기부
    세계적인 반려동물 식품 전문기업 네슬레 퓨리나가 7월에 진행한 ‘냥파티 파티믹스 캠페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파티믹스 제품 3000개를 기부했다고 밝혔다. 네슬레 퓨리나는 7월 ‘냥파티 파티믹스 체험단’ 200명을 모집하고 파티믹스 제품과 반려묘 소품이 담긴 굿즈박스를 증정했다. 또한 제품 후기를 남긴 인원 중 7명의 우수체험자를 선정해 총 100만원 상당의 경품을 증정하고, 그와 별개로 인스타그램 릴스 필터 챌린지와 체험단 활동을 통해 생성된 포스트와 해시태그 수만큼 파티믹스 제품 정품을 기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캠페인에 참여한 포스팅 수는 436건, 해시태그 수는 469건으로 총 905건의 결과를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네슬레 퓨리나는 포스팅 및 해시태그 1개당 파티믹스 3개씩 기부로 모아진 약 2700개에 300개를 추가해 총 3000개의 파티믹스 제품을 12일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기부했다. 네슬레 퓨리나는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고양이 사료와 간식 및 용품을 약 4700kg 이상 전달하는 등 지속적으로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사료와 간식을 기부하며 유기묘와 길고양이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네슬레 퓨리나는 이번 파티믹스 체험단 및 기부 캠페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에게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지원 및 기부 캠페인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네슬레 퓨리나가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전달한 파티믹스는 다양한 모양의 바삭한 키블로 차별화된 식감을 선사하는 동시에 풍부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첨가된 고양이 영양 간식이다. 언론연락처: 롯데네슬레코리아 홍보대행 피알게이트 배윤지 AE 02-792-263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스타일 감성과 방수를 한번에… 모토로라 ‘엣지 40’ 5G 스마트폰 국내 출시
    모토로라코리아가 초고속 5G 스마트폰 ‘엣지 40(Edge 40)’을 국내 출시했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모토로라의 첫 자급제 시장 출시 모델인 엣지 30(Edge 30)의 후속 모델로 오픈마켓 단독 파트너인 쿠팡을 통해 판매된다. 손에 쏙 잡히는 7.6mm 슬림 사이즈의 모토로라 엣지40은 초슬림 5G 스마트폰 설계를 바탕으로 세련된 디자인을 구현했다. 미디어텍 디멘시티 8020(MediaTek Dimensity 8020) 모바일 플랫폼 기반으로 8GB 메모리(RAM)와 이전 모델 대비 2배 증가된 256GB 저장 용량 모델로 제공된다.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넓은 조리개(f/1.4)를 적용해 저조도 촬영에 최적화된 5000만 고화소(50MP) 카메라를 자랑한다. 144Hz 주사율을 지원하는 풀HD+OLED 디스플레이,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 사운드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멀티미디어 경험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더욱 확장된 고속 충전(68W) 및 무선 충전(15W) 기능을 추가하고 이전 모델 대비 대폭 강화된 4400mAh 배터리를 장착했다. 매끈하고 현대적 디자인의 엣지 40은 좌우로 기울이면서 변화되는 은은한 보석 같은 패턴으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디스플레이 지문 판독기를 사용하면 화면 터치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슬림 디자인과 167그램 초경량 설계가 어우러져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사용자들의 손과 팔의 피로감을 확연히 덜어준다. 아름답고 매끈한 모토로라 엣지 40은 곡면 글래스 디스플레이와 곡면 후면 인레이가 매끄럽게 조화를 이루며 끝없이 펼쳐지는 엣지 디자인으로 놀라운 외관과 느낌을 선사한다. 전면에는 베젤이 거의 없는 3D 글라스 디스플레이가 탑재됐으며, 뒷면 곡선형 인레이는 손의 자연스러운 윤곽에 잘 맞는다. 비건 가죽을 적용해 견고한 그립감과 함께 부드러운 촉감이 느껴진다. 167그램 초경량 설계는 사용자에게 또 다른 편안함을 제공한다. 각 측면은 정밀하게 절단된 샌드블라스트 알루미늄 프레임과 매끄럽게 결합해 고급스러운 외관과 느낌을 더한다. 엣지 40 사용자는 144Hz 주사율과 HDR10+의 6.55인치 OLED 디스플레이로 좋아하는 영화와 게임을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이 지원되는 엣지 40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보다 깊고 선명한 사운드도 경험할 수 있다. 모토로라 ‘레디 포(Ready For)’ 기능을 통해 모니터나 TV에 무선으로 엣지 40을 연결, 더 큰 화면에서 영상/게임 등의 콘텐츠를 생생히 즐길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노트북 브랜드 씽크패드(ThinkPad)에 적용된 보안 플랫폼 씽크쉴드(ThinkShield) 기술이 탑재돼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네뷸라 그린 △이클립스 블랙 △비바 마젠타(준비 중) 세 가지 색상으로 구성된다. 공식 출고가는 49만9000원(256GB)이며 쿠팡 로켓배송으로 구매 가능하다. 10월 3일까지 진행되는 쿠팡 특별 할인 이벤트를 통해 39만9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와우 회원의 경우 9월 30일까지 구매하면 추가 5% 할인이 적용돼 37만9050원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롯데하이마트 오프라인 주요 매장에서도 10월 중 판매될 예정이다. AS는 전국 46개 모토로라 서비스센터에서 2년간 무상 지원된다. 모토로라 엣지 40 기술 사양 · 운영 시스템: 안드로이드 13 · 프로세서: MediaTek Dimensity 8020(6나노미터) · 메모리: 8GB(RAM) · 저장 용량: 256GB · SIM 카드: 싱글 SIM(나노 SIM) · 디스플레이: 6.55인치 OLED 디스플레이, 144Hz 화면 주사율, HDR 10+ · 메인(후면) 카메라: 50MP 고해상도 카메라, 메인(광각) 50MP f1.4, 초광각 13MP f2.2 120도, OIS 손 떨림 방지 탑재 옴니 PDAF(다중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Instant All-Pixel Auto Focus (전 화소 즉시 자동 초점) · 전면 카메라: 32MP f2.4 · 사운드: 듀얼 스테레오 스피커, Dolby Atmos, 모토로라 공간음향 테크놀로지 · 전원: 4400mAh 배터리, 터보파워 68W(TurboPower 68) 고속 충전, 무선 충전 15W · 무선연결: 802.11 a/b/g/n/ac/6E, 블루투스 5.2 · 네트워크 대역: 2G GSM / 3G UMTS / 4G LTE / 5G · 방진 방수: IP68 · 크기/무게: 158.4 x 72 x 7.6mm, 167g · 패키지 구성: 모토로라 엣지 40, 터보파워 충전기, USB 타입 C 케이블, 제품설명서, SIM 툴, 투명 젤리케이스 · 색상: 네뷸라 그린, 이클립스 블랙, 비바 마젠타(준비 중) 언론연락처: 모토로라코리아 홍보대행 KPR 송영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안리쓰, MPI™ 및 ATV 시스템과 협력해 European Microwave Week 2023에서 6G AiP 측정 전시
    안리쓰는 MPI 및 ATV와 협력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EuMW 2023(European Microwave Week 2023)’에서 최첨단 6G 패키지 안테나(Antenna in Package) 측정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특허받은 NLTL 기술 기반 밀리미터파 확장기와 함께 70㎑에서 220㎓까지 스위프하는 VectorStar™ VNA로 구성돼 있다. 밀리미터파 확장기는 업/다운 신호를 220㎓로 변환하며 크기가 너무 작아 사전 프로그래밍된 고해상도 단계로 AiP 주변 스캔을 수행해 D 및 G 밴드 주파수에서 정확한 안테나 방사 패턴 측정을 제공하는 로봇 팔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로봇 팔과 프로브 스테이션은 각각의 프로브 스테이션 영역과 측정 자동화 전문 지식에서 뛰어난 MPI 및 ATV 시스템이 제공한다. AiP는 유리 기판이나 기타 재료에 배치할 수 있는 안테나 측면에서 프로빙할 수 있으며, 프로빙이 안테나의 방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바닥에서 프로빙할 수도 있다. AiP 프로빙에 사용되는 특수 티타늄 프로브는 VectorStar의 밀리미터파 모듈에 연결된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단일 종단형 또는 차동형일 수 있다. MPI 소개 반도체 테스트 업계에서 19년의 경력을 보유한 대만 회사인 MPI Corporation은 프로빙 기술을 선도해왔다. 이번 협력을 위해 MPI는 6G AiP와 같은 고주파수 및 복잡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최첨단 고정밀 프로브 스테이션을 제공했다. MPI의 프로브 스테이션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측정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차세대 반도체 테스트에서 탁월한 성능을 선택할 수 있다. ATV 소개 AutomatisierungsTechnik Voigt GmbH(ATV)는 2000년 설립됐으며 독일 드레스덴에 본사를 둔 중소기업이다. ATV는 산업, 연구 및 개발 분야의 측정, 테스트 및 제어 기술을 위한 혁신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20년 넘게 제공해왔다. ATV는 산업용 반도체 제조의 성공적인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잘 알려진 파트너의 장비를 사용해 웨이퍼 및 패키지 구성 요소에 대한 고객별 시스템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 ATV는 업계 및 연구 파트너에게 혁신적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갖춘 완벽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안리쓰코퍼레이션 소개 안리쓰는 혁신적인 통신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을 제공한다. 안리쓰는 고객을 진정한 파트너로 참여시켜 연구개발(R&D), 제조, 설치 및 유지 보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무선, 광, 마이크로파/RF 및 디지털 솔루션과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차원의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안리쓰는 또 통신 제품 및 시스템을 위한 정밀 마이크로파/RF 컴포넌트, 광학 디바이스 및 고속 전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업, 민간, 군사/항공 우주, 정부 및 기타 시장에 사용되는 신흥 및 레거시(legacy) 유무선 기술을 위한 고급 솔루션을 개발한다. 언론연락처: 안리쓰코퍼레이션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연승은 과장 031-696-775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몰로코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 첫 발간… 퍼포먼스 마케팅으로 변환 가속화 이어져
    머신러닝 솔루션 분야 선두기업 몰로코(Moloco, 대표 안익진)가 글로벌 마케팅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와 진행한 첫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인도네시아,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을 포함한 9개국의 모바일 앱 마케터 16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모든 산업군에 걸쳐 꾸준히 성장 몰로코의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글로벌 기업의 64.7%(한국 55.5%)는 전년 대비 모바일 광고 예산을 증액했으며, 응답 기업의 모바일 광고 예산은 평균적으로 약 25.7%(한국 21.7%) 증가했다. 또한 응답 기업 중 63.2%(한국 58.2%)가 2022년부터 전체 모바일 광고 예산에서 퍼포먼스 마케팅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퍼포먼스 마케팅은 2023년 모바일 광고 예산의 45.7%(한국 46.7%)를 차지했으며, 이는 브랜드 마케팅의 41.4%(한국 41.9%)를 상회했다. 매출 및 수익 증대에 있어 퍼포먼스 마케팅의 필요성이 꾸준히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한국은 비슷한 범주 내에서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는 추세지만 글로벌 평균보다는 모바일 광고 예산 증액이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글로벌 대비 한국의 모바일과 앱 시장이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성과 중심 마케팅의 선순환 구조, 사용자 확보 및 ROAS 개선에 기여 퍼포먼스 기반 모바일 마케팅 프로그램을 활용 중인 기업들은 만족도 평가에서 5점 만점에 평균 4.4점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성공적인 신규 사용자 확보와 고가치 사용자 확보, ROAS(광고비 대비 매출액) 개선을 이유로 꼽았다. 다만 국내 응답자의 경우 평균 점수가 3.97점으로, 참여 9개국 중 유일하게 3점대의 만족도를 기록해 퍼포먼스 기반 모바일 마케팅에 대한 국내 마케터들의 높은 기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국내 마케터들은 전년 대비 브랜드 마케팅보다 퍼포먼스 마케팅 예산을 증액한 이유로 ‘기존 브랜드 마케팅보다 효과적인 매출 성장 촉진(47.1%)’과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수익성 확보(45.9%)’를 꼽았다.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솔루션 선택에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는 ‘고급 머신러닝 기술’ 글로벌 마케터의 37%는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솔루션 선택 시 10가지의 주요 고려 요소 중 ‘고급 머신러닝 기술’이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이라고 답했다. ‘글로벌 도달 범위(23.1%)’와 ‘고가치 사용자 확보(18.1%)’가 각각 2, 3위로 뒤를 이었다. 개별 국가 추세로 봤을때 한국과 싱가포르, 프랑스의 경우 ‘고가치 사용자 확보’와 ‘글로벌 도달 범위’를 우선순위에 두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국은 ‘고가치 사용자 확보’가 26%로 9개국 중 가장 높아 이에 가장 큰 니즈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익진 몰로코 대표는 “도달(reach) 중심의 마케팅에서 성과(results) 중심 마케팅으로 전환하기 위한 움직임이 여러 국가 및 산업군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많은 모바일 앱 마케터들은 빅테크 기업의 독보적인 광고 성과 비결이 고급 머신러닝 기술과 퍼포먼스 마케팅 솔루션임을 인지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가 글로벌 차원에서 나타나는 이유는 불투명한 경제 상황 속에서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이 매출, 사용자 확보 및 수익 창출에 있어 성과를 보장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입소스 자문 서비스 Strategy3의 하현정 본부장은 “모바일 마케팅에 있어 퍼포먼스 마케팅은 이제 국가를 불문한 트렌드”라며 “마케터들은 일반적으로 업무 비결을 공개하기 꺼려 하지만, 익명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를 통해 모바일 마케터들의 전략적 마케팅 의사결정 및 투자에 대한 상세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ROAS와 같은 측정 가능하고 의미 있는 성과가 꾸준히 지속된다면 이는 많은 글로벌 퍼포먼스 마케팅 예산안의 성공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 전문은 몰로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사 방법론 몰로코는 입소스와 함께 2023년 4월 3일부터 5월 1일까지 총 9개국의 모바일 앱 마케터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상세한 인사이트 수집을 위해 객관식 질문으로 구성됐다. 편중되거나 모호한 답변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심하게 질문을 설계했으며, 솔직한 답변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응답은 익명으로 처리됐다. 표본 정의 미국(300명), 영국(225명), 독일(190명), 프랑스(207명), 한국(146명), 일본(100명), 싱가포르(184명), 베트남(169명), 인도네시아(154명)의 다양한 산업군 모바일 앱 보유 기업 소속 마케터 및 마케팅 대행사의 앱 마케터 1675명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모바일 앱 마케팅 예산 집행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마케터를 응답자 기준으로 설정했다. MOLOCO 소개 몰로코는 머신러닝 기반의 광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고유의 빠르고 강력한 머신러닝으로 모든 기업의 성장과 퍼포먼스 극대화를 도모한다. ‘몰로코 클라우드 DSP’는 퍼포먼스 마케터가 자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 창출에 최적화된 광고 캠페인을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몰로코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은 커머스 플랫폼과 마켓플레이스가 자체적인 퍼포먼스 광고 사업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몰로코 수익화 솔루션’은 스트리밍 서비스 및 OTT 플랫폼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의 수익화 플랫폼으로, 자체적 지면과 데이터를 통해 퍼포먼스 광고 수익화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몰로코는 전 구글 머신러닝 엔지니어 팀에 의해 2013년 설립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레드우드시티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현재 미국, 영국,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 등에 10개의 지사가 있다. 더 많은 정보는 몰로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몰로코 홍보대행 호프만에이전시 코리아 몰로코 팀 김경선 과장 02-737-2947 김민지 대리 02-737-294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InEight’s Newest Innovations Empower Collaboration for Improved Project Success
    InEight (https://ineight.com/innovations/?utm_source=Press_Release&utm_medium=Earned_Media&utm_campaign=230926_PR_GL&utm_content=september-innovations), a global leader in construction capital project management software, has announced new innovations (https://ineight.com/innovations/?utm_source=Press_Release&utm_medium=Earned_Media&utm_campaign=230926_PR_GL&utm_content=september-innovations) that will help collaboratively resolve design issues early on to avoid re-work, and embed quality control in all construction activities to enable progressive review and turnover of complex, multi-discipline projects. The new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feature will help contractors close the gaps between quality requirements and daily work and mitigate risks that can de-rail successful project delivery. The feature will integrate Inspection Test Plans and checklists with construction work plans, field progress and project documentation, enabling contractors to secure rapid ongoing approval of project turnover requirements while avoiding quality issues or project delays. The feature will provide all stakeholders real-time oversight of project progress, improving accountability, streamlining project handover and supporting greater owner-contractor collaboration. The upgraded Design Issue Management feature, part of the InEight Model solution, goes beyond clash detection and initiates an RFI, fostering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to monitor and manage design issues and prevent costly rework, safety issues or delays. The feature will include a user-friendly interface to help collaboratively spot and solve issues before they become costly later in the construction process, enabling adoption of collaborative delivery models such as design-build. Brad Barth, Chief Product Officer at InEight, said: “As demand for construction continues to outpace delivery capacity, owners, designers, engineers and contractors are looking for ways to do more with less. InEight is fulfilling that industry need with an integrated, end-to-end process that enables a highly collaborative approach to issue management and quality requirements, from design through construction and turnover.” About InEight InEight provides field-tested project management software for the owners, contractors, engineers and designers who are building the world around us. Over 575,000 users and more than 850 customers worldwide rely on InEight for real-time insights that help manage risk and keep projects on schedule and under budget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From pre-planning to design, from estimating to scheduling, and from field execution to turnover, InEight has powered more than $1 trillion in projects globally across infrastructure, public sector, energy and power, oil, gas and chemical, mining, and commercial. For more information, follow InEight on LinkedIn or visit InEight.com (https://ineight.com/?utm_source=Press_Release&utm_medium=Earned_Media&utm_campaign=230926_PR_GL&utm_content=september-innovations).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1745651/en/ 언론연락처: InEight Linda Coy Marketing Director Aspectus Group Emily Sakamoto Account Manage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어떻게 하면 인생을 잘 살 수 있을까’ 청소년들에게 묻는다… 연극 ‘#정답을 작성해주세요’ 10월 18일 개막
    하이틴 스릴러 연극 ‘#정답을 작성해주세요’가 10월 18일 대학로로 돌아온다. 2021년 서울과 인천에서 초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던 연극 ‘#정답을 작성해주세요’가 올해 제6회 일번출구연극제와 2023 청소년을 위한 공연축제 공식 선정 작품으로 다시 한번 무대 위에 오른다. 하이틴 스릴러라는 색다른 장르의 이번 공연은 디지털 성범죄를 맞닥뜨린 청소년들이 도청 앱을 통해 스스로 문제들을 직면하고, 의심과 오해 속에 범인을 찾아가는 이야기다. 하지만 그 속에 ‘어떻게 하면 인생을 잘 살 수 있을까?’라는 주제를 담아 단순한 스릴러물이 아닌 어른으로 나아가기 한 단계 전의 청소년들의 고민과 이야기를 따뜻하게 담아냈다. 초연 이후 청소년 연극 부문 수작으로 여러 분야에서 공식 검증된 이번 작품은 새로운 창작진으로 더 기대를 모은다. 제작/연출을 맡은 ‘극단 배우들’의 박성원 대표는 사회적 비판을 다루는 거친 연극을 ‘따뜻한 문제 해결’이라는 주제로 풀어내는 다양한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박성원 대표는 “성인이 된 우리는 나만의 경험과 가치관 속에서 ‘존중’이 아닌 자기중심의 편견들로 인해 오히려 보지 못한 많은 것들을 놓치고 있지 않나 싶게 됐다”며 “이 이야기는 청소년들의 악행에 관련된 연극이 아닌 디지털 성범죄를 마주한 7명의 미성숙한 청소년들이 ‘나’에게만 맞춰있던 시간에서 벗어나 사건을 통해 서로를 바라보게 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며 관객 여러분과 함께 삶의 ‘정답’에 대해 질문하고 고민하고 싶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이후 다시 생기를 찾은 대학로 공연축제 두 곳에서 연극 ‘#정답을 작성해주세요’를 통해 관객들을 기다리는 7명의 배우진도 화려하다. △연극 ‘관객모독’과 웹 드라마 ‘짧은대본’으로 무대와 매체를 넘나드는 배우 기은수 △대학로 연극 ‘쉬어매드니스’와 연극 ‘진짜나쁜소녀’로 활약 중인 배우 이태현 △연극 ‘조각’ 이후 연극 ‘행오버’로 독보적인 활동을 보여주는 배우 유민주 △연기력으로 떠오르는 신인 배우 정진아 △뮤지컬과 드라마로 왕성하게 활동 중인 배우 문유란 △연극 ‘핫식스’로 매혹적인 연기를 선보이는 배우 김호준 △연극 ‘2호선세입자’와 뮤지컬 ‘쓰릴미’ 등으로 검증된 실력의 배우 유의봉 등 젊은 실력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연극 ‘#정답을 작성해주세요’는 10월 18일부터 10월 22일까지 한성아트홀 2관(평일 19시 30분/주말 15시), 10월 25일 민송아트홀 1관(19시)에서 각각 하루 1회 공연으로 관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극단 배우들 노이슬 프로듀서 010-7587-697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제네시스, GV80 부분 변경 모델·GV80 쿠페 공개
    제네시스 브랜드(이하 제네시스)가 GV80의 부분 변경 모델(이하 GV80)과 제네시스의 첫 쿠페형 SUV ‘GV80 쿠페’를 공개했다. 제네시스는 GV80과 GV80 쿠페 출시에 앞서 26일 제네시스 수지에서 ‘제네시스 GV80·GV80 쿠페 미디어 프리뷰’ 행사를 하고 국내 미디어에 실차를 처음 선보였다. GV80은 2020년 1월 출시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누적 17만대 이상 판매되며 국내 럭셔리 SUV 시장을 이끌어온 제네시스 브랜드의 첫 번째 SUV로, 프리미엄 감성과 최첨단 기술의 완벽한 조화를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해 왔다. 이번에 공개된 GV80은 3년 9개월여만에 선보이는 부분 변경 모델로, 기존 GV80의 역동적이고 유려한 디자인을 계승하는 한편 모던한 감성의 여유로운 실내 공간과 새로운 모빌리티 경험을 선사할 다양한 편의사양을 탑재해 재탄생했다. GV80은 △기존 차의 품격과 스타일에 럭셔리한 디테일을 더한 외관 △‘여백의 미’에 하이테크 감성을 더한 내장 △편안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는 안전·편의사양 등이 특징이다. 이날 제네시스는 브랜드 첫 쿠페형 SUV인 GV80 쿠페도 함께 공개했다. GV80 쿠페는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이라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역동성을 극대화한 럭셔리 SUV로, 올해 4월 뉴욕에 위치한 제네시스 하우스에서 콘셉트 모델이 공개된 이후 존재감 있는 디자인으로 전 세계 고객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GV80 쿠페는 기본 차의 우아함과 강인함을 계승하면서 △역동적이고 과감한 실루엣의 외관 △하이테크하고 스포티한 감성이 구현된 내장 △415마력의 가솔린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e-S/C) 엔진 추가 운영 △쿠페만의 차별화된 디자인·성능 적용 등으로 다이내믹하고 스포티한 감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제네시스 CBO(Chief Brand Officer) 그레이엄 러셀(Graeme Russell) 상무는 이날 행사에서 “GV80과 GV80 쿠페를 제네시스 라인업에 새롭게 추가한 오늘은 제네시스 브랜드 성장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우는 날”이라며 “럭셔리의 경계가 끊임없이 재정의되고 있는 요즘 GV80과 GV80 쿠페를 통해 역동적이고 진화하는 고객들의 니즈에 응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기존 차의 품격과 스타일에 럭셔리한 디테일을 더해 우아한 도심형 SUV 완성 GV80의 외관은 완성도 높은 기존 GV80 디자인의 품격과 스타일은 계승하면서 럭셔리한 디테일을 더해 고급스러움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전면부 크레스트 그릴[1]에는 이중 메쉬 구조의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고 기존보다 코너라인을 부드럽게 다듬어 정교한 이미지를 구현했다. 제네시스의 상징인 두 줄 헤드램프는 MLA(Micro Lens Array) 기술[2]을 탑재한 램프로 재탄생해 첨단 기술과 디자인의 완벽한 하모니를 보여준다. 아울러 넓은 형상의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한 전면 범퍼는 단단하고 강인한 스포츠 SUV 이미지를 구현하며, 기요셰(Guilloché) 패턴[3]이 각인된 신규 엠블럼은 고급스러움을 강조한다. [1] 제네시스의 패밀리룩이자 상징인 방패 형상의 그릴 [2] 초정밀 제조 기술로 구현한 얇은 두께의 투 라인 헤드램프로 작은 크기의 램프로 헤드램프의 광량을 낼 수 있는 최첨단 기술 [3] 기계로 정밀하게 새긴 반복되는 장식 모양 GV80에 새롭게 적용된 크롬라인은 전면 범퍼에서부터 측면을 지나 후면 범퍼까지 이어져 파워풀한 캐릭터를 완성한다. 또한 마감을 다르게 처리한 스포크 2개를 교차해 멀티스포크 느낌을 표현한 20인치 신규 휠과 제네시스의 두 줄 패턴을 재해석한 22인치 신규 휠은 안정적이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구현한다. 후면부는 히든 타입 머플러를 적용해 하단에 머플러를 노출하는 대신 제네시스의 크레스트 그릴의 디자인에서 착안한 V형상을 크롬 재질로 적용해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완성한다. 리어 범퍼 하단은 슬림한 바디 컬러로 마감해 와이드하고 안정적인 이미지와 함께 볼드한 이미지를 준다. 제네시스의 외장 컬러는 신규 컬러인 스토르 그린(유광/무광)을 포함해 총 12종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 ‘여백의 미’에 하이테크 감성을 더해 럭셔리 경험을 선사하는 실내 공간 GV80의 실내는 한국적인 ‘여백의 미’에 하이테크 감성을 더해 고차원의 럭셔리 경험을 선사하는 공간으로 탄생했다. 제네시스는 고객의 일상에 여유로운 공간과 최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GV80의 실내를 디자인했다. GV80은 편안하면서도 깨끗한 느낌을 강조한 수평형 레이아웃에 클러스터와 AVN 화면이 하나로 연결된 27인치 통합형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세련된 첨단 공간의 이미지를 연출했다. 센터페시아는 심리스한 디자인을 적용해 고급스러운 감성을 더하는 한편 터치 타입 공조 장치를 적용해 조작감을 개선하고 편의성을 높였다. 크리스탈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식 변속 다이얼(SBW)과 통합 컨트롤러는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시각적 고급스러움을 극대화한다. 또한 △제네시스 신규 엠블럼이 적용된 혼 커버 △투 톤 컬러의 스티어링 휠 △가죽, 알루미늄, 리얼 우드 등 다양한 고급 소재를 적용한 크래시 패드와 센터 콘솔 △신규 페달 디자인 등 소재 고급화와 디자인 개선을 통해 실내 공간의 품격을 높였다. 이외에도 △스마트폰 무선 충전 트레이 시인성 개선 △콘솔 컵홀더 사이즈 증대 △노브 타입 볼륨/튠 조정 버튼 등 소비자 니즈를 디테일하게 반영해 사용성을 강화했다. GV80은 △어스브라운 △보르도브라운 △글래이셔 화이트 등 신규 3종을 포함한 총 5종의 내장 컬러로 운영된다. ◇ GV80 쿠페, 역동적이고 과감한 실루엣으로 쿠페형 SUV의 압도적인 존재감 표출 이날 함께 선보인 GV80 쿠페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염두에 두고 실용성과 스포티함을 결합시켜 탄생한 고성능 감성의 쿠페형 SUV다. GV80 쿠페는 기본 차의 디자인과 성능에 쿠페 DNA를 더한 것이 특징으로 상반된 요소들의 완벽한 조화를 통해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감성적인 차량을 개발하겠다는 제네시스의 의지를 온전히 함축한 모델이다. GV80 쿠페의 외관은 완벽한 균형과 유려한 디자인에 역동적이고 과감한 실루엣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전면부 헤드램프에는 GV80과 마찬가지로 MLA(Micro Lens Array) 타입 LED 램프가 적용된다. 크레스트 그릴에는 ‘더블 레이어드 지-매트릭스(Double Layered G-Matrix)’ 패턴의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함으로써 고성능 이미지를 강조했다. 또한 확장된 에어 인테이크와 액티브 에어플랩 그리고 네 개의 에어 벤트는 엔진룸 냉각을 위한 최적의 공기흐름을 만드는 동시에 공격적인 프런트 범퍼 디자인을 완성하며 쿠페 SUV만의 대담한 매력을 돋보이게 한다. 측면부는 금방이라도 질주할 것 같은 날렵한 프로파일이 인상적이다. 차체를 가로지르는 아치형 라인인 ‘파라볼릭 라인(Parabolic Line)’과 낮고 완만하게 떨어지는 루프 라인의 완벽한 조화는 강인하고 다이내믹한 스타일의 외관 디자인을 완성한다. 아울러 △미끄러질 듯 유려한 루프라인을 따라 디자인된 루프랙 △날렵한 형태의 윈도우 라인 △스포크가 강조된 쿠페 전용 20, 22인치 신규 휠은 스포티한 측면 스타일을 완성하는 요소다. 후면부는 △LED 면 발광 리어 콤비 램프 △테일 게이트에 와이드한 일체형 보조 제동등을 적용해 차별화된 디자인을 보여주며, 중앙부를 하향한 스타일의 리어 스포일러는 스포티함을 더한다. 또한 실버와 블랙 투 톤의 스포티한 리어 범퍼와 크레스트 그릴 형상의 듀얼 트윈 머플러의 조화는 고성능 쿠페형 SUV 이미지를 연출한다. ※ 듀얼 트윈 머플러는 가솔린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모델 限, 2.5 터보 및 3.5 터보 모델은 트윈 머플러 적용 한편, GV80 쿠페는 쿠페 전용 색상인 베링 블루를 포함한 총 13종의 외장 컬러로 운영된다. ◇ GV80 쿠페, 스포티한 감성을 담은 전용 패키지 운영… 경쟁력 있는 공간성 확보 GV80 쿠페의 실내는 쿠페만의 스포티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전용 디자인을 적용했다. 투 톤 컬러의 D컷 스티어링 휠은 스포티하고 세련된 실내 이미지를 구현하고 △유니크한 패턴의 카본 가니쉬 △쿠페 전용 패턴과 스티치를 적용한 시트는 다이내믹한 주행 감성을 제공한다. 또한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에 적용된 메탈은 고성능 감성을 극대화한다(가솔린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모델 限). GV80 쿠페는 총 6종의 쿠페 내장 패키지 중 선택해 개성 있는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GV80 쿠페는 △엔진룸, 샤시 등 레이아웃 최적화 △후석 리클라이닝 기능 적용 등으로 경쟁력 있는 실내 거주 공간을 확보했으며 △트렁크 패키지 최적화 △접이식 러기지 쉘프 적용으로 넉넉한 적재 공간을 확보하는 등 후면으로 갈수록 루프가 날렵하게 내려오는 쿠페 스타일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공간성과 수납성을 확보했다. ◇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엔진, 고성능 감성의 특화 사양 적용 제네시스는 GV80를 △최고 출력 304마력(ps), 최대 토크 43.0(kgf·m)의 가솔린 2.5 터보 △최고 출력 380마력(ps), 최대 토크 54.0(kgf·m)의 가솔린 3.5 터보 등 2개의 엔진 라인업으로 운영한다. GV80 쿠페는 기본 차 라인업에 더해 디자인에 걸맞은 다이내믹한 주행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가솔린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e-S/C) 엔진을 신규로 추가해 3개 라인업으로 운영한다. GV80 쿠페에 신규 적용되는 가솔린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엔진은 낮은 엔진 회전(rpm) 영역대에서 모터를 통해 압축시킨 공기를 한 번 더 압축시켜 공급함으로써 3.5 터보 엔진 대비 최대 토크 시점을 앞당겨 저·중속에서의 가속 응답성을 높여준다. 가솔린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엔진은 기존 3.5 터보 엔진 모델 대비 35마력이 향상된 최고 출력 415마력(ps), 최대 토크 56.0(kgf·m)의 힘을 자랑하며 보다 여유로운 동력성능을 제공한다. GV80과 GV80 쿠페는 △전방 노면 정보를 사전에 인지, 적합한 서스펜션 제어로 탑승객에게 최적의 승차감을 제공하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 △노면별 주행 상황에 맞는 엔진 마운트 제어를 통해 주행 진동을 저감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2세대 엔진 마운팅 컨트롤 유닛(EMCU·Engine Mounting Control Unit) △고속 주행 중 강풍 발생 시 조향 및 제동 제어를 이용해 고속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횡풍 안정성 제어 △인공지능이 노면을 판단해 적합한 주행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오토 터레인 모드 등 차별화된 첨단 주행 신기술이 적용돼 편리한 주행 안정성과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또한 △흡음 타이어 적용 △흡·차음재 보강 △테일 게이트 차음 성능 개선 등으로 소음 경로를 차단해 동급 최고 수준의 정숙성도 놓치지 않았다. 한편 GV80 쿠페는 주행 감성 및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사양으로 △고배기량 스포츠 쿠페의 배기음을 재연한 액티브 사운드 디자인(ASD) △운전자의 희망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응답성을 조정할 수 있는 플렉스 브레이크를 적용했다. 또한 GV80 쿠페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모델에는 △한계 주행에 특화된 주행 모드인 ‘스포츠+(스포츠 플러스) 모드’ △차량의 성능을 극한으로 시험하고자 하는 고객들을 위한 런치 컨트롤 △오일 온도, 토크, 터보압을 표시해주는 고성능 게이지 등 고성능 감성의 특화 사양을 적용해 민첩하고 다이내믹한 주행 경험이 가능하도록 했다. ◇ 고객 편의·안전 신규 사양 추가로 편안한 운전 경험 제공 GV80·GV80 쿠페는 기존 GV80의 높은 상품성에 다양한 편의·안전 사양을 추가로 탑재해 제네시스의 럭셔리 SUV에 걸맞은 상품성을 갖췄다. 제네시스는 진보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첨단 기능으로 △각 열의 온도·모드·풍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독립제어 풀오토 에어컨 △디지털키 2 △실내 지문 인증 시스템 △콘솔 암레스트 수납함 자외선 살균 기능 △열선 암레스트 △실내 향기 시스템 △2열 터치 타입 아웃 사이드 핸들 센서 등 전자·편의 사양을 탑재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외에도 △후석에서 OTT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14.6인치 스마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섬세하고 풍부한 사운드를 제공하는 뱅앤올룹슨 프리미엄 오디오 등 고급차에 걸맞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추가로 운영된다. GV80과 GV80 쿠페는 강력한 제동성능의 모노 블럭 캘리퍼와 앞좌석 센터 에어백을 포함한 10 에어백을 기본 적용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또한 주행 편의 사양으로 △차량 후방 시계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디지털 센터 미러(DCM) △화질, 녹화 시간 등이 향상된 빌트인캠 2 △스티어링 휠 터치만으로 ADAS 경고 해제가 용이한 직접식 그립 감지 시스템(HOD) 등이 신규 적용됐으며 △차로 유지 보조 2(LFA 2) △전방 충돌 방지 보조 2(FCA 2) △후측방 충돌 방지 보조(BCA) △후방 교차 충돌 방지 보조(RCCA)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2(RSPA 2) △고속도로 주행 보조 2(HDA 2) △전방/측방/후방 주차 충돌 방지 보조(PCA-F/S/R) 등 주행 환경을 스스로 판단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 사고를 막고 주행 편의를 높이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적용해 고객이 매 순간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제네시스는 10월 14일(토)부터 22일(일)까지 제네시스 수지에서 특별전시를 진행하고 10월 4일(수)부터 13일(금)까지 부산국제영화제에 GV80·GV80 쿠페를 전시할 예정이다. 제네시스는 GV80과 GV80 쿠페 출시를 통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충족시키는 제네시스 라인업을 완성하고 독창적인 한국 럭셔리 브랜드로서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제네시스는 10월 11일(수)부터 GV80과 GV80 쿠페 판매에 돌입할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현대자동차(제네시스) 커뮤니케이션센터 02-3464-858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PICO, 글로벌 개발자들을 위한 첫 번째 ‘Dev Jam 대회’ 개최… XR 분야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독자적인 혁신 기술과 연구 개발 능력을 갖춘 글로벌 가상현실(VR) 선도 기업 PICO가 확장현실(XR) 개발자를 위한 첫 Dev Jam 대회인 ‘2023 PICO Dev Jam’을 개최한다. 글로벌로 개최되는 이번 대회는 혁신적인 VR과 혼합현실(MR) 콘텐츠 개발을 통해 VR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VR 개발자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 PICO Dev Jam’ 대회는 개발자들이 무한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준비된 행사로 XR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개발자들은 PICO Dev Jam 대회에서 PICO의 최신 개발자 SDK 도구 키트를 활용해 새로운 XR/MR 애플리케이션 데모, 혁신적인 게임/도구 또는 체험 프로토타입을 개발할 수 있다. 처음 개최되는 ‘2023 PICO Dev Jam’ 대회는 유럽, 북미, 동남아시아, 일본, 한국 및 중국의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생 및 소규모 개발자를 포함한 모든 배경과 경험 수준의 개발자들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2023 PICO Dev Jam’은 9월 25일부터 등록이 시작됐으며, 참가자들은 11월 11일까지 출품할 수 있다. PICO의 CEO 헨리 저우는 “PICO는 XR 산업의 성장과 혁신을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새롭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젊은 개발자들과 교류하고자 이번 대회를 개최한다”며 “PICO Dev Jam 대회를 통해 XR 개발자의 커뮤니티를 보다 강화하고 XR 경험을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PICO는 개발자에게 원스톱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공간 인식, 렌더링 및 상호 작용의 차원에서 개발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개발 잠재력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PICO의 최신 SDK 버전인 2.3.0은 고급 공간 보정 및 공간 앵커 기능과 통합돼 개발자가 MR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을 만들 수 있는 기능과 New Sense Pack을 포함한 다양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보다 정확한 손가락 추적, 지능형 가려움 감지, 자연스러운 가상 손 표현 및 신속한 손 움직임 중에도 안정된 궤적 추적을 통해 손 모양 상호 작용을 크게 개선하는 새로운 손 추적 기능도 업그레이드됐다. PICO는 XR 생태계를 위해 개발자들과의 협업에 앞장서면서 꾸준히 XR 콘텐츠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현재 PICO Store에서는 5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피코 소개 피코(PICO)는 2015년 3월 설립된 선구적인 글로벌 가상현실(VR) 기업이다. PICO는 VR 관련 독자적인 혁신 기술과 연구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VR 올인원 기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유럽,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한국 시장에서 글로벌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다. PICO의 미션은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고, 세상을 새롭게 연결하며, 사용자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으로, 일상의 경험을 재창조하는 선구적인 XR(확장현실)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크리에이터와 기업들에게 영감을 주고, 일상의 경험을 재창조하는 선구적인 XR 플랫폼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피코(PICO) 심의정 PR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KB증권-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토큰증권 시장 선도를 위한 컨소시엄 구성
    KB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은 토큰증권 시장 공동 진출을 위해 ‘토큰증권 증권사 컨소시엄 구성’ 전반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식은 26일 오후 여의도 파크원 NH투자증권 본사에서 개최됐으며, 박정림 KB증권 사장,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사장,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 등 각사 CEO 및 관련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3사는 토큰증권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형 증권사가 모인 공동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데 그 뜻을 함께했으며, 공동 인프라 구축을 넘어 전략적 사업모델 발굴까지 협업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본격적으로 △토큰증권 공동 인프라 구축 및 분산원장 검증 △토큰증권 정책 공동 대응 및 업계 표준 정립 △토큰증권 발행 및 유통 서비스 시너지 사업모델 발굴 등을 상호 협력해 진행할 예정이다. 3사는 ‘비용 효율화’뿐만 아니라 ‘발행사/투자자 규모의 경제’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증권사 간 공동 분산원장을 구성하게 되면 구축·운영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불필요한 인프라 경쟁을 벗어나 토큰증권 사업 영역에 더욱 집중할 수 있어 토큰증권 시장에 연착륙할 수 있다. 또한 협업을 통해 다양한 기초자산을 보유한 발행사 대량 확보 및 상품 발행·유통이 가능해 투자자에게도 매력적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KB증권은 지난해부터 빠르게 전담 조직을 구성해 토큰증권 발행·유통 시스템을 개발/검증했으며, 토큰증권 협력체인 ‘ST 오너스’ 구성 등 토큰증권 사업에 선도적인 움직임을 보여왔다. 또한, 토큰증권 공동 인프라를 통한 규모의 경제가 전제되어야 토큰증권 시장의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해왔다. KB증권은 이번 컨소시엄에서 자사의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증권사 토큰증권 인프라 표준화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연초 PoC(Proof of Concept,개념검증)를 통해 토큰증권 발행부터 유통까지 프로세스를 테스트했다. 지난해 말 증권업계 최초로 토큰증권 혁신금융서비스를 지정받아 블록체인과 증권사 계좌 시스템 연동 등 인프라를 구축하며 토큰증권 사업 관련 핵심역량을 쌓고 있다. 또한 금융사/기술사/발행사 생태계인 ‘STO얼라이언스’를 구축하고, 증권사 컨소시엄과 연계해 다양한 토큰증권 발행 실증 사례를 만들어 향후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NH투자증권은 연초 조각 투자사업자, 기초자산평가업체 등이 포함된 토큰증권 협의체 ‘STO비전그룹’을 구성해 건전한 토큰증권 생태계 구현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8월 토큰증권 핵심 사업모델인 ‘투자계약증권 All-in-One 서비스’ 출시를 통해 발행사들의 증권 발행/청산 단계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자사에서 보유한 사업영역 노하우가 공동사업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컨소시엄 측은 세 증권사의 협력을 통해 토큰증권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을 열어 한국 금융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신한투자증권 홍보실 이지연 선임 02-3772-104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Anaqua, 일본 사업 성장세 기반으로 신규 경영진과 고객·솔루션·본사까지 선보여
    글로벌 혁신 및 지적재산(IP) 관리 기술 공급사인 Anaqua가 일본에서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일본 사업부 경영진에 변화가 있다고 발표했다. Futoshi Saito(사이토 후토시)가 10월 10일부로 Anaqua Japan에 합류해 사장 겸 총괄매니저를 맡게 되며, 현재 일본에서 진행 중인 비즈니스 개발과 고객솔루션 개선 작업을 이끌어 나가게 된다. Saito 신임사장은 Anaqua에 합류하기 전에는 LexisNexis에서 일본 및 한국사업부의 Managing Director를 역임했고, Thomson Reuters(현재는 Clarivate의 일부)에서 일본 IP 및 과학 사업부 책임자 등 고위직에 몸담은 바 있다. Saito 신임사장은 일본 돗쿄대학(獨協大学)에서 국제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뉴욕주립대-알바니(SUNY-Albany) 역사대학원에서 수학했다. Anaqua는 또한 도쿄 토치 도키와바시 타워에 새로운 일본사업부 본사가 들어서게 되며, 확장된 업무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가속화되고 있는 회사의 성장세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Anaqua 일본 사업은 연간 신규 매출이 50% 증가하고, 팀 인력이 추가 강화되는 등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인사 조치는 가장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IP 관리 소프트웨어와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목표 하에 사람과 인프라, 솔루션에 투자하는 Anaqua Japan의 기업가치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Anaqua가 일본에서 단행한 다른 투자로는 Microsoft Azure에 두 번째 고객 데이터센터를 오픈한 것과 성장세를 기록 중인 지재권 유지 및 갱신 사업을 위한 팀원 확충, 제약업계와 상표 전문가들을 위해 AQX IP 관리 플랫폼 분야에 일본에 특화된 개선사항 개발 등이 있다. Saito 신임사장은 “수년 간 IP와 리걸테크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오는 과정에서 존경심을 가졌던 Anaqua에 합류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밝히며 “Anaqua Japan이 다음의 성장 단계로 도약하고, 우리 고객들이 보유한 IP 포트폴리오를 통해 그 가치를 극대화하고 권리보호를 강화할 수 있도록 돕게 돼 영광이다”고 밝혔다. Anaqua의 Bob Romeo CEO는 “Anaqua의 일본 사업을 이끌고 나가도록 Saito 사장을 선임하게 돼 기쁘다. IP와 기술분야에 걸쳐 갖고 있는 그의 폭넓은 경험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우리 비즈니스는 물론 더 넓은 시장에 관여하게 것이며, 기존 및 미래 고객과의 중요한 관계를 구축하면서 우리 회사 팀은 물론 추후 비즈니스 개발 차원에서도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Anaqua의 일본사업 운영에 큰 자부심을 느끼며,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기대감도 크다”고 강조했다. Anaqua, Inc. 소개 Anaqua Inc.는 고객에게 엔드투엔드(end-to-end)의 혁신과 통합적 지적재산(IP)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공급 업체로, 미국 특허 출원 상위 25개 업체 중 50%, 글로벌 브랜드 상위 25개 중 50%를 지원하며 빠르게 성장 중인 다수의 권위 있는 법률 사무소들도 지원하고 있다. Anaqua는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두고 유럽과 아시아를 걸쳐 전 세계에서 운영 중이다. IP 관리 전문가, 변호사, 변리사 및 발명자 등 100만명의 이용자들이 전 세계에서 Anaqua의 지적재산(IP) 관리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Anaqua의 솔루션 제품군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베스트 프랙티스 분석, 기술 지원 서비스를 결합해 IP 의사결정과 운영 간소화를 위한 하나의 통합된 인텔리전스 환경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Anaqua, Inc. 교코 쓰루미(Kyoko Tsurumi) Associate Director,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안암에 혁신을 더하는 고려대 캠퍼스타운 ‘ACM 주간’ 3일간의 여정 성황리 마쳐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단장 조훈희)은 9월 20~22일 3일간 고려대 창업밸리에서 개최된 ‘2023 ACM(Anam Change Maker) 주간’ 행사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27일 밝혔다. 고려대 창업 활성화와 대학 인근 지역 경제 및 문화 활성화를 위해 기획된 ‘ACM 주간’ 행사는 고려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부터 재학생과 교직원, 성북구 거주민까지 약 450명의 인원이 참여했다. 3일간 진행된 이번 행사는 고려대 파이빌, 크림슨라운지, 스마트 스타트업 스퀘어 등에서 캠퍼스타운 투어, 입주기업 해외 진출 설명회, 심포지엄과 창업 특강, 상생 플리마켓과 전시회, 서포터즈 고연전, 포켓 광장 영화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됐다. “캠퍼스타운 사업은 지역과의 상생·소통이 필요” 첫째 날 오전 진행된 고려대 캠퍼스타운 투어 프로그램은 X-Garage로 시작해 파이빌99, 창업스튜디오, 스마트 스타트업 스퀘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또 파이빌99에서 진행된 상생 플리마켓에는 비가 오는 날임에도행사 시작 1시간 만에 100여명이 방문할 정도로 많은 인원이 참여해 성황리에 열렸다. 같은 날 오후 진행된 심포지엄에는 고려대 교수진과 성북클러스터 대학(한성대, 동덕여대, 국민대 등)이 함께해 고려대 캠퍼스타운 사업 현황과 과제를 되짚고 앞으로 교내·외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창업의 시작은 일상 속 숨은 아이디어에서 시작” 둘째 날은 고려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과 예비 창업인들을 대상으로 한 창업 특강과 학생 전시회가 진행됐다. CEO 특강은 닭가슴살 기반 간편식 유통 기업인 ‘허닭’을 설립해 13년째 운영하는 허경환 허닭 대표가 마이크를 잡았다. 허 대표는 “창업은 일상 속 숨은 아이디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색다른 것을 찾기보다 일상의 순간을 포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창업 토크콘서트에서는 서광민 KCAI 대표, 오상훈 럭스로보 대표, 최명화 블라썸미 대표가 창업에 관해 조언을 전했다. 최명화 대표는 “퍼스널 브랜딩을 위해선 사업자 개인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콘텐츠 방향을 정해야 한다”며 “브랜드에 서사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같은 시간 스마트 스타트업 스퀘어에서는 캠퍼스타운 서포터즈의 주도로 ‘안암의 재조명’ 전시가 열렸다. 고려대 재학생들로 구성된 캠퍼스타운 서포터즈의 학생들은 안암동 구석구석을 돌아볼 수 있는 전시회와 참여자들이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운영했다. “고려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 해외 진출의 교두보” 셋째 날은 고려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도쿄 ILS 2023’ 대회 참가 사업 설명회가 개최됐다. 성북구 지역 의제를 해결하는 고려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을 선발해 도쿄 ILS 2023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골자로, ACM 주간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해당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같은 날 저녁 안암동 아이스크림 광장에서는 포켓 광장을 활용한 작은 영화제가 열렸다. 안암동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들과 고대상인회, 내·외국인 학생들이 포켓 광장에 모여 늦은 저녁까지 시간을 함께 보내며 3일 동안 추진된 ACM 주간 행사를 마무리했다.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 조훈희 단장은 “안암 일대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청년 창업기업과 지역 주민이 연계·성장하는 상생 빌리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이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 소개 고려대학교는 2017년 국내 최초로 서울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에 선정됐다. 서울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서울시-대학-자치구’가 협력해 진행하는 사업으로, 대학과 지역이 함께 자원을 공유하고 유기적 네트워크를 형성해 살아 움직이는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고려대 캠퍼스타운 사업은 2020년 국토교통부 사업으로 연장·확대되면서 대학과 지역이 청년을 키우고 청년과 대학과 지역을 살리는 ‘상생 빌리지’를 구축했다. 현재 ‘G-local 대학타운형 안암 창업밸리’ 조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은 현재 학내 창업 지원 유관 부서와의 연계 협력을 통해 청년 창업기업의 발굴·육성·자립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 이두연 02-3290-466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로마스 인더스트리즈, 한강경찰대 순찰정 수주
    국내 특수선박 제조업체 로마스 인더스트리즈가 서울시 한강경찰대 순찰정 교체 사업에 응모해 수주에 성공했다. 한강경찰대 순찰정의 다른 이름은 ‘구조정’이다. 행주대교부터 강동대교에 이르는 41.5km 한강을 오가며 사계절 인명을 구조하는 업무를 맡고 있어서다. 서울시는 순찰청 교체 예산을 배정해 신형 순찰정을 올해 말까지 배치하기로 했다. 국내에서 순찰정을 제작할 수 있는 5개 업체가 서울시 순찰정 교체 사업에 응모했다. 이중 로마스 인더스트리즈가 한강경찰대에서 필요한 성능을 갖춘 제품으로 입찰에 성공했다. 입찰 제안서 정량적 평가는 기업 보유 인력, 납품 실적, 특허, 경영평가, 인증 내역(품질, 용업, 사후관리) 등의 항목이었다.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축적해온 다양한 설계 실적과 인력 자원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제안서에 잘 구현한 것도 입찰 성공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2011년과 2014년 한강경찰대에 순찰정 4척을 납품했다. 10년 이상 유지보수 및 기술 지원을 맡아 수요자 요구조건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이를 자체 기술(설계, 법적)로 선박에 반영했다. 익수자 및 사고 지역에 골든타임 내 도착해야 하는 한강경찰대에서 요구하는 성능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속도다. 한강경찰대 관할 구역은 망원, 이촌, 뚝섬, 광나무에 위치한 4개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41.5km의 한강이다. 로마스 인더스트리즈에서 건조해 한강경찰대에 납품하기로 한 순찰청은 300마력의 성능을 갖췄다. 기존 순찰청 엔진 마력은 250마력이다. 익수자 구조, 사체 인양을 포함한 순찰정의 주요 용도는 안전 사고 방지 및 범죄 단속·예방, 대테러 업무지원으로,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기존 알루미늄 선체 두께를 5mm에서 6mm로 늘려 강도를 증강했다. 대원들의 선체 내 활동을 좀 더 자유롭게 하기 위해 선체 통로 폭도 넓혔다. 한편 로마스 인더스트리즈에서 기존에 한강경찰대에 납품한 순찰정은 9월부터 디즈니 플러스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 ‘한강’에서 한강경찰대 소속 주인공의 활약을 돕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1981년 설립된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대한민국 해군 및 해경에 특수정을 납품해 국가안보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통해 K-국방을 세계화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미래 교통수단인 위그선과 전기항공기 개발 분야에서도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로마스 인더스트리즈 소개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지구 환경의 미래를 고민한다. 전기항공기 사업(ELECTRIC AIRCRAFT)으로 전기 추진 엔진 항공기 개발사와 협력해 아시아-태평양의 더 나은 하늘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위그선 사업 등 해상 물류 체계의 혁신적인 기술 도입을 영위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로마스 인더스트리즈 홍보대행 미디어 HKBS 박선영 선임부장 070-5014-330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대웅제약 ‘나보타’ 올 상반기 매출 역대 최대… 국내 톡신 기업 중 1위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올 상반기 매출이 753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내 톡신 제조 기업 매출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대웅제약은 2023년 한 해 전체 나보타 매출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나보타는 지난해 14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해외 매출(1099억원)이 80%에 육박했다.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매출은 매년 급상승을 거듭하고 있다. 2020년 504억원 수준이었던 전체 매출은, 2021년 796억원, 2022년 1420억원으로 2년 만에 3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해외 매출의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K-톡신의 위상을 높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나보타의 해외 매출은 2021년 492억원에서 2022년 1099억원으로 2배 이상 뛰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전체 753억원 매출 중 해외 매출이 629억원을 차지한다. 전체 매출 중 해외 매출의 비중은 2021년 61%, 2022년 77%에 이어 올해 상반기 83%를 기록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의 해외 매출이 지속 성장하자 올해 나보타 3공장 건립을 결정했다. 현재 가동 중인 1, 2공장만으로는 해외시장 수요를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보타 3공장은 2024년 준공 예정으로 완공 때 연간 나보타 생산량은 지금보다 260% 증가한 1300만 바이알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보타는 글로벌 전역에서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대웅제약은 2019년 2월, 아시아 국가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로는 최초로 FDA 승인을 획득하고, 같은 해 5월 미국 현지에서 글로벌 기업 에볼루스와의 파트너십를 통해 ‘주보(Jeuveau)’라는 이름으로 나보타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불과 3년이 2022년 미국 시장 점유율 10%를 넘어서며 대표 톡신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또한 6월 에볼루스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에 이어 이탈리아에도 ‘누시바(Nuceiva, 나보타 유럽명)’를 출시하며 북미와 유럽이라는 양대 빅 마켓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또 2024년 중국 및 호주 발매를 예고하며 진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대웅제약 나보타는 미국 치료 시장 진입에도 다른 국내 기업들과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나보타의 미국 내 치료 시장 파트너사 이온바이오파마는 최근, ‘편두통 치료용 신경독소 조성물(Neurotoxin Compositions for Use in Treating Headache)’ 미국 특허를 받았다. 기존 보툴리눔 톡신 제제에 비해 투여 횟수를 줄이고, 투여 위치도 변경해 편의성을 개선하고 부작용을 줄인 점을 인정받았는데 이 특허는 미국에서 2041년까지 독점적 권리를 보호받는다.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65억달러(8조3000억원)로 미용시장과 치료시장으로 나뉘는데 이 중 치료시장이 53%로 절반이 넘는다. 치료시장은 애브비가 95%를 차지하고 있어 대웅제약이 치료 적응증을 획득하고 사업을 본격화하면 치료시장의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대웅제약의 나보타가 올 상반기 약진을 통해, 드디어 한국 보툴리눔 톡신 제조 기업들 가운데 매출 1위를 기록했다”며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미용시장은 물론 빠른 시간 내 글로벌 치료시장까지 진출해 전 세계 대표 톡신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대웅제약 홍보실 조영득 차장 02-2190-692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이구스, DIFA 전시회 참가로 자동차 경량화 솔루션 선보인다
    한국이구스는 10월 ‘2023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에서 이구스 폴리머 베어링이 적용된 자동차 경량화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구스의 폴리머 베어링은 급유와 유지보수가 필요 없고, 가벼우며, 뛰어난 내마모성으로 오토모티브 산업에 적용할 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유사한 사양의 금속 베어링 1개의 무게는 iglidur 플레인 베어링 7개의 무게와 같다. 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7배라는 수치는 적용되는 베어링의 개수가 100개, 200개를 넘어가는 오토모티브 산업의 경우 엄청난 경량화 효과로 이어진다. 한국이구스 이대형 차장은 “iglidur는 적용 온도나 환경에 따라 필요한 특성을 제공해 적합한 재질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다수의 업체에 적용되고 있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전시를 통해 오토모티브 산업에 적합한 베어링 재질을 한 자리에서 소개할 계획이다”고 전시회 참가 의도를 밝혔다. 한국이구스 소개 이구스(igus GmbH)는 독일 쾰른에 위치한 본사를 중심으로 전 세계 36개 지사, 4150명의 임직원이 일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이다. igus만의 특수한 엔지니어링 폴리머 소재를 기반으로 모션 플라스틱을 생산하며 e체인, 케이블, 베어링이 주요 품목이다. 1150평의 업계 최대 규모 테스트 설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년 100가지 이상의 신제품 출시와 제품 확장으로 2012년 독일의 히든 챔피언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9년 3D 프린팅 서비스, 자동화 로봇 플랫폼 RBTX, 4차 산업형 스마트 플라스틱 등을 출시하며 2021년 총매출 9억6100만유로를 기록했다. 또한 친환경 그린 캠페인의 일환으로 에너지 체인을 재활용하는 ‘chain-g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유로 되돌리는 ‘Plastic2Oil’ 프로젝트에도 아낌없는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한국이구스 이재원 과장 032-830-994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한국씨티은행, 김진숙 재무기획본부장·반병철 신탁본부장·엄경식 마케팅커뮤니케이션본부장 전무이사로 선임
    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은 2023년 10월 1일 자로 김진숙 재무기획본부장, 반병철 신탁본부장과 엄경식 마케팅커뮤니케이션본부장을 전무이사로 선임한다고 밝혔다. 김진숙 전무는 1991년 씨티은행에 입행해 재무관리부장을 역임했다. 2022년 10월부터 최고재무책임자(CFO)로서 재무기획본부를 총괄하며, 재무적 성장을 이뤄낼 수 있도록 비즈니스 및 기능 조직과 성공적인 협업을 이뤄내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했다. 김 전무는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과 미국 럿거스대학교(Rutgers University)에서 회계 전공 MBA 과정을 마쳤다. 반병철 전무는 1998년 한미은행에 입행해 국제금융팀 M&A, 종합금융팀을 거쳐 신탁본부 구조화신탁팀장을 역임했다. 2012년 12월부터 신탁본부를 이끌어 오며, 비즈니스의 괄목할 만한 성장과 수익성 증진에 크게 기여했다. 반 전무는 서울대학교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상법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엄경식 전무는 1999년 씨티은행에 입행해 씨티은행 아태지역본부 세일즈 담당 이사 및 카드영업본부장을 역임했다. 2014년 10월부터 마케팅커뮤니케이션본부를 총괄해 오며, 모범적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대내외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한국씨티은행이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엄 전무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 주립대학교 광고 마케팅 석사(MA)학위를 취득했다. 언론연락처: 한국씨티은행 커뮤니케이션부 김정륜 02-3455-233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RX Japan ‘2023 일본 농업·가든·작업용품 전시회’ 주요 참가사 명단 공개
    RX Japan(대표이사 다나카 다케시)이 일본 최대 규모 농업, 가든, 작업용품 전시회인 ‘제13회 농업 위크’, ‘제17회 국제 가든 & 아웃도어EXPO(GARDEX)’, ‘제13회 TOOL JAPAN’에 참가하는 주요 업체 명단을 공개했다. 10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일본 마쿠하리 멧세에서 동시 진행되는 세 전시회에는 각 산업 분야를 대표하는 기업은 물론, 일본 및 전 세계에서 850개사가 집결해 최신 기술 및 트렌드 제품을 선보인다. 주목할 만한 전시 제품 및 참가 업체들은 아래와 같다. 농업용 드론&로봇(제13회 농업 위크) 농업 위크에는 매년 최첨단 기술이 소개돼 참가사와 바이어 간 적극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농업용 로봇과 드론 기술은 매년 진화하고 있으며, 농작업에 대한 부담 경감 및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어 주목된다. 주요 참가사 · YAMABIKO CORP. · CIROBOTICS CO., LTD. · XAG JAPAN CO., LTD. · TOKOTEKKO CO., LTD. · ATEX CO., LTD. · MAZEX · NILEWORKS INC. · SINFONIA TECHNOLOGY CO., LTD. 외 다수 원예용품(제17회 국제 가든 & 아웃도어EXPO, GARDEX) 올해 17회를 맞는 GARDEX는 매년 다양한 종류의 원예용품들이 총출동해 구매 담당자에게 한자리에서 많은 제품을 비교 검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올해 역시 세련된 화분과 울타리, 효과가 뛰어난 살충제, 편리한 예초기 등 다양한 제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주요 참가사 · DAIICHI VINYL CO., LTD. · FUMAKILLA LTD. · AQUALEAN MANUFACTURING ASSOCIATES CO., LTD. · TENMA CORP. · HONKE MATSUNAGA SEISAKUSHO · BARAEN GROUP · GARDSTAR INDUTRIAL CO., LTD. · SUMITOMO CHEMICAL GARDEN PRODUCTS INC. 외 다수 작업용품(제13회 TOOL JAPAN) 최근 작업복을 비롯해 작업화, 작업용 장갑 등 기능성을 중시하면서도 패셔너블한 디자인의 제품이 출시되면서 작업 현장에서도 트렌디하고 세련된 디자인의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고성능 장갑, 흡습-속건성이 뛰어난 티셔츠, 오랫동안 착용해도 피로감이 적은 운동화 등 작업 현장에 최적화한 제품들이 올해도 다수 출품된다. 주요 참가사 · PATAGONIA · KEEN JAPAN · FUJIGLOVE · CORTINA CHINA CO., LTD. · MORITO JAPAN CO., LTD. · SUNDANCE LTD. · FUKUYAMA RUBBER CORPORATION · CHIKUMA CO., LTD. 외 다수 세 전시회는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일본 마쿠하리 멧세에서 개최된다. 전시회 참관을 위해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참관 등록이 필요하다. 전시회 개요 · 제13회 농업 위크, 제17회 국제 가든&아웃도어EXPO(GARDEX), 제13회 TOOL JAPAN · 날짜: 2023년 10월 11일(수)~13일(금) 10시~17시 · 장소: 일본, 마쿠하리 멧세 · 공식 사이트 제13회 농업 위크 홈페이지: https://www.agriexpo-week.jp/tokyo/en-gb.html 제17회 국제 가든 & 아웃도어EXPO 홈페이지: https://www.gardex.jp/en-gb.html 제13회 TOOL JAPAN 홈페이지: https://www.tooljapan.jp/en-gb.html RX Japan Ltd 소개 RX Japan은 일본 최대 규모의 전시 주최사다. 도쿄 빅사이트, 마쿠하리 멧세, 인텍스 오사카 등 현지 대규모 전시회장에서 △보석 △안경 △출판 △전자 △에너지 △IT △제약·바이오 등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2023년 기준 연간 38개 분야, 96개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RX Japan 농업WEEK/GARDEX/TOOL JAPAN 전시회 사무국 오가와 마나미(Ogawa Manami)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포스코 니켈법인 SNNC ‘재가장애인 반찬지원사업’ 인덕션 후원
    광양시 중마장애인복지관(관장 정헌주)은 9월 22일 포스코 니켈법인 SNNC(사장 배재탁)와 함께 장애인 반찬지원사업을 위한 인덕션 후원 전달식을 진행했다. 이날 전달식에는 광양시 중마장애인복지관, SNNC, 광양시 금호동, 한국여성소비자연합 광양시지부 관계자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광양시 중마장애인복지관은 2021년부터 한국여성소비자연합 광양시지부 회원들과 함께 자체적으로 마련한 자치 공간에서 저소득 장애인을 위한 반찬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회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마련한 환경에서 활동이 진행되다 보니 열악한 조리 환경에 따른 불편함, 화재 및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었다. 이에 SNNC는 조리의 효율성과 봉사자의 안전을 위해 183만원 상당의 인덕션 3대를 구매·지원했다. 이번 후원을 통해 설치된 인덕션으로 매월 35가정의 취약계층에 더 양질의 밑반찬이 전달될 예정이다. 또 광양시 중마장애인복지관, SNNC, 금호동사무소는 이날 전달식을 계기로 서로 연계해 지역 내 취약계층을 위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광양시 중마장애인복지관 정헌주 관장은 “SNNC의 인덕션 후원으로 저소득 장애인 반찬지원사업이 더 안전한 환경 속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돼 감사드린다”며 “그동안 어려운 환경에서도 묵묵히 봉사를 이어온 한국여성소비자연합의 나눔에 대한 열정과 노력이 더 빛을 발할 수 있도록 복지관도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SNNC는 광양에 본사를 둔 향토기업으로 지역 인재 채용, 지역 농가 일손 돕기, 지역 문화재 지킴이 활동, 사회복지 지원(장애인 가정 주거환경개선·방역소독, 행복상자 후원물품 지원, 사진재능봉사단, 캔크러시 챌린지 등)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광양시중마장애인복지관 기획홍보팀 한은지 사회복지사 070-4186-037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기술변화에 따른 청년 미래 일자리는 ‘증감’보다 ‘일자리 변화’ 과정 살피며 전망해야
    서울특별시 청년허브(이하 청년허브)는 9월 19일과 26일 두 차례에 걸쳐 청년들이 당면한 위기와 미래의 가능성을 함께 예측, 모색하는 ‘2023 글로벌 솔루션 랩 웨비나(이하 글로벌 솔루션 랩 웨비나)’를 성황리 개최했다. ‘글로벌 솔루션 랩 웨비나’는 기후 위기, 고립과 은둔 등 청년의 삶의 문제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이야기 나누는 솔루션 기반 지식 교환 세미나로, 2021년 이후 매년 진행되고 있다. 올해에는 ‘능력주의와 공정성’, ‘AI와 일자리의 미래’ 등 청년의 현재와 미래의 삶과 밀접하고 관심이 높은 주제를 선정해 진행했다. 소수의 엘리트가 되기 위해 ‘각자도생’ 아닌 ‘서로에게 디딤돌’될 수 있는 정책 작동 필요 9월 19일 개최된 첫 번째 웨비나는 ‘공정성과 능력주의’를 주제로 진행됐다. ‘엘리트 세습’의 저자인 대니얼 마코비츠(예일대학교 로스쿨) 교수가 기조 발제를 맡았다. 대니얼 마코비츠 교수는 능력주의에 따라 규정된 사회적 가치와 위계 및 통념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불평등한 사회 구조 속에서 소수의 엘리트만이 획득하게 되는 우월성에 더 높은 사회적 지위와 연봉을 부여하는 능력주의가 공동체의 유익에 기여하고 있는가?”라며 “의료계만 보더라도 간호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 다양한 역할과 전문성을 확보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금처럼 소수의 엘리트 의사들에게 더 강하게 의존하게 만드는 현 의료시스템이 정말 사회의 유익에 부합하는지 우리 스스로 재질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토론으로 나선 김정희원(애리조나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기회의 다원성이 없는 대한민국 사회의 현실을 지적하며, ‘강남, 서울대, 의사, 변호사’로 대표되는 어떤 단일화된 삶의 성공 모델이 아닌 청년들이 다양한 종류의 삶의 경로를 상상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그를 통해 경쟁, 갈등, 위계가 아닌 협력과 연대의 삶이 가능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변금선(서울연구원 1인 가구·청년 정책연구그룹) 그룹장은 토론에서 “불평등한 현대 사회 구조와 극심한 경쟁 속에서 청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파편화된 위험과 위기를 청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로 보고 정책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면서 ‘각자도생’이 아닌 서로가 서로에게 ‘디딤돌이 되고 기댈 수 있는 정책’이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간이 로봇이나 AI보다 뛰어난 부분 훨씬 많아, 쉽게 대체될 수 없을 것 2023년 9월 26일 열린 두 번째 웨비나는 ‘자동화, AI와 일자리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됐다. 기조 발제를 맡은 ‘자동화와 노동의 미래’의 저자 아론 베나나브는 새로운 기술이 인간의 일자리의 47%를 빼앗을 것으로 전망했던 옥스퍼드 마틴 연구소의 2013년 발표에 대해 이후 10년간 기술로 인한 실제 일자리의 감소는 미비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금 우리가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것은 기술로 인한 일자리 감소 폭이 아니라 기술 발전으로 인한 일의 방식, AI가 노동을 감시하는 관리 방식의 변화 과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시스템들의 신기술이 높은 확률로 기업의 노동 감시와 통제, 노동의 양극화와 경제적 불평등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하며, 기술 문제와 관련해 노동자 스스로 연대해 사용자에 맞서 대안을 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토론을 맡은 이광석(‘디지털 폭식 사회’ 저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플랫폼 알고리즘 장치에 연결된 ‘유령 노동’, ‘긱 노동(초단기 노동)’, ‘크라우드 워크(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는 노동)’, ‘미세 노동(바쁜 일에 비해 매우 저임금을 받는 노동)’, ‘감정 노동’ 등 저임금의 위태로운 현대판 ‘기계예속 노동’의 지속적 양산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플랫폼은 안전을 배달하지 않는다’의 저자인 박정훈(라이더유니온) 초대 위원장은 현재 플랫폼 배달 노동자로서 겪는 구체적인 현장의 사례들을 발표했다.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인간이 로봇보다 나은 강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아론 베나나브는 “유연성과 학습력 등 여러 면에서 인간이 로봇이나 AI에 비해 월등하게 뛰어난 부분이 많다”며 “기술이 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인간이 가진 이러한 고유한 능력들을 모두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1, 2회차 웨비나에는 주도적으로 현재와 미래의 이슈에 주목하고 변화를 만들어 가고 하는 청년, 연구자, 정책 관계자, 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가해 열띤 질문과 토론으로 함께했다. 참여자들은 ‘날카롭고 통합적인 관점과 내용이 너무 좋았다’, ‘미래 불안에 대한 답을 얻어간다’, ‘긍정적 변화로 나아갈 것임을 믿는 희망적 시선이 인상적이었다’ 등의 소감을 남겼다. ‘글로벌 솔루션 랩 웨비나’는 11월 ‘서울 청년의 지속 가능한 삶’을 주제로 3, 4회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소개 청년허브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청년을 위해 역량 강화 지원, 청년 네트워크 연결, 청년 의제 발굴을 진행한다. 2013년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조례’를 기반으로 문을 열었으며, 2020년 정부의 ‘청년기본법’이 시행되기까지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청년정책의 확장된 패러다임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며, 청년의 잠재력에 주목하는 공적 토대를 만드는데 기여해왔다. 시대적 변화와 청년정책 변화의 흐름을 고려해 청년 주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고자 노력하며, 서울의 청년들이 가진 고민을 포착하고,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멈추지 않고자 한다. 나아가 지역, 국가, 세대 간 연결로 더 다양하고 많은 목소리들을 확산한다.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실천을 제안하며 사회적 확산을 고민한다. 언론연락처: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사업2팀 김예인 선임매니저 02-6238-6916 문의 국제교류파트 02-6238-692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