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Home >  뉴스 >  문화
실시간뉴스
실시간 문화 기사
-
-
박순연 작가의 역사 교양서 ‘전설이 된 남자, 사무엘 드 샹플랭’ 페스트북 추천 도서 선정
- 페스트북이 박순연 작가의 역사 교양서 ‘전설이 된 남자, 사무엘 드 샹플랭’을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책은 17세기 초, 프랑스 탐험가 샹플랭이 미지의 땅이었던 북아메리카에 뉴프랑스를 건설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따라간다. 특히 단순한 영토 확장을 넘어 원주민과의 공존과 화합을 추구했던 샹플랭의 인본주의적 비전과 리더십을 비롯해, 오늘날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정신이 어떻게 시작됐는지 그 기원을 탐색한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박순연 작가가 캐나다의 기초를 다진 한 인물의 여정을 치밀한 연구와 생동감 넘치는 서술로 담아냈다며,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탐험과 개척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박순연 작가는 “캐나다 이민자로서 늘 이 나라의 정신적 뿌리가 궁금했다. 이 책이 젊은이들에게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자세를, 지도자를 꿈꾸는 이들에게는 리더십의 본질에 대한 고민을 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출간 소감을 밝혔다. 인터넷 서점 독자들은 콜럼버스에 대해서만 들어봤는데 새로운 인물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캐나다에 이런 인물이 있는 줄 몰랐다, 캐나다인 이야기 2권이 기다려진다 등 다양한 후기를 남겼다. ‘전설이 된 남자, 사무엘 드 샹플랭’은 전국 주요 서점에서 종이책과 전자책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작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작가의 공식 웹사이트 박순연닷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페스트북 소개 ‘창작가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콘텐츠 솔루션 기업’. 페스트북은 총 500종이 넘는 출간물, 음반과 100종 이상의 베스트셀러를 보유한 대한민국의 크리에이터 중심 출판사다. 예술가와 창작가의 합리적이고 효과적 출판을 돕기 위해 기획, 출판, 디자인과 마케팅을 일원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3년, 2024년, 2025년 대한민국소비자만족도 1위를 수상했으며, 구글AGT 공식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페스트북 마형민 대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박순연 작가의 역사 교양서 ‘전설이 된 남자, 사무엘 드 샹플랭’ 페스트북 추천 도서 선정
-
-
달봇, 인공지능 기반 ‘마늘꼭지 제거로봇’ 상용화
- 마늘 꼭지를 제거하는 인공지능 로봇 장비가 등장해 마늘 가공식품의 맛과 품질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대구 달성의 푸드테크 전문기업 달봇(대표 강정근)은 10일 마늘의 꼭지 부분을 제거하는 마늘꼭지로봇을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비전 검사 기술로 하루 평균 300kg의 깐 마늘을 스캔해 불량품을 거르고 꼭지 부위를 자동으로 제거한다. 마늘꼭지로봇 여러 대를 모듈식으로 한 곳에 설치하면 컨베이어를 통해 대량의 마늘 꼭지 처리 작업도 지원한다. 마늘 꼭지는 식감이 거칠고 질겨서 식자재로 쓸모가 없지만, 하나씩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해 매우 까다롭다. 이에 시중의 마늘 제품은 대부분 질긴 꼭지가 붙은 상태로 소비된다. 달봇은 이번 마늘꼭지로봇이 작업자 3명을 대체할 수 있어 고령화로 일손이 부족한 마늘 농가와 관련 식품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꼭지를 제거한 마늘은 식감이 뛰어나 일반 마늘보다 20~50% 비싸게 유통되지만, 농촌 구인난 때문에 공급량은 제한적이다. 마늘꼭지로봇으로 꼭지를 제거한 마늘을 저렴하게 양산하면 기존 김치, 양념류 식품은 한층 풍미가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이는 새로운 형태의 마늘 식품 개발로 이어져 국내외 마늘 산업에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정근 달봇 대표는 “전통적인 농산물 가공 분야도 인공지능을 접목하면 혁신이 가능하다. 마늘꼭지로봇을 통해 관련 식품업계와 상생하는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달봇은 마늘 가공 외에도 어묵 제조, 딸기 가공 등 푸드테크 분야의 다양한 로봇 포트폴리오 군을 개발해 국내외에 출시 중이다. 달봇 소개 달봇은 영상처리 및 인공지능 로봇 전문 기업이다. 지난 30년간 축적한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농산물 가공 환경에 최적화된 생산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농수산물 가공 수요의 고도화와 농촌 일손 부족 간의 간극을 인공지능 자동화 솔루션으로 해소한다. 언론연락처: 달봇 강정근 대표 010-3507-824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달봇, 인공지능 기반 ‘마늘꼭지 제거로봇’ 상용화
-
-
GS25 ‘아이스브륄레’ 시리즈 하루 매출 1억5000만원 돌파… 매출·검색량·화제성 3관왕
-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디저트 전문 브랜드 로로멜로와 손잡고 업계 최초로 선보인 ‘아이스브륄레’ 시리즈의 하루 매출이 1억5000만원을 넘어섰다고 10일 밝혔다. 출시 직후와 비교하면 매출이 10배나 폭증했으며, 아이스크림 카테고리 내 최고 매출 기록도 단숨에 넘어섰다. ‘우리동네GS’ 앱의 실시간 인기 검색어 1위 자리도 ‘아이스브륄레’가 꿰찼다. 우리동네GS 앱을 통해 매장 재고를 조회하거나 픽업 서비스로 상품을 선점하려는 고객이 늘면서 ‘아이스브륄레’ 검색량이 폭발적으로 치솟았다. ‘품절 대란’, ‘재고 있는 곳’, ‘입고 시간’ 등이 ‘아이스브륄레’의 관련 키워드로 검색되는 등 포털과 SNS상에서의 화제성도 크게 확산되고 있다고 GS25 측은 설명했다. ‘아이스브륄레’는 프랑스 디저트 ‘크림 브륄레’를 아이스크림 콘셉트로 재해석한 제품이다. 시원한 크림 위에 설탕을 입혀 표면을 캐러멜라이징하는 방식으로 구현돼,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다. GS25는 높은 인기에 힘입어 ‘아이스브륄레’ 라인업 확대에도 나선다. ‘아이스브륄레 말차맛’을 신규 라인업으로 이번에 출시했다. 지난 5월부터 순차적으로 선보인 ‘아이스브륄레 바닐라’(1탄), ‘아이스브륄레 초코맛’(2탄)에 이은 세 번째 시리즈 상품이다. 3탄으로 선보인 ‘아이스브륄레 말차맛’은 국내산 말차를 배합한 크림 위에 설탕 코팅을 올려 구현된 상품이다. 말차 특유의 풍미와 시원하고 달콤한 크림의 조화가 일품으로 꼽힌다. 가격은 4500원이다. GS25는 ‘아이스브륄레 말차맛’ 출시를 통한 라인업 확대 및 본격적인 무더위 특수 등으로 ‘아이스브륄레’ 시리즈 수요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주용 GS25 아이스크림 MD는 “아이스브륄레 시리즈가 매출, 화제성 등 최근의 메가 히트 공식을 모두 갖추며 편의점 대표 아이스크림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시리즈 확대 및 무더위 등의 계절 특수에 힘입어 아이스크림 분류 내 최고 매출을 또 한 번 경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GS리테일 커뮤니케이션팀 김하얀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GS25 ‘아이스브륄레’ 시리즈 하루 매출 1억5000만원 돌파… 매출·검색량·화제성 3관왕
-
-
노르딕 세미컨덕터, 소형 배터리 제품을 위한 고집적 전력관리 IC ‘nPM1304’ 출시
-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업계에서 검증된 자사의 전력관리 IC(PMIC: Power Management IC) 제품군인 nPM1300의 성공 공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nPM1304’ PMIC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nPM1304는 소형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공간 제약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소형 배터리는 에너지 예산(Energy Budget, 전력 사용 한도)이 극히 제한적이고, 가능한 가장 낮은 전력으로 모든 기능을 구동해야 하는 까다로운 요구 조건이 수반된다. nPM1304 PMIC는 크기가 제한적인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독보적인 시스템 관리 기능과 정밀 연료 게이지(Fuel Gauging, 배터리 잔량 측정) 기능을 제공한다. 노르딕 고유의 알고리즘 기반 연료 게이지 방식은 전압, 전류, 온도 모니터링과 배터리 특성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결합해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쿨롱 카운터(Coulomb Counter)와 같은 연료 게이지 전용 디바이스와 유사한 정확도를 제공하면서도, 추가적인 전력 소모나 누적 오차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노르딕은 소형 배터리의 에너지 예산에 부합하는 전력 소모로 오늘날 제품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수준의 연료 게이지 정확도를 제공하는 최초의 기업이다. 연료 게이지 전용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제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최대 50µA, 대기 상태에서는 7µA의 전류를 소모한다. 예를 들어 평균 전류 소비량이 200µA인 제품의 경우, 기존의 연료 게이지 방식은 전체 에너지 예산에서 과도한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반면 노르딕 솔루션은 활성 상태에서 8µA, 대기 상태에서는 전혀 전류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지 않으면서도 충전 상태를 정확하게 추산할 수 있다. nPM1304는 4mA~100mA의 충전 전류를 지원하고, 3.5V~4.65V까지 충전 종료 전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선형 충전 모듈을 탑재하고 있어 단일 셀 리튬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이 배터리 차저는 충전 중 칩의 최대 온도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자동 온도 조절 기능도 갖추고 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PMIC 제품 디렉터인 게이르 코사비크(Geir Kjosavik)는 “소형의 커넥티드 센서 기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컨슈머 및 헬스케어 분야의 노르딕 고객들은 소형 폼팩터 제품의 한계를 넘어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nPM1304는 초저전력 소모로 배터리 잔여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시장의 요구에 완벽하게 부합한다”고 밝혔다. nPM1304는 노르딕의 초저전력 무선 SoC(System-on-Chip) 제품군인 nRF52, nRF53, nRF54 시리즈를 비롯해 다양한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전원공급장치를 관리하고, 최적화함으로써 최대 효율성과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언론연락처: 노르딕 세미컨덕터 홍보대행 올포칩미디어 진선옥 0505-342-342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노르딕 세미컨덕터, 소형 배터리 제품을 위한 고집적 전력관리 IC ‘nPM1304’ 출시
-
-
사이버한국외대, 프랑스 에밀리 뒤 샤틀레 고교서 해외한국어교육실습 진행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 한국어학부는 최근 프랑스 소재 공립 고등학교에서 해외한국어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사이버한국외대의 해외한국어교육실습은 예비 한국어교원인 재학생들이 해외 현지의 한국어교육 현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2007년 중국에서의 첫 실습을 시작으로 일본, 미국, 태국, 러시아, 불가리아, 베트남 등 세계 각국의 교육기관에서 꾸준히 운영돼 왔다. 프랑스에서의 실습은 2019년 여름 이후 이번이 두 번째로, 지난 6월 29일(일)부터 7월 5일(토)까지 프랑스 파리의 위성도시 세리스에 위치한 에밀리 뒤 샤틀레 고등학교(Lycée Émilie du Châtelet)에서 진행됐다. 사이버한국외대 재학생 12명이 일주일간의 현지 실습에 참여해 50여 명의 현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집중 수업을 펼쳤다. 이들은 또한 △한국 전통놀이 △한지 공예 △K-POP 체험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을 운영하며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특히 이번 실습은 예비 교원들이 직접 수업안을 기획하고 현지 학생들의 언어 수준에 맞춰 맞춤형 수업을 설계해 운영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컸다는 평가다. 실습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언어교육 실무 능력을 강화함은 물론 현지의 문화와 교육 환경을 이해함으로써 국제적 소통 역량을 키우며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전문성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실습 지도교수로서 함께한 사이버한국외대 한국어학부 송은정 교수는 “실습에 참여한 사이버한국외대 학생들의 준비성과 열정이 에밀리 뒤 샤틀레 고등학교 관계자들과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며 “사이버한국외대 한국어학부는 앞으로도 전 세계 다양한 국가, 글로벌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부는 ‘세계 한국어교육의 허브’를 목표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부다.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 노하우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을 양성하는 ‘한국어교육’ 전공과 외국인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한국어’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사이버한국외대는 이달 17일(목)까지 2025학년도 2학기 신·편입생을 모집한다. △영어학부 △중국어학부 △일본어학부 △한국어학부 △스페인어학부 △베트남·인도네시아학부 △경영학부 △산업안전·주택관리학부 △다문화·심리상담학부 △K뷰티학부의 10개 학부에서 학생을 선발하며,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입학지원센터 홈페이지(https://go.cufs.ac.kr)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개별 입학 상담이나 궁금한 점은 이메일(ipsi@cufs.ac.kr)이나 전화, 카카오톡(cufs)으로 문의하면 된다.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소개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는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동 한국외국어대학교 안에 자리한 4년제 원격대학이다. 사이버한국외대는 국내 유일 외국어 특성화 사이버대학교로, 세계 3위 언어 교육 기관인 한국외대의 외국어교육 노하우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 과정 △최첨단 온라인교육 환경 △학생 중심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이버한국외대 대학 과정에는 영어학부, 중국어학부, 일본어학부, 한국어학부, 스페인어학부, 베트남·인도네시아학부, 경영학부, 산업안전·주택관리학부, 다문화·심리상담학부, K뷰티학부 등 10개 학부가 있으며, 대학원 과정에는 AI & English학과, 글로벌한국어학과와 TESOL대학원 TESOL전공이 있다. 언론연락처: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입학처 입학팀 신진아 담당 02-2173-8731 개별 입학상담 등 추가 문의 02-2173-258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사이버한국외대, 프랑스 에밀리 뒤 샤틀레 고교서 해외한국어교육실습 진행
-
-
조러수호통상조약체결 141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 롯데호텔에서 열려
- 오킹그룹(회장 나정주), 러시아국영통신사, 사할린국영방송국이 주최하고, 한러경제발전협의회, 러시아국방학술원, 중국현대아시아연구소가 주관하는 국제학술포럼이 한국통일협회, 극동북극개발그룹의 후원으로 지난 7월 7일(월) 소공동 롯데호텔 크리스털 볼룸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됐으며, 1부는 10시 30분부터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의 개회사와 나정주 오킹그룹 회장의 환영사를 필두로 게오로기 지노비예프 주한러시아대사, 바실리 그루데브 사할린주 대외장관, 예카테리나 야코블레바 러시아 투데이 국영방송국 본부장, 석연화 한반도통일위원장 등 주요 내빈들의 축사가 이어졌다. 이어 세계평화자선재단 출범식이 한국 오태경 회장, 러시아 김영웅 박사의 선언서 낭독으로 진행됐고, 오킹그룹의 극동북극자원개발, 쿠릴열도개발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선포했다. 또한 오킹그룹의 부대사업인 첨단베어링 합작사업에 대해 Nuveme 사의 세르게이 폐도토프 회장이 자세히 소개했다. 12시경부터는 감미로운 음악과 다큐영화 ‘카타카란의 요트타고 세계일주’(감독 타티아나 비네르, 런던 최우수상 수상) 방영과 함께 오찬이 이어졌다. 이날의 주요행사인 2부 ‘국제학술포럼’은 박종수 전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을 좌장으로 김영웅 박사의 ‘러시아와 한국관계의 역사’, 알렉산드르제빈 박사의 ‘2025년의 한국 승리와 비극의 기념일’, 빅토리아 삼노바 중국현대아시아연구소 한국학센터장의 ‘현 러시아 연방과 한국의 무역 및 경제협력’ 발표가 진행됐고, MZ세대 박사인 알리사시리칼로바 박사는 ‘한국과 러시아연방의 청년 정책’ 발표로 큰 박수를 받았다. 한편 나정주 회장의 오호츠크해 & 쿠릴열도 개발권의 확보는 향후 대한민국의 경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경제계의 관심이 크게 증폭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동태는 물론 오징어 어획량도 크게 줄어들고 있는 한반도 주변의 바다환경은 캄차카 일대의 어업권 확보로 해결될 수 있고, 수자원과 지하자원 개발 외에도 관광산업, 호텔건설사업 등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힐 큰 희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오킹그룹 뉴스 페이지 : www.koreaarttv.com/homepage.php?minihome_id=oking 오킹그룹 소개 오킹그룹은 1994년 원코리아(One Korea) 그룹에서 시작됐다. 대북무역을 주력으로 시작해 시장을 점점 넓혀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몽골로 시장을 넓혀왔다. 식품에서 시작해 에너지 분야, 드론 감시망 등 첨단분야의 기술 합작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개척할 것이다. 언론연락처: 오킹그룹 홍보대행 한국사진방송 김가중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조러수호통상조약체결 141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 롯데호텔에서 열려
-
-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7’ 공개
- 삼성전자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Galaxy Unpacked 2025)’ 행사에서 콤팩트한 폼팩터에 갤럭시 AI를 결합한 새로운 플립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플립7(Galaxy Z Flip7)’을 공개했다. 갤럭시 Z 플립7은 멀티모달 시대에 최적화된 콤팩트한 AI 스마트폰으로, 전면에 적용한 한층 넓어진 플렉스윈도우(FlexWindow)와 플래그십 수준의 카메라, 아이코닉 디자인을 결합한 제품이다. 갤럭시 Z 플립7은 커버 디스플레이 전체를 스크린으로 쓸 수 있어 닫은 상태에서도 주요 기능을 보다 직관적이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갤럭시 Z 플립7은 콤팩트한 디자인에 강력한 모바일 AI 기능을 결합했다”며 “커버 스크린 중심의 혁신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을 보다 스마트하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커버 디스플레이인 플렉스윈도우로 확장된 사용성 강화 갤럭시 Z 플립7은 역대 시리즈 최초로 4.1형 플렉스윈도우를 탑재했다. 베젤은 1.25mm로 더욱 얇아졌으며, 최대 밝기 2600니트, 최대 120Hz 주사율과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밝기를 조절해 주는 비전 부스터(Vision Booster)를 지원해 밝은 야외에서도 뛰어난 가독성을 제공한다. 기기를 펼치지 않아도 문자 회신, 음악 재생, 일정 확인은 물론, 고화질 셀피 촬영과 제미나이 음성 호출을 통해 다양한 앱 연동까지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펼치면 보이는 6.9형 다이내믹 AMOLED 2X 메인 디스플레이는 생생한 컬러와 부드러운 스크롤 경험으로 영상 감상과 작업에 최적화된 몰입감을 제공한다. 한 손에 담기는 콤팩트한 사이즈와 향상된 성능 갤럭시 Z 플립7은 한 손에 들어오는 콤팩트한 사이즈와 향상된 내구성을 동시에 구현했다. 접었을 때 두께는 13.7mm, 무게는 188g으로, 일상 속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커버와 후면은 코닝® 고릴라® 글라스 빅터스® 2(Corning® Gorilla® Glass Victus® 2)가 탑재돼 생활 스크래치와 충격에 강하며, 프레임에는 견고한 아머 알루미늄(Armor Aluminum), 힌지에는 보다 얇고 강력해진 아머 플렉스 힌지(Armor FlexHinge)를 적용해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 없이 안정적인 개폐를 지원한다. 또 갤럭시 Z 플립7은 전작 대비 사용 시간을 대폭 늘린 설계를 통해 장시간 충전 걱정 없이 콘텐츠 시청, 사진 편집 등을 할 수 있다. 갤럭시 Z 플립 시리즈 최초의 4300mAh 배터리와 3nm 최신 프로세서가 결합돼, 향상된 전력 효율과 함께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제공한다. 특히 갤럭시 Z 플립 시리즈 최초로 삼성 덱스(Samsung DeX)를 지원해 갤럭시 Z 플립7을 외부 디스플레이·마우스·키보드 등과 연결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립의 콤팩트한 디자인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문서 작업·프레젠테이션 등 다양한 업무를 더 넓은 화면에서 보다 생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휴대성과 멀티태스킹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새로운 활용 방식이다. 플렉스윈도우에서 시작되는 한층 직관적이고 개인화된 AI 경험 새롭게 출시된 One UI 8 기반의 갤럭시 AI는 플립 UX에 최적화돼 플렉스윈도우에서 다양한 작업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는 플렉스윈도우에서도 음성 명령만으로 항공편 확인·주변 장소 추천·일정 등록 등 일상적인 요청에 응답하고 카메라 공유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을 기반으로 실시간 도움까지 제공한다. 나우 바(Now Bar)는 커버 화면에서 앱의 실시간 정보 확인, 영상·음악 제어, 실시간 경기 결과 등을 한눈에 보여주고, 나우 브리프(Now Brief)는 위치·시간·사용 습관을 바탕으로 맞춤형 정보를 자동으로 추천한다. 내 손안의 셀피 스튜디오 갤럭시 Z 플립7은 5000만 화소 광각 카메라와 1200만 화소 초광각 듀얼 카메라로 경치를 촬영하거나, 플렉스윈도우에서 바로 고화질 셀피를 찍을 때 언제 어디에서도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또한 10비트 HDR은 비디오 촬영 시 더 풍부한 색상, 더 깊은 명암비, 실물과 같은 디테일을 제공한다. 플렉스윈도우에서 바로 카메라를 실행하는 플렉스캠은 닫힌 상태에서 찍어도 실시간 필터 적용이 가능해 촬영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고, 줌 슬라이더 기능을 사용하면 스와이프 한 번으로 빠르고 쉽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커버 디스플레이와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동시에 프리뷰를 보며 촬영 가능한 듀얼 프리뷰, 장난기 넘치는 만화 스타일, 반려동물에 최적화된 인물 사진 스튜디오 등 다양한 기능이 적용돼, 손안의 셀피 스튜디오로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개인화된 AI 경험 제공을 위한 강력한 차세대 모바일 보안 솔루션 탑재 갤럭시 Z 플립7은 새로운 보안 계층이 추가돼 기기와 네트워크 전반에서 보안이 강화됐다.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를 통해 갤럭시 생태계 전반에 보다 능동적이고 직관적인 보안 환경을 제공하며, One UI 8을 기반으로 새롭게 도입된 킵(KEEP)은 각 앱별로 암호화된 독립 저장 공간을 생성해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삼성전자는 보안 Wi-Fi에도 양자 내성 암호 기능을 도입해 공용 네트워크망 이용 시에도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했다. * 양자 내성 암호 :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도 안전한 암호화 기술 갤럭시 Z 플립7·갤럭시 Z 플립7 FE, 15일부터 사전 판매 삼성전자는 7월 25일부터 갤럭시 Z 플립7을 국내 포함 전 세계에 순차 출시한다. 국내 사전 판매는 7월 15일부터 21일까지 7일간 진행된다. 갤럭시 Z 플립7은 블루 쉐도우, 코랄레드, 제트블랙 3종으로 출시되며, 삼성닷컴과 ‘삼성 강남’에서만 구매 가능한 전용 색상인 민트 색상도 선보인다. 가격은 12GB 메모리 기준 256GB 스토리지 모델 148만5000원, 512GB 스토리지 모델 164만3400원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Z 플립7 256GB 모델을 사전 구매한 고객에게 512GB 모델로 저장 용량을 무상 업그레이드 해주는 더블 스토리지(Double Storage) 혜택을 제공한다. * 갤럭시 Z 플립7 512GB는 사전 예약 진행하지 않음 이와 함께 ‘Google AI Pro’ 6개월 무료 구독권, 갤럭시 워치8 시리즈 및 정품 액세서리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며,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도 운영한다. * 자세한 내용은 삼성닷컴에서 확인 한편 삼성전자는 더 많은 사용자에게 폴더블 경험을 선사할 수 있는 갤럭시 Z 플립7 FE도 함께 출시한다. 갤럭시 Z 플립7 FE는 삼성닷컴 외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되며, 메모리 8GB, 256GB 스토리지의 블랙과 화이트 2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가격은 119만9000원이다. * 갤럭시 Z 플립7 FE도 사전 판매 진행, 자세한 내용은 삼성닷컴에서 확인 언론연락처: 삼성전자 홍보대행 The SMC 그룹_더커뮤니케이션즈 이희주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7’ 공개
-
-
대한전선, 한신평 신용등급 ‘A’로 상향
- 대한전선이 상향된 신용등급을 획득하며, 사업 안정성과 재무 건전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이하 한신평)로부터 기업 신용등급(ICR) ‘A’와 등급 전망 ‘안정적(Stable)’을 부여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2023년의 ‘A-, 안정적(Stable)’에서 한 단계 상향된 결과다. 한신평은 이번 등급 부여의 배경으로 △안정적 사업 기반 △외형 성장과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된 재무구조 등을 꼽았다. 10일 보고서 공개를 통해, 대한전선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품목인 해저케이블, 광케이블 사업 확장 등 추가적인 제품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원재료인 전기동의 가격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수직계열화된 생산구조 등을 통해 비교적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호반그룹에 인수된 이후 재무적 지원과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구조가 개선됐고, 유상증자 자금 및 영업에서 창출하는 현금흐름으로 재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싱가포르, 영국, 스웨덴 등 해외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로 수주 잔고가 증가세라고 설명하며, 연결 기준 순차입금이 2021년 말 4567억원에서 2025년 3월 말 (-)1261억원까지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번 평가는 등급 전망(Outlook)을 조정하는 과정 없이 신용등급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는 향후 상향 가능성을 예고하는 의미로 등급 전망을 먼저 ‘긍정적(Positive)’으로 조정한 뒤 신용등급을 상향하지만, 한신평은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채 곧바로 신용등급을 상향하며 대한전선의 높아진 대외 신인도를 반영했다. 이에 앞선 6월에는 나이스신용평가도 대한전선의 신용등급을 작년과 동일한 ‘A(Stable)’로 유지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로써 대한전선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 두 곳으로부터 모두 ‘A’ 등급을 확보하며, 실적 성장세와 재무 안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대한전선은 이번 신용등급 상향은 당사의 견조한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경쟁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며 특히, 해저케이블, HVDC 케이블 시스템과 같이 성장성이 높은 제품군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긍정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지속적인 사업 확대와 책임 있는 경영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기업 신용등급(ICR : Issuer Credit Rating)은 기업의 전반적인 사업 수익성 및 채무 상환 능력을 등급화한 것으로, 회사의 대외 신인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대한전선은 호반그룹에 편입된 이후 견고한 재무 구조와 사업 환경을 구축함에 따라 기업 및 고객 신뢰도를 제고하고자 해당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대한전선 홍보팀 김영신 차장 02-316-924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대한전선, 한신평 신용등급 ‘A’로 상향
-
-
3년 만에 돌아온 고양이 해결사… EBS ‘고양이를 부탁해’ 시즌 8, 7월 11일 방송
- EBS는 오는 7월 11일 고양이와 함께하는 행복한 삶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고양이를 부탁해’ 시즌 8을 방송한다. 3년 만에 시청자를 찾아온 ‘고양이를 부탁해’ 시즌 8의 첫 에피소드로는 총 8마리 고양이 대가족과 함께 살아가는 27세 청년 집사 기욱 씨의 이야기가 방송된다. 기욱 씨의 고양이 가족은 부부 고양이 나나와 누누,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마리 새끼들, 그리고 구조한 유기묘 노노까지 총 8마리로 구성돼 있다. 펫숍에서 피부병으로 고통받던 나나를 반려묘로 삼으면서 집사의 길에 들어선 기욱 씨는 나나와 같이 펫숍에서 피부병으로 방치되던 누누를 두 번째로 입양하게 됐다. 누누와 나나가 사랑에 빠져 다섯 마리 새끼들이 태어나며 고양이 가족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유기묘 노노까지 입양하면서 현재의 대가족이 됐다. 그런데 아무리 지켜봐도 사이좋게 잘 지내는 8마리 고양이들. 문제냥이 대체 누구일지 점점 미궁 속으로 빠져든다. 갑자기 수상한 행동을 보이는 노노와 새끼들, 상상도 하지 못할 문제 행동으로 제작진을 깜짝 놀라게 한다. 엄마도 아닌데 엄마처럼 행동하는 노노와 노노를 엄마처럼 따르는 새끼들에게 과연 어떤 문제 행동이 숨겨져 있는 걸까? 그 와중에 개구쟁이 넷째 뿌뿌는 위험천만한 문제 행동으로 모두의 가슴을 덜컹하게 만든다. 고양이 대가족의 문제 해결을 위해 ‘고부해’의 전설이 된 남자, 나응식 수의사가 나섰다. 냐옹신으로 불리는 나응식 수의사는 너무 편리해서 문제라는 의외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안성맞춤 솔루션을 제시한다. 첫 편부터 만만치 않은 문제냥들을 만나게 된 나응식 수의사는 과연 솔루션에 성공할 수 있을까? 첫 편부터 만만치 않은 문제냥들과 함께 새로운 묘연(猫緣)을 시작한다. EBS ‘고양이를 부탁해 - 넝쿨째 굴러온 여덟 고양이’ 편은 7월 11일(금) 저녁 7시 20분에 EBS 1TV에서 방송되며, EBS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한국교육방송공사 소개 한국교육방송공사(EBS)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육 공영 방송으로, 학교 교육을 보완하고, 국민의 평생 교육과 민주적 교육 발전을 위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1974년 라디오 학교 방송을 인수하면서 시작된 EBS는 1990년 교육 방송 개국, 1997년 위성 교육 방송 개국, 2000년 공사 출범 그리고 세계 최고의 교육미디어그룹으로의 도약에 이르기까지 장구한 세월 속에서 교육 방송으로의 가치를 지켜내며 평생 교육의 동반자로 국민과 함께 성장해 왔다. 언론연락처: EBS 홍보부 박태규 차장 02-526-253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3년 만에 돌아온 고양이 해결사… EBS ‘고양이를 부탁해’ 시즌 8, 7월 11일 방송
-
-
팀뷰어, 디지털 직원 경험 및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포트폴리오 국내 출시… IT 관리 및 운영 향상 지원
- 디지털 워크플레이스(Digital Workplace)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기업 팀뷰어(TeamViewer)가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엔드포인트 관리(Endpoint Management), 디지털 직원 경험(Digital Employee Experience, 이하 DEX)에 대한 종합 포트폴리오를 한국에 출시했다. 이번 출시에는 △수천 개 엔드포인트의 복잡한 IT 환경을 관리 및 최적화하는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 ‘팀뷰어 DEX(TeamViewer DEX)’ △핵심 DEX 기능을 중소기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DEX 에센셜(DEX Essentials)’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RMM), 원격 연결, DEX, AI 기반 기능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한 올인원 플랫폼 ‘팀뷰어 원(TeamViewer ONE)’이 포함된다. 기업이 점점 복잡해지는 IT 환경과 높아지는 직원 기대에 직면함에 따라 팀뷰어 솔루션은 기업이 디지털 경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업무 중단을 줄이며, 전반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이번에 확장된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포트폴리오는 IT 팀이 기존의 수동적 반응중심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지능적이고 사용자 중심의 운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팀뷰어 DEX’는 팀뷰어가 인수한 디지털 직원 경험 전문기업 1E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이다. ‘팀뷰어 DEX’는 IT 환경 전반에 걸쳐 엔드포인트 성능, 애플리케이션 동작, 사용자 만족도, 규정 준수 현황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제공하고, 이 데이터를 분석해 IT 팀이 사용자가 영향을 받기 전에 문제를 감지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해 업무 부담을 줄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IT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직원에게는 더 안정적이고 보안이 유지되며 만족스러운 디지털 업무 환경을, IT 부서에는 보다 효율적이고 사전 대응적인 운영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소기업까지 지원하기 위해 팀뷰어는 ‘DEX 에센셜’도 함께 출시했다. 중소기업의 요구에 맞춰 간소화된 형태로 구성된 플랫폼으로, 간편한 사용성과 빠른 도입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 이 솔루션은 복잡한 인프라 없이도 실시간 엔드포인트 모니터링, 지능형 알림, 반복적인 IT 문제 자동 해결 등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도 고품질의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며, 보다 정보에 기반한 정확한 IT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기업 규모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팀뷰어 원’은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분야에서 의미 있는 혁신을 제시한다. 이 플랫폼은 DEX, RMM, AI 기반 지원 자동화, 보안 원격 연결 기능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한 업계 최초의 플랫폼이다. ‘팀뷰어 원’은 성능 최적화 및 패치 관리부터 문제 해결, 직원 지원까지 전체 디지털 운영 환경을 하나의 중앙 인터페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여러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워크플로를 간소화하고, 부서 간 업무 가시성을 높이며, 문제 해결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최고의 기술들을 하나의 라이선스 안에 통합함으로써 ‘팀뷰어 원’은 IT 팀에 탁월한 제어 기능과 유연성, 간소함을 제공한다. 기업이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지원부터 글로벌 인프라 관리, 직원 경험 향상까지 다양한 과제에 대응하며 점점 더 디지털화되는 세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 세계 많은 기업들은 이미 ‘팀뷰어 DEX’ 플랫폼의 가치를 체감하고 있다.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도입 6개월 이내에 △장애 발생 건수 7배 감소 △직원 만족도 33% 증가 △투자 수익률(ROI) 287% 달성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팀뷰어는 이번 DEX 솔루션과 ‘팀뷰어 원’의 한국 시장 출시를 통해 스마트하고 통합된 경험 중심의 기술로 미래 업무 환경을 제시해 나갈 계획이다. 마크 밴필드(Mark Banfield) 팀뷰어 최고상업책임자(CCO)는 “이번 출시를 통해 팀뷰어는 한국 기업들이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전환에 있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기업은 ‘팀뷰어 DEX’를 이용해 수동적인 IT 지원을 벗어날 수 있고, ‘DEX 에센셜’은 이러한 기능을 더 많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또한 ‘팀뷰어 원’은 이 모든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IT 운영을 간소화하고, 직원 경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단일 플랫폼”이라고 한국 시장 지원 차 방문한 자리에서 말했다. 언론연락처: 팀뷰어 홍보대행 KPR 이예은 대리 02-3406-213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팀뷰어, 디지털 직원 경험 및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포트폴리오 국내 출시… IT 관리 및 운영 향상 지원
-
-
헥사곤 ALI, 디지털 전환 혁신을 이끄는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 ‘HxGN SDx2’ 출시
- 센서, 소프트웨어, 자율 기술을 결합한 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헥사곤 ALI(Hexagon Asset Lifecycle Intelligence Division)는 차세대 산업용 데이터 플랫폼인 HxGN SDx2를 공식 발표했다. HxGN SDx2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멀티 테넌트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설계된 솔루션으로, 산업 시설 전반에 데이터의 연결성을 구축하고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디지털 백본을 제공한다. 데이터, 워크 프로세스, 정보 시스템을 통합해 자산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상황 인지와 역할에 최적화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산업 프로젝트와 자산 운영의 회복탄력성과 효율성,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에너지, 제약, 반도체, 건설, 석유화학 공정 제조 등 복잡한 물리적 자산을 보유한 산업 기업들은 노후화된 인프라, 레거시 시스템, 숙련 인력의 감소, 운영 비용 증가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전환과 ESG 요건 충족을 위한 복잡성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디지털 플랫폼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HxGN SDx2는 산업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복잡한 환경을 극복하고, 최적의 운영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플랫폼은 프로젝트부터 운영, 유지보수까지 전 생애주기 데이터를 통합해 신뢰성 높은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며, 기존 시스템 및 워크플로우와의 유연한 연계를 통해 고객의 기술 투자 가치를 극대화한다. 마티아스 스텐버그(Mattias Stenberg) 헥사곤 ALI 글로벌 대표는 “오늘날 산업 기업들은 복잡한 글로벌 운영 환경 속에서 디지털 전환을 통해 지능형 운영 역량, 효율성, 그리고 회복탄력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HxGN SDx2는 헥사곤의 스마트 디지털 리얼리티 비전을 구현하는 핵심 플랫폼으로서, 고객이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과 지속 가능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도구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HxGN SDx2 주요 기능 - 리스크 예측 모니터링(Predictive Risk Monitoring): 실시간 인사이트 제공으로 예기치 못한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통합 시각화 도구를 통해 이해관계자 간 원활한 협업과 조정을 지원한다. - 연계 정보(Information Map): 자산 관련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시각화해 운영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 탐색 시간을 단축한다. - 지능형 시각화(Visual Intelligence): 기존 문서 중심의 정보 제공 방식을 탈피해 2D 및 3D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해도와 전달력을 향상시킨다. - AI/ML 기반 자동화 기능(AI/ML-Based Automation Features): 프로세스 자동화와 수작업 의존도 감소를 통해 데이터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HxGN SDx2는 산업시설의 성능과 수익성을 극대화하면서, 자산의 상태와 프로젝트 실행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다. 디지털 스레드를 통해 전사적인 정보 흐름을 연결하며, 산업 기업이 미래의 운영 모델을 보다 민첩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xGN SDx2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Dx2 웹사이트(https://hexagon.com/products/hxgn-sdx2)에서 확인하거나 소개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i0sasW8jKPI)을 시청하면 된다. ※ 헥사곤 에셋 라이프사이클 인텔리전스 사업부는 인터그래프 코리아와 동일 기업이다. 인터그래프 코리아 소개 인터그래프 코리아는 헥사곤 에셋 라이프사이클 인텔리전스(Asset Lifecycle Intelligence, ALI) 사업부로 헥사곤의 그룹 회사이다. 고객들이 보다 수익성 있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산업 시설을 설계·건설·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헥사곤 기술은 산업 프로젝트의 자산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더 나은 의사 결정과 인텔리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제공해 경제 및 환경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안전성, 품질,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헥사곤(나스닥 스톡홀름: HEXA B)은 50개 국가에 약 2만480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약 54억유로의 순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웹사이트나, 네이버 공식 블로그 및 트위터(@HexagonAB)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언론연락처: 인터그래프 코리아 신성준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헥사곤 ALI, 디지털 전환 혁신을 이끄는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 ‘HxGN SDx2’ 출시
-
-
좋은땅출판사, 강민정 작가의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 출간
- 관계의 순간마다 우리는 종종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 후회를 남긴다. 말은 마음의 가장 가까운 표현이면서도 가장 멀게 느껴질 때가 있다. 이 복잡하고 서툰 마음의 언어를 풀어내는 책이 출간됐다. 17년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강민정 소장의 감성에세이형 자기개발서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좋은땅 출판사)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저자 강민정 소장은 현재 ‘다시 살다’ ReLife 리라이프 관계언어연구소 소장과 라이프스피치 교육원 대표로 활동 중이며, 17년간 커뮤니케이션과 관계심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강연과 교육을 이어 가고 있다. 350만 뷰를 기록한 인스타그램, 극동방송, 기업과 대학 강연 등에서 많은 사람들과 ‘말과 마음의 관계’를 나눠 온 그는 이번 책을 통해 더 많은 독자들과 소통을 기대하고 있다.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는 단순한 말하기 기술을 넘어 관계를 맺는 태도와 마음의 방향을 짚어 주는 특별한 시선을 제안한다. 작가는 이민과 유학, 언론과 철학을 전공하며 쌓은 문화적, 심리적 경험을 토대로 ‘말’이라는 도구를 통해 관계의 갈피와 감정의 결을 세심하게 들여다본다. 특히 말과 사람을 따뜻하게 바라보는 법, 표현하는 방법, 그리고 관계에서 마음을 내는 법까지 아우르며 독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진다. 또한 이 책은 감정의 섬세한 결을 읽어내는 이야기로 구성됐다. ‘관계’, ‘경청’, ‘말’, ‘사과’ 네 가지 챕터로 나눠 실생활에서 누구나 겪는 대화의 순간과 그 안에 숨은 감정의 온도를 조명한다. 각 장은 문화·심리·커뮤니케이션 이론이 자연스럽게 녹아든 일상의 스토리로 구성돼 있어 편안하게 읽히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길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이동과 타인과의 거리감을 통해 ‘관계’와 ‘표현’의 불안을 마주하며 성장해 온 작가의 경험도 고스란히 담겨 있다. 뉴욕과 텍사스에서의 이민과 유학생활, 귀국 후의 적응기를 겪으며 저자는 익숙한 환경에서도 낯선 시선을 유지하는 법을 배웠다. 이러한 저자의 경험은 책 곳곳에서 ‘서툰 마음’과 ‘어설픈 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으로 투영돼 독자에게 위로와 성찰을 동시에 선사할 것이다. 관계의 어긋남, 표현의 후회, 마음의 거리감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를 통해 자신의 말과 마음을 들여다보고, 보다 따뜻하고 단단한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는 ‘말의 숲을 지나 누군가에게로 닿고 싶다’. 그 안전한 여정의 길라잡이가 되는 책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는 교보문고, 영풍문고, 예스24, 알라딘, 인터파크, 도서11번가 등에서 주문·구매할 수 있다. 좋은땅출판사 소개 도서출판 좋은땅은 1993년 설립해 20여 년간 신뢰, 신용을 최우선으로 출판문화 사업을 이뤄왔다. 이런 토대 속에 모든 임직원이 성실함과 책임감을 느끼고, 깊은 신뢰로 고객에게 다가가며, 사명감을 바탕으로 출판문화의 선두 주자로서 어떠한 원고라도 세상에 빛을 보게 해 독자가 더 많은 도서를 접하고, 마음의 풍요와 삶의 질을 높이도록 출판 사업의 혁신을 이뤄나갈 것이다. 언론연락처: 좋은땅출판사 이진우 매니저 02-374-861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좋은땅출판사, 강민정 작가의 ‘그때 나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 출간
-
-
Venture Global and SEFE Announce Expansion of LNG Partnership
- Today, Venture Global, Inc. (NYSE: VG) and Securing Energy for Europe GmbH (SEFE) announced the finalization of an agreement under which SEFE’s subsidiary, SEFE Energy GmbH, will purchase an additional 0.75 million tonnes per annum (MTPA)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from CP2 LNG, Venture Global’s third project, for 20 years. Today’s announcement amends the existing Sales and Purchase Agreement signed by the companies in 2023, increasing the total volume of LNG purchased by SEFE from CP2 LNG to 3.0 MTPA. Venture Global is expected to become Germany’s largest LNG supplier, with a combined 5 MTPA of 20-year offtake agreements signed with SEFE and EnBW. In addition to its existing long-term agreements, Venture Global to date has supplied Germany with almost 80 cargoes of LNG from its Calcasieu Pass and Plaquemines LNG facilities, enough to power 8 million German homes for one year. “Venture Global is thrilled to expand our strategic partnership with Germany and SEFE and play a leading role in ensuring security of energy supply and affordability for not only Germany but the rest of the European gas market,” said Mike Sabel, CEO of Venture Global. SEFE, a German state-owned company, is among numerous, world-class LNG customers for CP2 in Europe, Asia and the rest of the world. Accordingly, CP2 is a strategically important project to global energy supply and security. To date, approximately 11.5 MTPA of CP2 Phase One has been sold, raising the total contracted capacity for all of Venture Global’s projects to 41.5 MTPA. About Venture Global Venture Global is a long-term, low-cost provider of U.S. LNG sourced from resource rich North American natural gas basins. Venture Global’s business includes assets across the LNG supply chain including LNG production, natural gas transport, shipping and regasification. Venture Global’s first facility, Calcasieu Pass, commenced producing LNG in January 2022 and achieved commercial operations in April 2025. The company’s second facility, Plaquemines LNG, achieved first production of LNG in December 2024. The company is currently constructing and developing over 100 MTPA of nameplate production capacity to provide clean, affordable energy to the world. Venture Global is developing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projects at each of its LNG facilities. About SEFE SEFE Securing Energy for Europe GmbH (SEFE) is an integrated energy company owned by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at is active in various stages along the value chain. Headquartered in Berlin, Germany, the company with more than 1,500 employees has its strongest presence in Germany, supplying industrial customers and municipal utilities. SEFE is a midstream company focusing on trading & portfolio management, sales, storage and pipeline infrastructure. SEFE plays a pivotal role in providing energy supply stability for Germany and Europe. Forward-looking Statements This press release contains forward-looking statements. We intend such forward-looking statements to be covered by the safe harbor provisions for forward-looking statements contained in Section 27A of the Securities Act of 1933, as amended (the “Securities Act”), and Section 21E of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as amended (the “Exchange Act”). All statements, other than statements of historical facts, included herein are “forward-looking statements.” In some cases, forward-looking statements can be identified by terminology such as “may,” “might,” “will,” “could,” “should,” “expect,” “plan,” “project,” “intend,” “anticipate,” “believe,” “estimate,” “predict,” “potential,” “pursue,” “target,” “continue,” the negative of such terms or other comparable terminology. These forward-looking statements, which are subject to risks, uncertainties and assumptions about us, may include statements about our future performance, our contracts, our anticipated growth strategies and anticipated trends impacting our business. These statements are only predictions based on our current expectations and projections about future events. There are important factors that could cause our actual results, level of activity, performance or achievemen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e results, level of activity, performance or achievements expressed or implied by the forward-looking statements. Those factors include our need for significant additional capital to construct and complete future projects and related assets, and our potential inability to secure such financing on acceptable terms, or at all; our potential inability to accurately estimate costs for our projects, and the risk that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s of natural gas pipelines and pipeline connections for our projects suffer cost overruns and delays related to obtaining regulatory approvals, development risks, labor costs, unavailability of skilled workers, operational hazards and other risks; the uncertainty regarding the future of global trade dynamics,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s and the United States’ posi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cluding the effects of tariffs; our dependence on our EPC and other contractors fo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our projects, including the potential inability of our contractors to perform their obligations under their contracts; various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including opposition by environmental or other public interest groups, or the lack of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support required for our projects, which could negatively affect the permitting status, timing or overall development,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our projects; and risks related to other factors discussed under “Item 1A.—Risk Factors” of our annual report on Form 10-K for the year ended December 31, 2024 as filed with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and any subsequent reports filed with the SEC. Any forward-looking statements contained herein speak only as of the date of this press release and are based on assumptions that we believe to be reasonable as of this date. We undertake no obligation to update these statements to reflect subsequent events or circumstances, except as may be required by law.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9186528/en/ 언론연락처: Venture Global Inc. Investors Ben Nolan Media Shaylyn Hynes SEFE Media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Venture Global and SEFE Announce Expansion of LNG Partnership
-
-
벤처글로벌-SEFE, LNG 파트너십 확대 발표
- 벤처 글로벌(Venture Global, Inc.)(NYSE: VG)과 시큐어링 에너지 포 유럽(Securing Energy for Europe GmbH, SEFE)이 SEFE의 자회사인 SEFE 에너지(SEFE Energy GmbH)가 벤처 글로벌의 세 번째 프로젝트인 CP2 LNG로부터 20년 동안 연간 75만 톤(MTPA)의 액화천연가스(LNG)를 추가로 구매하는 계약의 최종 체결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2023년 양사가 체결한 기존 매매 계약을 수정함으로써 SEFE가 구매한 LNG의 총 물량을 CP2 LNG에서 3.0MTPA로 늘린다. 벤처 글로벌은 SEFE 및 EnBW와 체결한 결합된 5 MTPA의 20년 오프테이크(offtake) 계약을 체결하여 독일 최대의 LNG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장기 계약 외에도 벤처 글로벌은 현재까지 칼카슈 패스(Calcasieu Pass) 및 플라크민(Plaquemines) LNG 시설에서 약 80개의 LNG 화물을 독일에 공급했으며, 이는 1년 동안 800만 독일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다. 마이크 사벨(Mike Sabel) 벤처 글로벌 CEO는 “벤처 글로벌은 독일 및 SEFE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독일뿐만 아니라 나머지 유럽 가스 시장을 위해서도 에너지 공급 안정성과 경제성을 보장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어 너무 기쁘다”고 말했다. 독일 국영 기업인 SEFE는 유럽, 아시아 및 기타 지역에서 CP2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수많은 LNG 고객 중 하나이다. 따라서 CP2는 글로벌 에너지 공급 및 안보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현재까지 약 11.5MTPA의 CP2 페이즈 원(CP2 Phase One)이 판매되어 벤처 글로벌의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총 계약 용량이 41.5MTPA로 증가했다. 벤처 글로벌 소개 벤처 글로벌은 자원이 풍부한 북미 천연 가스 분지에서 공급되는 미국 LNG를 장기적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급업체이다. 벤처 글로벌의 사업에는 LNG 생산, 천연 가스 운송, 운송 및 재기화를 포함한 LNG 공급망 전반의 자산이 포함된다. 벤처 글로벌의 첫 번째 시설인 칼카슈 패스(Calcasieu Pass)는 2022년 1월에 LNG 생산을 시작했고 2025년 4월에 상업적 운영을 성취했다. 회사의 두 번째 시설인 플라크마인스 LNG(Plaquemines LNG)는 2024년 12월에 LNG의 첫 생산을 달성했다. 이 회사는 현재 전 세계에 깨끗하고 저렴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100 MTPA 이상의 명판 생산 능력을 건설 및 개발하고 있다. 벤처 글로벌은은 자신의 각 LNG 시설에서 탄소 포집 및 격리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SEFE 소개 SEFE 시큐어링 에너지 포 유럽(SEFE)는 독일 연방 공화국 소유의 통합 에너지 회사로, 가치 사슬의 다양한 단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에 본사를 두고 있고 1500명 이상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이 회사는 독일에서 가장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 고객 및 지자체 유틸리티에 공급하고 있다. SEFE는 거래 및 포트폴리오 관리, 판매, 저장 및 파이프라인 인프라에 중점을 둔 미드스트림 회사이다. SEFE는 독일과 유럽에 에너지 공급 안정성을 제공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전망적 진술 이 보도 자료에는 전망적 진술이 포함되어 있다. 벤처 글로벌의 의도는 이러한 전망적 진술이 개정된 1933년 증권법 27A항(이하 “증권법”) 및 개정된 1934년 증권거래법 21E항(이하 “거래법”)에 포함된 전망적 진술에 대한 세이프 하버 조항의 적용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포함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진술을 제외한 모든 진술은 전망적 진술이다. 어떤 경우에, 전망적 진술은 “할(일) 수 있다”, “할(있을) 수도 있다”, “할(일) 것이다”,“할(일) 수 있었다”, “해야 한다”, “기대하다”, “계획하다”, “예측하다”, “의도하다”, “예상하다”, “믿다”, “추정하다”, “예측하다”, “잠재적”, “추구하다”, “계속하다”, 그런 용어들의 부정어나 다른 비교 용어와 같은 용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벤처 글로벌에 대한 위험, 불확실성 및 가정의 영향을 받는 이러한 전망적 진술에는 벤처 글로벌의 미래 성과, 계약, 예상 성장 전략 및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예상 추세에 대한 진술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진술은 미래의 사건에 대한 현재의 기대와 예측에 근거한 예측일 뿐이다. 벤처 글로벌의 실제 결과, 활동 수준, 실적 또는 업적이 전망적 진술에 의해 표현되거나 암시된 결과, 활동 수준, 실적 또는 업적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있다. 이러한 요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미래 프로젝트 및 관련 자산을 건설하고 완료하기 위해 상당한 추가 자본에 대한 필요, 수용 가능한 조건으로 그러한 자금을 확보할 수 없거나 전혀 확보할 수 없는 잠재적인 무능력; 프로젝트 비용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는 잠재적 무능력, 천연 가스 파이프라인 및 프로젝트를 위한 파이프라인 연결의 건설 및 운영이 규제 승인 획득과 관련된 비용 초과 및 지연, 개발 위험, 인건비, 숙련된 작업자의 이용 불가, 운영 위험 및 기타 위험을 겪을 위험; 글로벌 무역 역학의 미래, 국제 무역 협정 및 관세의 영향을 포함한 국제 무역에 대한 미국의 입장과 관련된 불확실성;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료를 위해 EPC 및 기타 계약업체에 대한 의존(계약업체가 계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잠재적 불능 포함); 프로젝트의 허가 상태, 시기 또는 전반적인 개발, 건설 및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단체 또는 기타 공익 단체의 반대 또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지방 정부 및 지역 사회 지원의 부족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적 및 정치적 요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2024년 12월 31일에 종료되는 연도에 대한 양식 10-K의 연례 보고서의 “항목 1A.—위험 요인”에 대해 논의된 기타 요인 및 SEC에 제출된 후속 보고서와 관련된 위험. 여기에 포함된 모든 전망적 진술은 이 보도 자료 날짜를 기준으로만 적용되며 이 날짜를 기준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벤처 글로벌은 법에서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후속 사건이나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이러한 진술을 업데이트할 의무가 없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벤처 글로벌(Venture Global Inc.) 투자 문의 벤 놀란(Ben Nolan) 미디어 문의 셰일린 하인(Shaylyn Hynes) SEFE 미디어 문의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벤처글로벌-SEFE, LNG 파트너십 확대 발표
-
-
씨디네트웍스, 페트롤리멕스 전략적 파트너 선정… AI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사이버 보안 강화
- 아태지역 최고의 엣지서비스 제공 네트워크(CDN) 기업 씨디네트웍스(CDNetworks)는 베트남의 주요 항공유 서비스 제공 업체 페트롤리멕스(Petrolimex)와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맺고 디지털 방어 강화 및 안정적인 웹 기반 서비스를 위한 AI 기반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페트롤리멕스는 베트남 및 동남아시아 전역에 안정적인 성능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적응형 AI 기반의 방어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아울러 전담 현지 전문가 팀의 전문적이고 신속한 기술 지원을 바탕으로 빠르고 안전한 시스템을 확보했다. 페트롤리멕스는 씨디네트웍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속도와 안전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운영 효율성과 고객 신뢰를 구축하는데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 페트롤리멕스 트란 민 탕(Tran Minh Thang) CIO는 “씨디네트웍스는 솔루션의 서비스부터 현지 네트워크 구축에 적용될 전문적인 기술 등 모든 측면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다. 양사가 함께 성장해 나아갈 미래가 크게 기대된다”고 말했다. 씨디네트웍스 안토니 리(Antony Li) APAC 영업책임자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페트롤리멕스가 높은 서비스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롭게 발생하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우리와 함께할 수 있게 돼 대단히 기쁘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동남아시아 기업들이 보안, 성능 및 비즈니스 목표를 통합하는 통합 전략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어 어떠한 기업보다 명확하고 확실한 기술력과 서비스를 제공해 양사가 만족하고 깊은 관계를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페트롤리멕스 소개 2008년 설립된 페트롤리멕스(Petrolimex)는 베트남 국영 석유 그룹(Vietnam National Petroleum Group)의 주요 자회사다. 베트남의 양대 주요 항공유 수출입 허브 중 하나로, 50개 이상의 국내외 항공사에 연료 및 급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IATA 전략적 파트너이자 공동 검사 그룹(JIG) 회원사인 페트롤리멕스는 항공유의 품질, 안전 및 규정 준수 측면에서 최고 수준의 국제 기준을 준수해 운영되고 있는 기업이다. 씨디네트웍스 소개 2800개 이상의 글로벌 PoP(Points of Presence)와 20년 이상의 기술 경험을 보유한 APAC 선도 네트워크인 전문기업인 씨디네트웍스는 엣지서비스(Edge as a Service)를 통해 가장 빠르고 안전한 디지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웹 성능, 미디어 전송, 클라우드 보안, 제로 트러스트 보안 및 코로케이션 서비스가 포함되며, 모든 서비스는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큰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씨디네트웍스 정진현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씨디네트웍스, 페트롤리멕스 전략적 파트너 선정… AI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사이버 보안 강화
-
-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 공개
- 삼성전자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Galaxy Unpacked 2025)’ 행사에서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Galaxy Z Fold7)’을 공개했다. 갤럭시 Z 폴드7은 역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 △갤럭시 AI △2억 화소 카메라 △대화면 디스플레이 △고성능 칩셋이 모두 담긴 제품으로, 접었을 때는 직관적인 스마트폰 사용성을, 펼쳤을 때는 더 넓어진 대화면을 통해 몰입형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또, 구글과의 협력을 통해 안드로이드 16과 함께 일정을 맞춰 새롭게 적용된 One UI 8을 기반으로 갤럭시 AI와 구글 제미나이(Gemini)가 폼팩터에 최적화돼 창작·생산성·소통 전반에서 한층 진화된 폴더블 경험을 선사한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갤럭시 Z 폴드7은 하드웨어와 AI를 결합해 삼성전자가 선보인 가장 진보한 스마트폰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이라며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이 조화를 이루며, 강력한 몰입감으로 직관적인 울트라 경험을 한 손에 담아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더 얇고 가벼워진 디자인, 펼치면 완성되는 대화면 몰입감 갤럭시 Z 폴드7은 접었을 때 8.9mm, 펼쳤을 때 4.2mm 두께에 215g의 무게로, 역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으로 완성됐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6.5형 다이내믹 AMOLED 2X(너비 약 64.9mm)로, 21:9 화면비로 접은 상태에서도 바(Bar) 타입 스마트폰과 유사한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펼치면 보이는 8.0형 메인 디스플레이는 갤럭시 스마트폰 중 가장 넓은 화면으로, 전작 대비 11% 넓어진 화면을 통해 콘텐츠 편집, 멀티태스킹, 영화 감상, 갤럭시 AI를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혁신적인 설계로 초슬림 하면서 강력한 내구성 및 높은 성능 구현 갤럭시 Z 폴드7에 아머 플렉스힌지(Armor Flex Hinge)를 새롭게 적용해 외부 충격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켜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동시에 내구성도 확보했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더 얇고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티타늄 소재를 적용했고, 초박막 강화유리(UTG, Ultra Thin Glass)의 두께를 전작 대비 50% 증가시켜 디스플레이를 더욱 견고하게 했다. 전면에는 코닝® 고릴라® 글라스 세라믹 2(Corning® Gorilla® Glass Ceramic 2), 후면에는 코닝® 고릴라® 글라스 빅터스® 2(Corning® Gorilla® Glass Victus® 2)를 적용해 초슬림함과 강력한 내구성을 구현했다. 또, 힌지를 보호하는 프레임에는 강화된 아머 알루미늄(Advanced Armor Aluminum)이 적용돼 전체 외관의 내구성을 높였다. 갤럭시 Z 폴드7에는 퀄컴의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Snapdragon® 8 Elite for Galaxy)’ 칩셋이 탑재됐다. 이 칩셋은 전작 대비 NPU 성능이 41%, CPU는 38%, GPU는 26% 향상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언어 번역, 생성형 이미지 편집, 개인화 추천 등 AI 기반 기능을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플래그십급 카메라와 대화면 편집 환경으로 완성하는 콘텐츠 경험 갤럭시 Z 폴드7은 갤럭시 울트라의 카메라 경험을 폴더블 폼팩터에 담아낸 제품으로, 2억 화소 광각 카메라와 AI 기반 프로비주얼 엔진(ProVisual Engine)을 장착해 전문가급 카메라 경험을 제공한다. 2억 화소 광각 카메라는 놀라운 디테일, 생생한 색상, 풍부한 질감을 포착해 모든 순간을 생생하게 재현한다. AI로 강화돼 조명·디테일·사실감 등을 자동으로 최적화하고 이미지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어두운 공원, 심야 카페와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도 선명하고 생생한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 대형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AI 기반 편집을 통해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다. 배경의 인물을 자동으로 감지해 제거하는 생성형 편집(Generative Edit)의 ‘지울 대상 추천(Suggest Erases)’ 기능부터 동영상의 배경 소음을 제거하는 ‘오디오 지우개’까지 정교한 편집 경험을 제공한다. 대화면에 최적화된 편집 기능과 향상된 야간 촬영, 100도 광각 셀피 카메라 성능까지 더해져 누구나 손쉽게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다. 폴더블에 최적화된 One UI 8과 갤럭시 AI의 시너지 갤럭시 Z 폴드7은 진정한 멀티모달 AI 경험과 One UI 8을 통한 폴더블 폼팩터에 최적화된 갤럭시 AI 경험을 제공한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와 기기 간에 자연스러운 소통이 가능해 갤럭시 스마트폰 경험을 획기적으로 진화시켰다. 멀티모달 AI로 향상된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의 화면 또는 카메라 공유 기능을 사용해 텍스트 기반 검색 방식에서 벗어나 즉각적인 음성 답변을 얻을 수 있다. 갤럭시 Z 폴드7의 대화면으로 게임을 하다가 궁금한 아이템이나 공략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기능을 실행하면 게임에 방해받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 ‘AI 결과 뷰’는 AI를 통해 생성된 결과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단, 중앙, 측면 등 원하는 위치에 분할 보기(Split View) 형태로 표시해 원본 콘텐츠를 가리지 않고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화된 AI 경험 제공을 위한 강력한 차세대 모바일 보안 솔루션 탑재* 갤럭시 Z 폴드7은 새로운 보안 단계가 추가돼 기기와 네트워크 전반에서 보안이 강화됐다.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를 통해 갤럭시 생태계 전반에 보다 능동적이고 직관적인 보안 환경을 제공하며, One UI 8을 기반으로 새롭게 도입된 킵(KEEP)은 각 앱별로 암호화된 독립 저장 공간을 생성해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설계됐다. 또, 삼성전자는 ‘보안 Wi-Fi’에도 양자 내성 암호 기능을 도입해 공용 네트워크망 이용 시에도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했다. * 양자 내성 암호 :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도 안전한 암호화 기술 7월 25일부터 전 세계 순차 출시, 국내는 15일부터 사전 판매 삼성전자는 이달 25일부터 갤럭시 Z 폴드7을 국내 포함 전 세계에 순차 출시한다. 갤럭시 Z 폴드7의 국내 사전 판매는 7월 15일부터 21일까지 7일간 진행된다. 갤럭시 Z 폴드7은 블루 쉐도우, 실버 쉐도우, 제트블랙 3종과 ‘삼성닷컴’·‘삼성 강남’에서만 구매 가능한 전용 색상인 민트 색상을 출시한다. 가격은 12GB 메모리 기준 256GB 스토리지 모델 237만9300원, 512GB 스토리지 모델 253만7700원이고, 16GB 메모리를 탑재한 1TB 스토리지 모델은 293만3700원이다. * 1TB 스토리지 모델은 메모리 16GB에 블루 쉐도우, 제트블랙 2가지 색상으로 출시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Z 폴드7 256GB 모델을 사전 구매한 고객에게 512GB 모델로 저장 용량을 무상 업그레이드 해주는 더블 스토리지(Double Storage) 혜택을 제공한다. 512GB 모델 구매 고객은 23만7600원을 추가 결제하면 16GB 메모리의 1TB 스토리지 모델을 받을 수 있다. * 갤럭시 Z 폴드7 1TB는 사전 예약 진행하지 않음 이와 함께 ‘Google AI Pro’ 6개월 무료 구독권, 갤럭시 워치8 시리즈 및 정품 액세서리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며,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도 운영한다. * 자세한 내용은 삼성닷컴에서 확인 언론연락처: 삼성전자 홍보대행 The SMC 그룹_더커뮤니케이션즈 이희주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 공개
-
-
람다테스트 ‘스마트 브랜칭 및 베이스라인 관리’ 기능 출시로 시각적 테스트 워크플로 현대화
- GenAI 기반 품질 엔지니어링 플랫폼인 람다테스트(LambdaTest)가 시각적 테스트 분야의 획기적 도약을 이룰 ‘SmartUI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ambdatest.com%2Fvisual-regression-testing%2F%3Futm_source%3Dmedia%26utm_medium%3Dpressrelease%26utm_campaign%3Djuly8_ps%26utm_term%3Dps%26utm_content%3Dpr&esheet=54287420&newsitemid=54287420010&lan=en-US&anchor=SmartUI%26%238217%3Bs&index=2&md5=8a01f288879172692b692ad9791cf72a) 스마트 브랜칭 및 베이스라인 관리’ 기능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구식 베이스라인 전략으로 인한 오랜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개발팀이 복잡한 깃(Git) 워크플로 전반에서 시각적 테스트를 지능적이고 간소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대적인 개발팀은 기능 브랜치, 릴리스 버전, 핫픽스 워크플로를 활용하지만, 대부분의 시각적 테스트 도구는 여전히 메인 브랜치와의 비교에만 의존해 불필요한 오류를 발생시키고 시간 소모적인 승인 절차를 유발한다. 람다테스트의 SmartUI는 오늘날의 브랜칭 전략에 맞춰 특별히 설계된 다음 기능들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스마트 브랜치 비교(Smart Branch Comparison)는 메인 브랜치를 기준으로 삼는 대신, 동일한 기능 브랜치 내에서 정확한 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시각적 변경 사항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높인다. 유연한 병합 옵션(Flexible Merging Options)은 병합된 시각적 상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승인하여 수동 승인을 없앤다. 다이내믹 베이스라인(Dynamic Baselines) 기능은 브랜치, 빌드, 동적 참조 등의 릴리스 전략에 따라 베이스라인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혁신적 기능은 새롭게 디자인된 ‘비주얼 머지 스튜디오(Visual Merge Studio)’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다. 이 스튜디오는 스마트한 추천, 브랜치 인식(branch-aware) 비교, 직관적인 제어 기능을 통해 비전문가도 수동 작업을 90%까지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원활한 깃허브 액션스(GitHub Actions) 통합과 스테이징 및 프로덕션 환경 전반에서 시각적 테스트를 촉진하는 기능을 갖춘 SmartUI가 이제 최신 데브옵스(DevOps) 파이프라인을 가속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람다테스트의 공동 창립자 겸 제품 책임자인 마얀크 볼라(Mayank Bhola)는 “시각적 테스트는 워크플로에 역행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작동해야 한다”며 “스마트 브랜칭 및 베이스라인 관리는 개발팀이 요구해 온 ‘상황 인지(context-aware)’ 시각적 테스트 요청에 대한 람다테스트의 응답이다. 이는 단순한 기능 업데이트가 아니라 개발자, QA 및 제품팀 모두에게 속도와 명확성을 제공하는 근본적인 변화”라고 말했다. SmartUI의 최신 기능은 현재 모든 기업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된다. 람다테스트는 앞으로도 더 심층적인 통합과 자동화 기능 개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최신 소프트웨어 배포 환경에 시각적 QA가 자연스럽게 통합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람다테스트 소개 람다테스트(LambdaTest)는 팀이 지능적이고 스마트하게 테스트하고 더 빠르게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enAI 기반 품질 엔지니어링 플랫폼이다. 확장성을 위해 구축된 이 플랫폼은 1만 개 이상의 실제 디바이스와 3000개 이상의 브라우저를 갖춘 풀스택 테스트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AI 네이티브 테스트 관리, MCP 서버,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를 갖춘 람다테스트는 셀레니움(Selenium), 앱피움(Appium), 플레이라이트(Playwright) 및 모든 주요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하이퍼엑스큐트(HyperExecute) 및 케인AI(KaneAI)와 같은 AI 에이전트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워크플로에 AI와 클라우드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해 120개 이상의 통합을 통한 원활한 자동화 테스트를 지원한다. 람다테스트 에이전트(LambdaTest Agents)는 테스트 계획 및 작성부터 자동화, 인프라, 실행, RCA 및 보고에 이르기까지 전체 SDLC에 걸쳐 테스트를 가속화한다. 웹사이트: https://lambdatest.com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람다테스트(LambdaTest)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람다테스트 ‘스마트 브랜칭 및 베이스라인 관리’ 기능 출시로 시각적 테스트 워크플로 현대화
-
-
LambdaTest Unveils Smart Branching and Baseline Management to Modernize Visual Testing Workflows
- LambdaTest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ambdatest.com%2F%3Futm_source%3Dmedia%26utm_medium%3Dpressrelease%26utm_campaign%3Djuly8_ps%26utm_term%3Dps%26utm_content%3Dpr&esheet=54287420&newsitemid=20250708019786&lan=en-US&anchor=LambdaTest&index=1&md5=c28d5de3354e92ba0cecae51576fad17), a GenAI-powered quality engineering platform, has announced the release of SmartUI’s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ambdatest.com%2Fvisual-regression-testing%2F%3Futm_source%3Dmedia%26utm_medium%3Dpressrelease%26utm_campaign%3Djuly8_ps%26utm_term%3Dps%26utm_content%3Dpr&esheet=54287420&newsitemid=20250708019786&lan=en-US&anchor=SmartUI%26%238217%3Bs&index=2&md5=8a01f288879172692b692ad9791cf72a) Smart Branching and Baseline Management, a major leap forward in visual testing. This update eliminates long-standing bottlenecks caused by outdated baseline strategies and introduces an intelligent, streamlined way for development teams to manage visual testing across complex Git workflows. Modern development teams utilise feature branches, release versions, and hotfix workflows; however, most visual testing tools still rely on comparisons against the main branch, resulting in irrelevant failures and time-consuming approvals. LambdaTest’s SmartUI changes that with features purpose-built for today’s branching strategies. Smart Branch Comparison ensures visual tests are run against the correct baseline, comparing within the same feature branch instead of defaulting to the main. Flexible Merging Options automatically create and approve merged visual states, eliminating the need for manual approvals. Dynamic Baselines allow teams to configure baselines according to their release strategy, whether by branch, build, or dynamic references. These innovations are delivered through a redesigned Visual Merge Studio interface, offering smart recommendations, branch-aware comparisons, and intuitive controls that reduce manual effort by 90%, even for non-technical users. With seamless GitHub Actions integration and the ability to promote visual tests across staging and production environments, SmartUI now plays a central role in accelerating modern DevOps pipelines. “Visual testing should work with your workflow, not against it,” said Mayank Bhola, Co-Founder and Head of Product at LambdaTest. “Smart Branching and Baseline Management is a response to what development teams have been asking for context-aware visual testing that just makes sense. This isn’t just a feature update; it’s a foundational shift that unlocks speed and clarity for developers, QA, and product teams alike.” SmartUI’s latest capabilities are now available to all enterprise users immediately. LambdaTest continues to invest in deeper integrations and automation enhancements to further embed visual QA into the fabric of modern software delivery. About LambdaTest LambdaTest is a GenAI-powered Quality Engineering Platform that empowers teams to test intelligently, smarter, and ship faster. Built for scale, it offers a full-stack testing cloud with 10K+ real devices and 3,000+ browsers. With AI-native test management, MCP servers, and agent-based automation, LambdaTest supports Selenium, Appium, Playwright, and all major frameworks. AI Agents like HyperExecute and KaneAI bring the power of AI and cloud into your software testing workflow, enabling seamless automation testing with 120+ integrations. LambdaTest Agents accelerate your testing throughout the entire SDLC, from test planning and authoring to automation, infrastructure, execution, RCA, and reporting.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s://lambdatest.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8019786/en/ 언론연락처: LambdaTest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LambdaTest Unveils Smart Branching and Baseline Management to Modernize Visual Testing Workflows
-
-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8·워치8 클래식’ 공개
- 삼성전자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Galaxy Unpacked 2025)’ 행사에서 설계 혁신을 기반으로 갤럭시 워치 시리즈 중 가장 얇고 착용감이 뛰어난 갤럭시 워치8·갤럭시 워치8 클래식을 공개했다.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얇고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일상적인 건강 관리에 최적화된 ‘갤럭시 워치8’과 회전 베젤과 퀵 버튼을 적용해 아날로그 워치의 감성에 편의성을 더한 ‘갤럭시 워치8 클래식’ 2개의 모델로 출시된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이번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삼성전자의 하드웨어 혁신을 바탕으로 부품부터 외관까지 디자인을 전면 재설계해 웨어러블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며 “삼성만의 독자 기술로 사용자에게 더욱 정교한 정보를 제공해 올바른 습관을 가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가장 얇은 디자인으로 뛰어난 착용감과 강력한 성능 제공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갤럭시 워치 중 가장 얇은 디자인과 역대급 착용감을 구현하면서도 강력한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쿠션 디자인이 전 라인업에 확대 적용돼 더욱 명확하고 독보적인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했을 뿐만 아니라 심미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갖췄다. 제품의 내부 구조를 새롭게 설계하고 부품 집적도를 30% 개선해 두께는 갤럭시 워치7 대비 11% 얇아졌다. 또, 워치 밴드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다이내믹 러그 시스템(Dynamic Lug System)’을 적용해 손목의 움직임에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착용감을 개선하고 건강 지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 삼성 내부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갤럭시 워치8은 갤럭시 워치7에 비해 12% 더 나은 착용감과 8%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함. 전작보다 50% 향상된 최대 3000니트 밝기의 디스플레이로 밝은 직사광선 아래서도 뛰어난 시인성을 보이며, 더 커진 배터리 용량으로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성을 지원한다. 또, ‘이중 주파수 GPS(Dual-frequency GPS) 시스템’으로 정확하게 위치 추적을 제공할 뿐 아니라 3나노 프로세서로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건강 지표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바이오액티브 센서(BioActive Sensor)’로 개인의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 수면부터 운동, 항산화, 심혈관까지 고도화된 건강 인사이트 제시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수면에서 식이, 운동까지 건강 전반에 걸쳐 즉각적이고 동기 부여되는 인사이트를 제공해 건강한 습관 형성을 돕는다. * 일반적인 건강 관리 및 피트니스 목적으로만 사용됨. 의학적 상태 또는 질병의 감지, 진단, 치료에 사용하도록 제작되지 않았음. 측정된 값은 개인 참조용이며, 자세한 사항은 의료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함.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더욱 개인화된 운동 경험을 제공한다. ‘러닝 코치’ 기능은 사용자의 러닝 수준을 분석해 개인 맞춤형 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간 코칭을 해준다. 나아가 ‘투게더’ 기능은 주변 사람들과 경쟁하며 운동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다. 또, 스마트워치 최초의 ‘항산화 지수’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는 항산화 성분 중 하나인 ‘카로티노이드’ 수치를 단 5초 만에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단이나 생활 습관의 변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관적으로 확인해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도록 동기부여를 받는다. * 항산화 지수는 모든 손가락으로 측정 가능하지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 엄지 손가락 사용을 권장. 항산화 물질은 피부에 고르게 분포돼 있지 않아 반복 측정 시 측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취침 시간 가이드’ 기능으로 사용자의 최근 3일 간의 수면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취침 시간을 제안하고, 스마트워치 최초로 수면 중 ‘혈관 스트레스’를 측정해 사용자가 보다 종합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혈관 스트레스’ 기능은 심혈관에 가해진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낸다. 워치를 착용하고 자면 혈관 스트레스를 측정해 기준값에 따른 변화 추세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수면, 스트레스, 운동, 식생활 습관 등 심혈관에 영향을 주는 생활 패턴도 함께 관리하도록 개인화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혈관 스트레스 분석을 위해서는 최근 2주간 최소 3일은 갤럭시 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해야 함. 이외에도 일상 생활에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스트레스 높음 알림’ 기능은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사용자에게 휴식을 권고한다. ‘마음챙김’ 기능은 간편하게 호흡 운동을 시작하고 기분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AI 기반의 ‘에너지 점수’는 건강이 일상에 미치는 신체적·정신적 영향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컨디션을 관리하고, 더욱 건강한 하루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 One UI 8 Watch와 제미나이 탑재… 스마트하고 직관적인 워치 사용 경험 삼성전자는 구글과 협업으로 갤럭시 워치8 시리즈에 최초로 웨어(Wear) OS 6와 제미나이를 탑재했다. 사용자는 일상에서 대화하듯 음성으로 명령해 여러 동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0칼로리 서킷 트레이닝 운동 시작해 줘’라고 사람에게 말하듯 자연스럽게 말하면 삼성 헬스에서 운동 기능을 실행시킨다.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One UI 8 Watch를 적용해 작은 화면에서도 필요한 정보가 한눈에 보이도록 인터페이스 또한 새롭게 디자인했다. 최소한의 조작만으로도 삼성 헬스, 날씨, 일정 등 핵심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며, 홈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나우 바(Now bar)’는 현재 실행 중인 기능을 놓치지 않고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 25일부터 국내 포함 전세계 순차 출시, 국내는 10일부터 사전 판매 ‘갤럭시 워치8’, ‘갤럭시 워치8 클래식’ 그리고 티타늄 블루 컬러의 ‘갤럭시 워치 울트라’는 이달 25일부터 전세계에 순차적으로 출시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10일 자정부터 삼성닷컴과 네이버, 쿠팡, 11번가, 지마켓 등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사전판매를 시작한다. 삼성스토어, 하이마트, 이동통신 3사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사전판매를 진행한다. 사전판매 기간은 7월 10일부터 21일까지다. 사전판매 기간 내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구매한 고객에게는 삼성닷컴 워치 액세서리 30% 할인쿠폰 3종을 제공한다. 50종 이상의 다양한 액세서리 중 금액대별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한 후 쿠폰을 적용해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더불어 삼성 헬스 앱에서 ‘갤럭시 러닝Up 챌린지’를 진행한다. 챌린지 참여 신청 후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러닝 코치 기능을 체험하고 후기를 작성한 고객에게 네이버페이 포인트 5000원 권을 제공하며, 우수 후기로 선정되면 특별 러닝 굿즈를 지급한다. ‘갤럭시 워치8’은 실버, 그라파이트 두 가지 색상이 44mm, 40mm 크기로 출시된다. ‘갤럭시 워치8 클래식’은 블랙, 화이트 두 가지 색상이 46mm 한 가지 사이즈로 출시된다. ‘갤럭시 워치8’의 가격은 44mm 블루투스 모델 45만9000원, LTE 모델 48만9500원, 40mm 블루투스 모델 41만9000원, LTE 모델 44만9900원이다. ‘갤럭시 워치8 클래식’은 46mm 블루투스 모델 56만9000원, LTE 모델 59만9500원이다. 또한 ‘갤럭시 워치 울트라’의 ‘티타늄 블루’ 신규 컬러를 새롭게 선보인다. 아웃도어 활동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갤럭시 워치 시리즈 중 가장 강력한 내구성과 최장 배터리 사용 시간을 자랑한다. 가격은 LTE 모델 89만9800원이다. 한편 극강의 착용감과 간편한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갤럭시 링’은 투톤 티타늄 블랙, 티타늄 블랙, 티타늄 실버, 티타늄 골드 색상을 지원하며, 사이즈는 5호부터 15호까지 선택 가능하다. 언론연락처: 삼성전자 홍보대행 The SMC 그룹_더커뮤니케이션즈 이희주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문화
-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8·워치8 클래식’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