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7-27(목)

뉴스
Home >  뉴스

실시간뉴스

실시간 뉴스 기사

  •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포페런츠-밀알복지재단, 시니어 나들이 돌봄 프로그램 활성화 협력 위한 3자 MOU 체결
    포페런츠(대표 장준표)는 11일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이사장 송영록), 밀알복지재단(이사장 홍정길)과 ‘시니어 나들이 돌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공동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 포페런츠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은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이 2016년부터 진행해온 시니어 정서 지원을 위한 임직원 자원봉사활동을 확대하고 어르신 돌봄 공백 해소 및 문화 향유 기회 제공을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포페런츠,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 및 밀알복지재단은 시니어 나들이 돌봄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한다. 포페런츠는 시니어 돌봄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으로, 서울 워커힐과 덕수궁, 부산 해변열차, 대전 장태산휴양림, 창원 창동예술촌 등 지역 여행지에 시니어 특화 체험 콘텐츠를 활용해 이번 캠페인의 나들이 프로그램을 기획했으며, 돌봄 전문 인력 ‘버디(Buddy)’를 파견해 캠페인 진행을 맡았다. 밀알복지재단은 2016년부터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국내 전문복지사업과 국제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비영리 기관 사회복지법인으로, 이번 캠페인에 함께할 복지관 연계부터 전체 사업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9월 11일 진행된 협약식에는 △포페런츠 장준표 대표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 황애경 이사 △밀알복지재단 남궁규 사무처장 등이 참석해 성공적인 캠페인 진행을 위해 각 기업 간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장준표 포페런츠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는 다가오는 초고령 사회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 재단, 사회복지법인과 스타트업이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협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캠페인이 단순 사회공헌활동을 넘어 노인의 고립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커뮤니티케어 실현의 모범 사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페런츠 소개 포페런츠는 국민 건강 수명을 늘리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로 2022년 설립돼 시니어 여가 분야를 이끌고 있는 기업이다. 언론연락처: 포페런츠 홍보팀 장수연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0
  • 금천구시설관리공단,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와 ‘금천구 폐지 줍는 어르신들 위한 제빵 봉사’ 실시
    금천구시설관리공단(이사장 임병호)은 14일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와 함께 ‘따뜻한 금천구를 위한 제빵 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올해 대한적십자사와 맺은 업무협약에 대한 지역사회공헌 사업의 일환으로 금천구 관내의 폐지 줍는 어르신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고 복리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됐다. 사전에 대한적십자사에서 경량 리어카와 안전 키트 등을 전달한 어르신들을 포함해 시흥1동 고물상 2곳을 방문하는 폐지 수집 어르신들을 위해 공단 임직원들이 제빵 봉사활동을 통해 만든 빵 60세트와 두유를 적십자 금천지구협의회와 함께 나눠드리며 교통안전 수칙을 안내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캠페인은 지역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캠페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임병호 금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공단 직원들의 재능 기부 봉사를 통해 관내 폐지 줍는 어르신들의 실질적인 복리증진에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단순한 지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금천구 취약계층 및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ESG 경영을 실천하고 지역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금천구시설관리공단 소개 금천구시설관리공단은 2004년 10월 27일 공공시설물의 효율적 관리·운영을 위해 설립된 지방공기업으로 금천구 공영주차장 및 노상주차장 운영, 거주자우선주차제 운영, 부정주차 차량 견인 및 보관, 금천구민문화체육센터·금빛휘트니스센터·금나래문화체육센터·잔디축구장 등 체육시설 운영, 청소년독서실 운영, 금천구청종합청사 및 금천종합복지타운센터 시설관리, 공공시설물(동주민센터/구립어린이집/구립경로당 등) 시설관리 사업, 현수막게시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금천구시설관리공단 전산홍보팀 윤성운 02-809-0061~7 070-4633-313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0
  • BAT Outlines Five-Step Plan Towards Better Regulation of Vapour Sector
    A blueprint for how regulators and governments could better regulate vapour products and help smokers switch to less risky*† products has been outlined today by Kingsley Wheaton, BAT’s Chief Strategy & Growth Officer as the Global Tobacco & Nicotine Forum (GTNF) opened in South Korea. Mr Wheaton explained how BAT’s five-step plan for regulation could support achieving the right balance between harm reduction and the mitigating unintended consequences, including underage access to products. The BAT leader further added that reckless players in the market need to be penalised when they do not abide by the rules. Kingsley Wheaton, BAT’s Chief Strategy & Growth Officer, said: “There are five areas where more c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regulation. These are the areas that regulators should explore and establish smart regulation that is right for their market. “First, on-device technology and functionality: vapour products should be accessible only to adults. Both underage prevention and restriction is crucial. On-device technology, when applied and enforced across entire markets, could help in this regard. “Second, more recognition is needed that flavours are an important driver of adoption for smokers seeking alternatives. However, flavours in vapour products should not particularly appeal to anyone underage. “Third is at the manufacturing and import level: ensuring that non-compliant products cannot reach the market in the first place. “Fourth, where no restrictions exist already, regulators may want to look at who should be able to sell vapour products and where. Reasonable safeguards at the point-of-sale would help ensure these products are sold only to adult consumers. Solutions such as retail licensing an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ie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Lastly, enforcement and penalties: governments must wield their power and ensure consumers are purchasing legitimate products. Such measures should be rigorously enforced and those who fail to comply should face meaningful sanctions.” Mr Wheaton added: “Let there be no doubt about what BAT stands for - a future where reduced-risk*† alternatives to smoking are embraced. A future where innovation thrives, and where millions of consumers are free to choose from a range of alternatives. We call upon governments, regulators, and industry peers to rally towards a sustainable and progressive environment in which these products are sold and marketed responsibly.” NOTES TO EDITORS GTNF is the world’s leading conference discussing the future of tobacco and nicotine, running from 19 to 21 September in Seoul, South Korea. Due to unforeseen circumstances, Kingsley Wheaton’s speech was delivered on his behalf by BAT’s Global Head of Business Communications, Jonathan Atwood. About BAT BAT is a leading, multi-category consumer goods business with a purpose to build A Better Tomorrow™ by reducing the health impact of its business through offering a greater choice of enjoyable and less risky products for adult consumers. The company continues to be clear that combustible cigarettes pose serious health risks, and the only way to avoid these risks is not to start or to quit. BAT encourages those who would otherwise continue to smoke to switch completely to scientifically-substantiated, reduced-risk alternatives*†. In order to deliver this, BAT is transforming into a truly consumer-centric multi-category consumer products business. BAT’s ambition is to have 50 million consumers of its non-combustible products by 2030 and to generate £5billion of New Categories revenue by 2025. BAT has set stretching ESG targets including achieving carbon neutrality for Scopes 1 & 2 by 2030 and eliminating unnecessary single-use plastic and making all packaging reusable, recyclable or compostable by 2025. BAT employs over 50,000 people. The BAT Group generated revenue of £27.65 billion in 2022 and profit from operations of £10.5 billion. The company’s Strategic Portfolio is made up of its global cigarette brands and a growing range of reduced-risk*† New Category tobacco and nicotine products and traditional non-combustible tobacco products. These include vapour, tobacco heating products, modern oral products including tobacco-free nicotine pouches, as well as traditional oral products such as snus and moist snuff. In the first half of 2023, we had 24 million consumers of our non-combustible products, a rise of 1.5 million on full year 2022. * Based on the weight of evidence and assuming a complete switch from cigarette smoking. These products are not risk free and are addictive. † Our vapour product Vuse (including Alto, Solo, Ciro and Vibe), and certain products, including Velo, Grizzly, Kodiak, and Camel Snus, which are sold in the U.S., are subject to FDA regulation and no reduced-risk claims will be made as to these products without agency clearance. Forward-looking statements This release contains certain forward-looking statements, including “forward-looking” statements made within the meaning of the U.S.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 of 1995. These statements are often, but not always, made through the use of words or phrases such as “believe,” “anticipate,” “could,” “may,” “would,” “should,” “intend,” “plan,” “potential,” “predict,” “will,” “expect,” “estimate,” “project,” “positioned,” “strategy,” “outlook”, “target” and similar expressions. These include statements regarding our customer target ambition, New Categories revenue targets and our ESG targets. All such forward-looking statements involve estimates and assumptions that are subject to risks, uncertainties and other factors. It is believed that the expectations reflected in this release are reasonable but they may be affected by a wide range of variables that could cause actual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ose currently anticipated. A review of the reasons why actual results and developments may differ materially from the expectations disclosed or implied within forward-looking statements can be found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contained under the headings “Cautionary Statement” and “Group Principal Risks ” in the 2022 Annual Report and Form 20-F of British American Tobacco p.l.c. (BAT). Addi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these and other factors can be found in BAT‘s filings with the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including the Annual Report on Form 20-F and Current Reports on Form 6-K, which may be obtained free of charge at the SEC’s website, http://www.sec.gov and BAT’s Annual Reports, which may be obtained free of charge from the BAT website www.bat.com. Past performance is no guide to future performance and persons needing advice should consult an independent financial adviser. The forward-looking statements refl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available at the date of preparation of this release and BAT undertakes no obligation to update or revise these forward-looking statements, whether as a result of new information, future events or otherwise. Readers are cautioned not to place undue reliance on such forward-looking statements.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0126110/en/ 언론연락처: BAT Media Centre +44 (0) 20 7845 2888 (24 hours) Investor Relations Victoria Buxton +44 (0)20 7845 2012 Amy Chamberlain +44 (0)20 7845 1124 John Harney +44 (0)20 7845 1263 Jane Henderson +44 (0)207845 111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건국대 이희라 교수, 기후문제 해결 위한 ‘자연의 가치’ 연구 네이처지 게재
    건국대학교는 상허생명과학대학 이희라 교수(산림조경학과)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8월 9일 세계 최고 권위를 가진 학술 저널 ‘네이처(Nature)’지에 게재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이희라 교수가 주저자로 참여한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Intergovernmental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의 ‘가치 평가서’를 기반으로 한다. ‘생물다양성과학기구’는 2012년에 유엔 산하에 설립된 국제기구로, 전 세계 과학자들이 참여해 주제별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 분야 연구 결과 종합 및 평가 후 작성한 보고서를 정책 결정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이 교수는 5만여편의 과학 출판물, 정책 문서, 지역 지식에 담긴 자연의 다양한 가치와 가치 평가 방법을 정리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정리하는 데 기여했다. 또 여러 가치 평가 방법론을 구분하고 연구 결과를 검토하는 데 이바지했다. 자연은 다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산림이 인간에게 목재나 식량과 같은 경제적인 이익뿐만 아니라 탄소를 흡수해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도 하며, 휴양지로 활용될 때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산림 이용 계획을 세울 때는 경제림 또는 공익림 등 한 가지 목적에만 초점이 맞춰진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자연의 가치를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가치 중심 접근 방식’으로 다가가지 않으면 기후 변화 해결에 필요한 근본적인 변화는 불가능하다. 이미 개발된 다양한 가치 평가 방법들을 장기적 관점에서 의사 결정에 반영하는 제도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희라 교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생태계서비스 분야 전문가로서, 2014년부터 생물다양성과학기구 저자로 참여하고 있다. 올해도 생물다양성과학기구의 보고서 ‘Business and Biodiversity Assessment’의 주저자로 선정돼 2025년까지 경제 활동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대한 평가 방법을 전 세계에 제공하기 위해 연구한다. 이희라 교수는 “우리는 자연이 주는 다양한 가치들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SDG)와 같은 글로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사회와 경제 등 전 세계 모든 부문에 걸쳐 자연의 다양한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서은솔 02-450-3131~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Huawei and Ocean Research and Conservation Association (ORCA) Show How They Go About Protecting Ireland Marine Life
    Ocean Research and Conservation Association (ORCA) of Ireland and Huawei Ireland released the latest key findings on marine life protection in Ireland discovered during their joint work on the Smart Whales Sound project. The announcement took place during the OceanTech Summit at Ireland’s Baltimore Castle in Ireland. Shipping lanes in the Celtic Sea south of Ireland are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noise pollu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the joint-study found. Prior research had shown that ocean noise can affect a multitude of marine species, including seals, fish, and even squid; and it can threaten the survival of whales. So far, the real-time multi-species detection system has show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ine conservation. It can provide real-time notifications to ships in areas where whales are present, thanks to its new acoustics data acquisition system. The system could potentially help in the planning of key marine infrastructure, such as offshore renewable energy facilities, to minimise noise impact on marine life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Emer Keaveney, Co-founder and Executive Director of ORCA Ireland, said: "Noise from shipping and other human activities in our waters can have a severely detrimental impact on marine life like whales and dolphins. Ship noise, such as the low hum of a container ship can mask whale calls, affect animal communication and important life history strategies such as co-ordinated feeding, or move animals out of important habitats.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provide increasing opportunity to use these innovations for good an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world. To achieve this, we are using Huawei's [AI development platform] ModelArts and cloud storage, coupled with machine learning, to automate wildlife monitoring for marine conservation.” Luis Neves, CEO of Global Enabling Sustainability Initiative commented, "The work of capturing sound in the oceans and harnessing the power of AI and big data analytic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marine ecology and its complex interactions with various threats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is endeavor not only facilitates broader public engagement but also strengthens the effectiveness of conservation initiativ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survival and well-being of marine species. “At GeSI we are proud for having our member Huawei taking leadership and using its innovations and sophisticated AI/deep learning models to automatically detect and identify cetacean species and therefore support the preservation of dolphins and whales.” Luke McDonnell, Head of PR of Huawei Ireland, said, “Huawei believes that no one should be left behind in the digital world and we have made it our mission to put digital inclusion front and centre of our business. In addition to environmental protection, we believe that digital technologies also play a key role in many other areas.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I, cloud, and 5G are being rapidly integrated and extensively applied across different industries. This is facilitat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sustainable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bringing tangible benefits to society as a whole.” Starting in March 2021, the ORCA Ireland Smart Whale Sounds project is run in partnership with Rainforest Connection (RFCx), and supported by Huawei Ireland through the TECH4ALL initiative, as the first real-time marine bioacoustics study in Ireland. Preliminary analysis suggests that the south coast of Ireland is a cetacean (whales, dolphins and porpoise) ‘hot-spot’. Cetaceans constitute almost half of all the animals within Ireland’s sea and land borders. Worldwide, sea mammals are a third of animals on earth.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14709947/en/ 언론연락처: Huawei Olivia Zhang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환황해권 ‘해양문화관광 대전환’ 모색한다
    충남도가 환황해권 해양 문화 교류, 관광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 해상풍력단지 확대를 비롯한 탄소중립 실천 방안 등을 동아시아 각국 지방정부와 논의하는 장을 편다. 충남도는 9월 25일 부여 롯데리조트에서 ‘제9회 환황해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해양문화관광의 대전환, 환황해가 연결하다’를 주제로 정한 올해 포럼에는 김태흠 충남지사, 일본 나라현 야마시타 마코토 지사와 이와타쿠니오 의회 의장, 리궈치앙 중국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부시장, 응유옌 탄 하이 베트남 롱안성 부당서기 등 한·중·일 3국과 베트남 지방정부, 대학, 기관 관계자 70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는 개회식에 이어 △크루즈 관광과 해양 문화 교류 방안(1세션) △문화유산 활용 관광 생태계 구축 방안(2세션) △해상풍력단지 확대를 통한 탄소중립 실천 방안(3세션)을 주제로 한 3개 세션을 진행한다. 환황해 국가 간 크루즈 관광과 해양 문화 교류 방안을 논의하는 첫 세션은 홍장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이 좌장을 맡고, 이정철 남서울대 교수가 발제를 갖는다. 이 교수는 발제를 통해 해양관광과 농어촌에 체류하며 자연과 친해지는 여가활동인 블루 투어리즘, 크루즈 등 다양한 선박을 이용한 해양레저관광 등을 소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토론에는 윤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과 다키나미 이사무 일본 시즈오카현 스포츠문화관광부 이사, 노태현 충남도 해양수산국장, 다나카 사부로 일본 크루즈연구소 부회장 등이 참여한다. 2세션은 김창수 경기대 관광전문대학원장이 좌장을 맡고, 박철희 충남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이 발제를 진행하며, 지진호 논산문화관광재단 대표, 이인재 가천대 교수, 리궈치앙 부시장, 다카하시 마코토 시즈오카현 서울사무소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박 수석연구위원은 발제에서 지역 문화유산 관광을 소개하고, 관광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 유산 기반 관광 거점 구축과 교육 관광 활성화, 환황해권 국가 간 관광 협력 증진 방안 등을 내놓는다. 해상풍력단지 확대를 통한 탄소중립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3세션은 이장호 군산대 총장이 좌장을 맡는다. 발제는 최덕환 에너지전환포럼 이사가 맡아 해상풍력 확대를 위한 문제점 해소 방안, 전용 설치선과 배후항만 개발, 거점형 클러스터 조성 등을 설명한다. 3세션 토론에는 성진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연구위원, 조공장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문고영 리뉴얼블즈 코리아 대표이사, 호소카와 다카히로 일본환경평가협회 대표이사 등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고효열 충남도 균형발전국장은 “해양 문화 관광 활성화와 해양벨트 구축, 탄소중립 실천 등을 위한 각국 지방정부의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해 고대 해상강국으로 국제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 백제의 고도 부여에서 이번 포럼을 마련했다”며 “이 자리에서 논의하는 내용은 환황해 도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또 하나의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도청 소개 충남도청은 환황해권 해양 문화 교류, 관광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 해상풍력단지 확대를 비롯한 탄소중립 실천 방안 등을 동아시아 각국 지방정부와 논의하는 장을 펼치기 위해 올해로 9회째 ‘환황해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충남도청은 충청남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으로 충청남도 예산군과 홍성군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힘센 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모토로 제19,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민선 8기로 당선된 김태흠 도지사가 이끈다. 언론연락처: 제9회환황해포럼 운영사무국 현승환 팀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한화시스템-한국항공대, 우주·위성 분야 인재 양성 MOU 체결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20일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한국항공대(총장 허희영)와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위성 분야 현장형 인재 양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한화시스템과 한국항공대는 △위성궤도 및 자세제어 △SAR 위성 탑재체 △위성 구조설계 △위성 열 설계 부문을 중심으로 우주 사업 역량과 노하우를 체득할 현장실무 및 이론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인적·물적 인프라 교류와 연구과제 공동 수행을 추진한다. SAR(합성개구레이다·Synthetic Aperture Radar)는 영상 레이다로써,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차를 순차적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내는 레이다 시스템을 의미한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우주기술 강국 도약을 이끌 ‘한국항공대-한화시스템 상생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성에 실무 경쟁력을 융합한 미래인재 양성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한화시스템 커뮤니케이션팀 지선진 차장 02-729-590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Immerse Yourself in Luxury as Address Beach Resort in Dubai Announces its Latest Incredible Flash Sale this September
    Address Beach Resort, the epitome of luxury and relaxation in the heart of Dubai, announces its exclusive flash sale, offering traveller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vacation bliss. With extraordinary discounts of up to 35% off on room rates, free breakfast, and a remarkable 30% off spa and dining experiences, this is the gateway to creating unforgettable memories. Address Beach Resort is located in the bustling heart of Jumeirah Beach Residence (JBR) near some of the best entertainment, dining, and nightlife hotspots. A truly iconic property in Dubai, it stands tall as a landmark of the city and holds two Guinness World Records, for the ‘Highest Outdoor Infinity Pool in a Building in the World’ and the ‘Highest Occupiable Skybridge Floor in the World’. The spacious, stylishly appointed rooms offer breathtaking views of the Arabian Gulf while 8 unrivalled dining destinations will keep you occupied throughout your stay. Boasting the majestic infinity pool on the 77th floor, the rejuvenating Spa on the 75th floor and a state of the art gym, Address Beach Resort caters to every need. Guests staying for two nights or more can also enjoy either a delightful Afternoon Tea in The Lounge, located in the elegant lobby, or revel in Happy Hour at Li’ Brasil, a lively fusion restaurant with Brazilian and Lebanese vibes. This unbeatable flash sale showcases the very best of Dubai, so don’t miss out. Booking Dates: September 25th to September 27th Stay Dates: September 25th 2023 to March 31st 2024 Offer: Up to 35% off on Room Rates Inclusions: · Breakfast · 30% Discount on Spa & Dining · Stay 2 nights and above & get either: Afternoon Tea in The Lounge OR Happy Hour at Li’ Brasil *For more details or bookings, visit https://www.addresshotels.com/en/resorts/address-beach-resort/ or call +971(0)48798899 or email StayAtBeachResort@addresshotels.com Terms & Conditions: Guest can avail the Afternoon Tea or Happy Hour once per stay. Afternoon Tea is served daily from 3.00 pm to 8.00 pm in The Lounge only. Happy Hour available at Li’ Brasil daily from 5.00 pm to 9.00 pm. Other T&Cs may apply. *Source: AETOSWire (https://aetoswire.com/en/news/address20092023en)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0607734/en/ 언론연락처: Address Beach Resort Natasha Norton +97158519728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베르비아 권용은 대표, 미용예술경영연구원 초대 원장 취임
    베르비아 권용은 대표가 9월 5일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에서 출범한 미용예술경영연구원의 초대 원장으로 위촉됐다. 새로 출범한 미용예술경영연구원은 △미용산업 전반의 기획, 연구, 통계분석, 통계처리 등 연구조사 △정부 및 공공기관 예술경영 등 관련 정책 제안 및 사업수행 자문 및 진단 △전문인력 양성교육 △고용창출을 위한 구인, 구직 종합정보망 구축사업 △미용예술경영 서비스품질 인증제 운영 등 미용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며 한국 미용업의 발전에 힘을 보태기 위해 설립됐다. 초대 원장으로 취임한 권용은 원장(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부회장)은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와 미용예술경영연구원을 운영하면서 한국 미용분야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학회, 연구원, 그리고 산업체 모두가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용예술경영연구원에서는 학술지 ‘미용예술경영연구’ 발행과 질적향상프로그램(2024년 한국연구재단 재인증평가)을 운영할 계획이며, 현재 타 업종대비 상대적으로 약한 SPSS, AMOS 등 통계프로그램에 대해 미용인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 미용장 아카데미과정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베르비아 소개 베르비아는 쌤시크, 어쌤, 에리카헤어, ELICA atelier, 난生처음, YJ코스메틱, 썸컷, Hit&BEAUTY, ELICA CLUB,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뷰티공인중개사 등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언론연락처: 베르비아 김진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양천문화재단, 9월 월간뮤지크 ‘스윗소로우’ 공연 개최
    양천문화재단(이사장 천동희)이 9월 23일(토) 오후 5시 양천문화회관 대극장에서 ‘2023년 9월 월간뮤지크 : 스윗소로우’ 공연을 개최한다. 월간뮤지크는 매월 마지막 주 문화가 있는 주간을 맞이해 작품성 및 대중성을 가진 음악공연을 제공함으로써 양천구민들이 쉽게 예술을 접하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양천문화재단의 주요 사업으로, 9월은 추석 연휴로 인해 마지막 주 수요일이 아닌 전주 토요일인 23일 진행한다. 월간뮤지크는 올해 4월부터 정인X하림, 데이브레이크, 유엔젤보이스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거쳐 갔으며 9월은 3인조 남성 보컬그룹 ‘스윗소로우’의 무대로 꾸며진다. 스윗소로우는 연세대학교 합창동아리를 통해 결성된 그룹으로, 2005년 데뷔해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감미로운 음색과 다채로운 감성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대표곡으로는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 ‘사랑해’, ‘좋겠다’, ‘정주나요’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수의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다. 재단은 이번 스윗소로우 공연은 인터파크 티켓 예매 오픈 직후 전석 매진됐으며 현장 예매 또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10월 월간뮤지크에서는 인기 인디밴드 안녕바다와 엠넷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 출신인 홍대광의 무대로 꾸며질 예정이니 이 또한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 일시 : 2023. 09. 23.(토) 오후 5시 · 장소 : 양천문화회관 대극장 · 예매링크 : https://tickets.interpark.com/goods/23012010 · 연령 : 초등학생 이상 · 티켓 : 1층 2만원, 2층 1만원 · 할인 : - 양천구민/양천구 재직자 50%(동반 1인까지) - 장애인 /국가유공자 50%(동반 1인까지) ※총 소요시간 : 70분 내외 양천문화재단 소개 ‘양천 스며들다.’ 양천문화재단은 ‘행복한 문화도시, 양천구’를 목표로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종합적·전문적 지원 체계 마련, 지역 주민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문화예술 정책 집행 효율화, 내실화 등을 위해 2019년 5월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공연, 축제, 예술 교육, 18개 구립 도서관 및 구립 실버 합창단 운영 등 문화예술을 통해 양천구 곳곳에서 구민들과 호흡하고 있다. 양천구민의 일상이 문화 예술로 아름다워지는 길에 끝까지 함께하는 게 목표다. 언론연락처: 양천문화재단 진푸름 사원 02-2021-8913 문의 02-2021-8912, 890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인차이나포럼 국제콘퍼런스서 한중관계 모색
    갈수록 복잡해지는 국제정세 속에서 도시 외교, 특히 인천의 도시 외교가 빛을 발하며 한중관계 모색의 장이 열렸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변화하는 세상, 다시 그리는 한중관계’를 주제로 9월 1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온·오프라인으로 ‘2023 인차이나포럼 국제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차이나포럼은 2016년 중국 교류·비즈니스 선도 도시인 인천의 경험과 지혜를 한데 모아내고자 민·관·산·학이 함께 창립했다. 매년 포럼 사업을 집성하고, 시민들과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국제콘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그간 인차이나포럼은 글로벌 지식플랫폼이자 한·중 정책대화 채널, 그리고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비즈니스 협력의 장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콘퍼런스는 인천시와 주한중국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인천연구원, 인천상공회의소, 인천문화재단, 인천대 중국학술원, 현대중국학회,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가 공동 주관했다. 특히 인천-톈진 자매결연 30년을 맞아 열린 이번 콘퍼런스에는 주펑(朱鹏) 톈진시 부시장을 비롯한 톈진시의 고위 공무원과 기업인, 학자 등 50여 명의 외빈을 포함해 약 400여 명이 현장 참여했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올해 6월 중국 톈진에서 열린 하계 다보스포럼 참석과 ‘인천-톈진 자매결연 30주년 공동선언문’ 체결 등 도시 외교 사례를 언급하며 “중앙정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가진 지방도시가 국제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인천이 글로벌 도시외교를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상생·창조·소통의 미래지향적 한중관계를 일궈내는데 우리 시가 앞장서 한·중 지방외교의 모범사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싱하이밍(邢海明) 중국대사는 “지방 교류와 우호도시 협력은 한·중 우호 관계의 중요한 부분이며, 인천은 한중관계 발전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해왔다”며 “미래를 향해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 초심을 지켜 한중관계를 시대와 함께 발전시켜 양 국민에게 더 좋은 이익이 가도록 하고, 지역의 평화 안정과 발전·번영을 촉진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톈진시를 대표해 참석한 주펑 톈진시 부시장은 축사를 통해 결연 30년의 인천-톈진 협력을 위해 고위급·시민 교류와 더불어 항만·경제자유구역 협력을 제안했다. 아울러 올해 11월 톈진에서 열리는 세계항만도시 협력 포럼에 인천 각계 인사를 초청했다. 특별기획으로 진행된 청년대화에서는 청년들이 그리는 새로운 한중관계에 대한 다양하고 참신한 정책 아이디어가 제시됐다. 이 세션에는 하계방학 기간 진행된 청년 논문 공모전에서 수상한 7개팀 20명의 한중 대학생이 참여했는데, 논문 공모전에서 ‘높아진 반중감정에 대한 해결방안: 팝업스토어를 중심으로 한 한중 청년 교류 공간의 설계’를 주제로 대상을 받은 서울시립대 참가자는 더 나은 한중관계를 위해서는 균형 잡힌 관점과 문해력, 즉 리터러시가 절실한 때라며, 인차이나포럼을 통해 한중 청년이 상호이해할 기회를 얻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인천연구원과 톈진사회과학원이 함께 연 오후 전문가 세션에서는 유사한 도시 역사·문화와 발전 경험을 가진 인천-톈진의 협력 과제 발굴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제1세션에서는 ‘도시 역사 문화 자산을 활용한 미래 구상’, 제2세션에서는 ‘인천-톈진 혁신 신산업 현황과 협력’을 주제로 톈진사회과학원, 인천연구원, 중국학술원, 현대중국학회, 중국문제연구소 등 국내외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이와 함께 이번 국제콘퍼런스에는 시민, 기업인, 학생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도 함께 열렸다. 인천상공회의소가 주관한 한중 수출상담회에는 톈진시 기업인 20명과 인천 기업인 100명이 참가해 코로나 팬데믹으로 닫혔던 한중 교역의 물꼬를 트기 위한 비즈니스 장을 열었다. 인천문화재단은 ‘개항 도시 인천’ 사진전을 열어 참여자에게 문호도시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알렸다. 또한 현장에는 인천-톈진 결연 30년 기념 전시장이 마련돼 두 도시의 교류 협력 자취와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 및 기념품이 전시돼 시민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또한 현장에는 퀴즈 부스, 인생네컷, 포토존 등이 마련돼 참여한 시민·학생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인천광역시청 소개 인천광역시청은 28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22년 당선된 유정복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다. 언론연락처: 2023 인차이나포럼 국제콘퍼런스 운영사무국 홍보담당 정혜인 실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제15회 전통춤 류파전 ‘한영숙류 이철진 춤’ 공연
    서울시민과 전통춤 마니아 그리고 한국의 전통을 알고 싶은 외국인을 위한 특별한 공연이 펼쳐진다. 한국 전통춤을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세 가지 류파가 그것이다. 이미 문화재 1세대를 지나 2세대 또는 3세대에 이르고 있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춤 류파의 향연이 9월과 11월 나루아트센터에서 펼쳐진다. 바로 한영숙류 이철진 춤, 이매방류 정명숙 춤, 김숙자류 양길순의 춤으로 전통춤의 특징과 전승 상태를 오롯이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그 첫 번째로 ‘한영숙류 이철진 춤’이 서막을 올리며, 가을날 서울시민들에게 한국 전통춤의 깊이를 선사한다. ‘한영숙류 이철진 춤: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전판을 구사하는 남성춤꾼 이철진’ 문화예술단체 구슬주머니가 주관하는 ‘한영숙류 이철진 춤’은 한영숙류 전통춤을 고집하는 이철진이 무대를 펼친다. 이철진은 한성준-한영숙-이애주-이철진으로 이어지는 정확한 전승 계보를 갖고 있으며 한성준으로 하면 4세대, 한영숙으로 하면 3세대에 속하는 춤꾼이다. 한영숙류 승무, 살풀이, 태평무 전판을 구사할 수 있는 유일한 춤꾼인 이철진의 춤은 비애미(파토스)가 있으면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호방한 남성춤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제15회 전통춤 류파전 한영숙류 이철진 춤’에서 그는 한영숙춤의 백미이면서 한국춤을 대표하는 승무와 살풀이 전판을 구사한다. 이철진의 승무는 11번의 장단 변화와 40분에 달하며 법고이후의 당악이 춤으로 편성돼 있는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특히 염불과 타령 그리고 굿거리를 거치면서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승무는 서사적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철진만의 거칠고 투박한 힘의 승무를 감상할 수 있는 귀한 자리가 될 것이다. 또 한성준의 무용 발표회에서 처음 표기된 살풀이춤 역시 한국춤의 백미로 꼽힌다. 승무가 용맹정진하는 남성춤을 상징한다면, 살풀이는 삶의 희노애락을 겪은 한 인간의 원숙미를 보여주고 있다. 잔잔한 살풀이장단에 극도로 정제되고 단순화된 움직임은 춤꾼의 집중력과 오랜 세월 닦고 수련한 공력이 없이는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런 면에서 이철진의 살풀이는 단아하고 정갈한 맛으로 관객들에게 또 다른 깊이를 선사할 것이다. 한영숙류 태평무는 한성준이 창작한 춤으로 한국 전통춤에서 창작자를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예술춤이기도 하다. 경기도당굿장단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태평무는 그 장단의 난해함만큼이나 장단에 대한 이해와 높은 기량 없이는 구사하기 어려운 춤이기도 하다. 이번에는 한영숙춤 보존회 이사이며 이애주의 문하에서 활동한 안지현이 펼쳐보임으로써 정갈한 한영숙류 태평무의 세계를 선보이게 될 것이다. 이 밖에도 이번 공연 관전 포인트는 전체 라이브로 진행되는 한국 음악에도 있다. 장장 40분에 달하는 승무의 대풍류와 살풀이 그리고 까다롭기로 이름난 도당굿장단 전체를 담당하며, 한국 전통음악을 이끌 젊은 악사들로 구성돼 있다. 또 아쟁산조(이관웅), 대금독주(이성준)를 연주함으로써 한국 음악의 깊이를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2023년 전통춤 류파전 첫 번째 ‘한영숙류 이철진 춤’과 함께 11월 9일과 10일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에서 ‘이매방류 정명숙 춤’과 ‘김숙자류 양길순 춤’이 펼쳐짐으로써 한국을 대표하는 3대 전통춤의 원류를 한자리에서 감상하게 될 것이다. 전석 초대이며, 예약은 필수다. ◇ ‘한영숙류 이철진 춤’ 공연 개요 · 장소: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 · 일시: 2023년 9월 22일(금) 7시 30분 11월 9일(목) 7시 30분 ‘이매방류 정명숙 춤’ 11월 10일(금) 7시 30분 ‘김숙자류 양길순 춤’ · 출연: 안지현, 이철진 등 살풀이춤, 승무 - 이철진 아쟁산조 - 이관웅 태평무 - 안지현 대금독주 - 이성준 · 장단: 이성준(음악감독 및 대금), 김연수, 박종훈(장단), 이관웅(아쟁), 이정훈, 최예환(피리), 김기범(해금), 장진엽(대금), 연지은(가야금) · 주최: 한국춤예술센터 · 주관 문화예술단체 구슬주머니 · 후원: 서울특별시, J2S테크놀로지외 · 입장료 : 전석 초대 · 예매 : 인터파크 구슬주머니 소개 구슬주머니는 전통예술인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술 공연을 통한 지역 사회 공헌을 목표로 설립된 전문 예술 단체다. 무형문화재 공연 사업, 무료 예술 공연 사업, 무형문화재의 소극장 장기 공연 사업, 무형문화재와 전통 공연을 이용한 공연 창작 사업 등 여러 사업을 통해 전통문화와 전통예술을 널리 알리고 있다. 언론연락처: 구슬주머니 기획팀 곽명지 070-4135-3333 초대 및 예약 문의 02-3675-3336 070-4135-333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솔트웨어 AWS 금융 컴플라이언스 세미나 20일 개최
    솔트웨어(대표 이정근)는 20일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 코리아와 금융 고객사를 대상으로 ‘금융 컴플라이언스 세미나’를 공동 개최해 금융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서 준수해야 할 보안 아키텍처 설계·구축, 고객 도입 사례 등을 AWS 코리아 오피스에서 소개했다. 금융 클라우드는 IT 자원의 유연한 확장, 비용 절감, 발 빠른 비즈니스 서비스 개선 등 장점이 있지만 보안, 안정성, 규제 등 다양한 이슈를 안고 있어 금융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컴플라이언스를 제대로 준수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솔트웨어는 이에 세미나에서 금융 클라우드 고객을 대상으로 정부 감독 기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보안 조치 내용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지원하는 안정성 평가 시행 항목 등을 알기 쉽게 가이드했다. 금융감독원 컴플라이언스 대응 가이드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가이드 등 실무자가 챙겨야 할 컴플라이언스 수행 사항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눠서 전달했다. 회사는 금감원의 금융 컴플라이언스 대응 가이드 관련 보안 아키텍처 설계·구축, 중요도 평가, 업무 연속성·안정성 확보, CSP 안정성 평가, 물적 요건 대응 등 5단계에 걸쳐 가이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했다. 솔트웨어는또 KISA의 ISMS 인증 업무 환경에 맞게 현황 분석, 보안 점검, 아키텍처 개선, 평가 항목 대응, 업무 연속성 제안, 사후 지원 등 6단계에 걸쳐 실무자가 수행해야 할 보안 진단 항목을 짚었다. 솔트웨어는 자사가 2020년 AWS 데브옵스 컴피턴시(AWS DevOps Competency) 취득과 금융 컴피턴시 취득으로 금융 클라우드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AWS 금융 고객이 느끼는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해결해 드리는 전문 기업으로서 금융 컴플라이언스와 정보보호 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가이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솔트웨어는 10월 11일 코엑스에서 열리는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3(AWS Industry Week 2023)’에 참여해 금융·핀테크 고객을 대상으로 솔트웨어의 금융 클라우드 및 컴플라이언스 역량에 대해 다시 한번 안내를 진행할 계획이다. 솔트웨어 소개 솔트웨어는 고객과 직원에 대한 정확한 이해, 기본과 원칙에 충실한 서비스 제공, 신뢰를 바탕으로 한 비즈니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IT 전문 기업이다. 언론연락처: 솔트웨어 마케팅팀 정희철 팀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스포넥트, 후원기업 동원F&B에 대원들의 마음 담은 감사패 전달
    올해로 4기를 맞은 대한민국 해안 길 종주 프로젝트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 운영국은 2년 연속으로 대장정에서 중요한 식수를 후원해준 동원F&B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9월 18일 동원산업 회의실에서 감사패 전달식을 진행했다. 동원F&B는 2022년부터 스포넥트가 주최·주관하는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을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올해는 ‘2023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에 참가한 100명의 대원들에게 대한민국 K리그 공식 생수 브랜드 ‘동원샘물’ 5000병을 후원했다. 동원샘물은 지난해 페트병 경량화로 연간 약 1200톤의 플라스틱을 절감한 것으로 전해진다. 페트병 무게를 줄이기 위해 2년여간 연구개발을 진행한 결과 동원샘물 500㎖ 페트병의 무게를 11.8g으로 줄였다. 업계 최경량 수준이다. 동원F&B는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봉사활동에 작게나마 식수를 후원했을 뿐인데 감사패를 전달받게 돼 기쁨과 동시에 마음이 무겁다며, 안전하고 건강하게 대장정이 마무리돼 기쁘고 앞으로도 비치대장정에 지속적인 후원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은 해변길 87km를 걸어가며 바다를 구하고 해양 동물을 살리는 사회공헌 활동이다. 올해까지 누적 참가인원 340명, 누적 대장정 길이 348km, 누적 쓰레기 수거량은 무려 1만4826kg을 돌파했다. 스포넥트 고윤영 대표는 “대장정 중에 가장 중요한 식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마음이 놓였다”며 “동원F&B의 아낌없는 후원으로 부족함 없이 대장정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비치대장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023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은 스포넥트가 주최·주관하고, 동원샘물, 아이레시피, 안야, 도담스튜디오, 파도스튜디오, 울티모, 마린이노베이션, 브라더 팜, 발광스포테인먼트에서 후원했다. 멘토단에는 용인대학교 장경태 교수, 청년MC 박범수 강사, 무인도섬테마연구소 윤승철 대표, ECO CEO 김현태 대표가 함께했으며, 의료단은 대구경북 연합봉사동아리 PMA가 맡았다. 이외에 마린보이 박태환 선수와 배우 임세미·이석, 가수 츄와 달샤벳 세리, 트로트 가수 태욱·박민주·조주한, 뮤지컬배우 조풍래, KBS 아나운서 이슬기가 응원 메시지를 보내온 바 있다. 언론연락처: 스포넥트 고윤영 대표 010-9458-130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미래엔, 2023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참가
    교육 출판 전문기업 미래엔이 9월 21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3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EdTech Korea Fair 2023)’에 참가해 다양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를 선보인다. 올해 18회를 맞이한 ‘2023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는 교육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에듀테크 박람회다. ‘에듀테크, 교육혁신을 이끌다’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한국 디지털 교육의 정책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정책 홍보관’과 다양한 교육·에듀테크 기업의 서비스를 만날 수 있는 ‘에듀테크 전시관’으로 구성돼 있다. 이 밖에 강연과 수출 상담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된다. 코엑스 A홀에 마련된 미래엔 부스에서는 △초등 엠티처 학습관리 솔루션 ‘AI 클래스’ △우리 지역 맞춤 온라인 학습 ‘사회디지털지역교과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실 ‘M카이브’ △11월 정식 출시 예정인 초등 전 과목 온라인 학습 서비스 ‘초코’ 등 미래엔의 디지털 학습 서비스들을 시연하고, 상담을 진행한다. 미래엔은 현장 방문객들을 위한 ‘사전 상담 예약 이벤트’와 ‘타임 이벤트’, ‘퀴즈 및 스탬프 이벤트’ 등 다채로운 이벤트를 진행하고 아이패드 에어와 접이식 키보드, 도서, 스타벅스 상품권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미래엔 홍보대행 KPR 박지은 대리 02-3406-214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도쿄관광한국사무소, 개관 40주년 맞이하는 ‘도쿄도 정원 미술관’의 기념 이벤트 소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10월 1일에 개관 40주년을 맞는 ‘도쿄도 정원 미술관(東京都庭園美術館)’의 기념 사업 라인업을 소개했다. 정원 미술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최신 트렌드를 선도하면서 이용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해 공식 웹사이트의 대규모 리뉴얼도 실시하는 등 미술관의 새로운 매력을 소개할 수 있는 즐길 거리와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개관 40주년 기념한 캐치프레이즈 공개 및 특설 사이트 개설 도쿄도 정원 미술관의 개관 40주년을 맞이해 공개한 캐치프레이즈는 ‘나의 좋은 날에. 어서 오세요 40주년을 맞이하는 미술관에(わたしのいい日に。ようこそ40周年目の美術館へ)’로, 미술관을 찾는 모든 사람들이 ‘오늘은 좋은 날이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미다. 40주년 기념사업 또한 이러한 의미에 부합하는 이벤트로 진행될 수 있길 바라는 미술관 직원 일동의 염원이 담겨있다. 미술관의 다양한 시도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특설 사이트도 개설해 기념 이벤트 등을 순차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 40주년 기념 특설 사이트 : https://teien40th.jp/ ◇ 10월 1일 개관 기념일은 입장료 무료… 개관 40주년 기념 이벤트 라인업 ① 10월 1일 개관 기념 ‘TEIEN 40th Anniversary Festival’ 개관 40주년을 맞아 미술관의 이름에서 유래한 ‘정원(庭園, Teien)’의 새로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행사를 기획했으며, 개관 기념일인 2023년 10월 1일(일)부터 11월 19일(일)까지 사계절 내내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정원을 활용한 40주년 기념사업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과거부터 현재까지 음악과 댄스가 함께하는 축하연을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감각으로 즐길 수 있는 ‘재즈와 댄스의 축하연 마티네’가 개최되며, 미술관 내 서양 정원에는 푸드트럭을 운영해 미술관을 이미지화한 특별 메뉴를 판매하는 등의 개관 기념일의 분위기를 끌어올린다. ② 프로젝션 매핑 ‘빛이 머무는 큰 나무’ 정원 미술관의 건물로 활용되는 ‘아사카노미야 저택(朝香宮邸)’이 지어지기 이전에 심어져 미술관 터를 지키고 있는 팽나무와 팽나무에 기댄 것처럼 서있는 푸조나무는 잔디정원을 상징하는 나무다. 꽃잎이 흩날리는 것처럼 빛나는 모빌을 장식해 개관 40주년을 축하하는 ‘기념 나무’로 꾸며지며 밤에는 프로젝션 매핑 작품 영상을 투영해 큰 나무의 정령이 마치 작품을 감상하는 이에게 말을 거는 듯한 환상적인 빛의 선율이 펼쳐질 예정이다. · 개최 일시 : 2023년 10월 20일(금)~11월 19일(일) / 16시~18시 ※ 17시 30분까지 입장 가능 ※ 11월 17일(금), 18일(토)의 야간 개관일은 20시까지 운영 · 장소 : 도쿄도 정원 미술관 내 잔디 정원 · 참가비 : 정원 입장료(성인 200엔) 또는 전람회 입장 티켓 제시 시에 무료 ③ 재즈와 댄스의 축하연 소와레 : 빛의 선율 ‘빛이 머무는 큰 나무’ 아래에서 밤의 축하연이 펼쳐진다. 프로젝션 매핑을 통한 영상과 아름다운 빛이 더해져 낮에 열리는 ‘마티네’와는 또 다른 느낌의 재즈와 댄스의 축하연을 즐길 수 있으며, 빛나는 밤이기에 느낄 수 있는 정원의 새로운 매력을 발산한다. · 개최 일시 : 2023년 11월 17일(금), 11월 18일(토) / 18시부터 약 30분간 실시 ※ 해당일은 미술관의 야간 개관일로 운영 · 장소 : 도쿄도 정원 미술관 내 잔디 정원 · 참가비 : 정원 입장료(성인 200엔) 또는 전람회 입장 티켓 제시 시 무료 ※ 사전 신청 불요, 우천 시 중단 ◇ 개관 4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 전시 라인업 아사카노미야 저택(현 도쿄도 정원 미술관)의 장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근대 정원에 관한 동향에 착안, 고전주의·엑조티시즘·입체파적 요소를 도입 및 전개한 모습에 대해 회화와 조각, 공예, 판화, 사진, 문헌자료 등 약 120여점의 작품을 통해 소개한다. ‘장식의 정원 아사카노미야 저택의 아르데코와 정원예술’전을 비롯해 ‘옛 아사카노미야 저택을 해석해보는 A to Z’전이 개관 40주년을 맞는 도쿄도 정원 미술관의 기획전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장식의 정원 아사카노미야 저택의 아르데코와 정원예술’전 · 기간 : 2023년 9월 23일(토)~12월 10일(일) · 시간 : 오전 10시~오후 18시(폐관 30분 전 입장 마감) ※11월 17일(금), 18일(토), 24일(금), 25일(토), 12월 1일(금), 2일(토)은 야간 개관일로 20시까지 관람 가능 · 휴관일 : 매주 월요일(단 10월 9일은 개관), 10월 10일(화) ※입장료는 홈페이지 참조 ‘옛 아사카노미야 저택을 해석해보는 A to Z’전 · 기간 : 2024년 2월 17일(토)~5월 12일(일) · 시간 : 오전 10시~오후 18시(폐관 30분 전 입장 마감) ※ 2024년 3월 22일(금), 23일(토), 29일(금), 30일(토)은 야간 개관일로 20시까지 관람 가능 · 휴관일 : 매주 월요일(단, 4월 29일, 5월 6일은 개관), 4월 30일(화), 5월 7일(화) ※ 입장료는 홈페이지 참조 ※내용 변경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신 정보는 미술관 공식 홈페이지(https://www.teien-art-museum.ne.jp)를 통해 확인 도쿄관광한국사무소 소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전통과 혁신이 교차하며, 항상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 다양한 즐거움을 약속하는 도시, 도쿄의 새로운 관광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도쿄관광한국사무소 김정아 02-725-845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포토위젯, 8월 국가별 아이폰 홈 화면 선호 테마 공개
    글로벌 Z세대 모바일 라이프 서비스 기업 포토위젯(대표 송인선)이 8월 한 달간 미국, 태국, 일본 등 주요 국가별로 이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iOS 홈 화면 테마를 공개하며 문화권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선호 디자인 트렌드를 발표했다. 포토위젯은 매월 전 세계 문화권의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테마 디자인을 분석하고 반영해 이용자 만족도를 높였다. 그 결과 최근 전 세계 150여 개 국가에서 누적 사용자 3900만명을 돌파했다. 4000만명에 육박하는 누적 사용자 가운데 90% 이상이 해외 이용자, 80% 이상은 잘파 세대(Z세대+알파 세대)로 구성돼 포토위젯의 이용자 선호 테마를 통해 글로벌 문화 트렌드를 앞장서 주도하고 있는 잘파 세대의 디자인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포토위젯이 공개한 홈 화면 트렌드를 살펴보면 국가별 문화권의 영향으로 글로벌 잘파 세대의 취향과 선호 디자인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파스텔 분위기 및 시원한 느낌을 주는 테마가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경우 귀여운 느낌을 주는 테마 디자인이 눈에 띈 반면, 일본은 감성적인 사진 위주로 구성된 테마 디자인의 선호도가 높았다. 미국에서는 자연을 연상하게 하는 사진 위주 모던한 분위기의 테마가 인기를 끌었다. 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구성된 귀여운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두 국가의 주요 컬러는 동일하게 그린과 브라운이다. 포토위젯은 글로벌 잘파 세대의 취향이 국가별로 달라 그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가 필요하다며, 사용자 대다수가 글로벌 잘파세대인 만큼 다양한 문화권의 이용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과 제휴 IP를 확보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포토위젯 홍보대행 PRGATE 신다정 AE 02-792-263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2023 보훈테마활동 ‘숨은 고마운 분 찾기’ 기획단 인터뷰 및 캠페인 활동 성황리 마무리
    양천구립신월청소년문화센터(관장 윤명희)는 8월 8명의 후기 청소년이 참여한 국가보훈처 공모사업 ‘숨은 고마운 분 찾기(이하 숨고)’의 공익수호자 인터뷰 및 캠페인 활동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숨은 고마운 분 찾기’는 국가보훈처가 주최하고 신월청소년문화센터가 주관하는 보훈테마활동으로 청소년들의 애국심을 고양하고 공익수호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공익수호는 우리 주변에서 공공의 이익을 지키거나 타인을 위해 직업적, 봉사적으로 희생하는 행동을 일컫는다. ‘숨고 기획단’은 올 7월부터 8월까지 일상을 지키고 공익을 수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공익수호자를 만나 인터뷰·감사 캠페인·공익수호 참여 활동을 진행했으며 이들과의 대화를 통해 공익수호의 가치를 깊이 있게 탐구했다. 더불어 100명의 지역 주민을 찾아가 일상을 지켜주는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감사 캠페인을 진행했다. 유주영(21) 단원은 “실제로 공익수호자분들과 직접 이야기를 나누고 인터뷰를 하면서, 공익수호자가 우리 사회에 기여하는 바를 깨닫고 그분들의 가치관과 태도를 알고 느낄 수 있었다. 우리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이분들의 가치관과 태도를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활동 소감을 밝혔다. 신월청소년문화센터 윤명희 관장은 후기 청소년으로 구성된 숨고기획단의 열정적인 활동에 감사하며 “세상의 선물이 되어주고 있는 공익수호자분들의 선행이 청소년들의 삶에 좋은 모델이 되길 기대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숨고는 9월 사람책 콘서트(토크콘서트)를 개최해 공익수호자들의 경험과 일생을 지역의 청소년, 주민들과 함께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다. 양천구립신월청소년문화센터 소개 신월청소년문화센터는 한국천주교살레시오수녀회가 양천구청에서 위탁받아 운영하는 청소년 수련 시설로 청소년수련시설종합평가 최우수 등급의 청소년 전문 기관이다. 신월청소년문화센터(미터)는 돈보스코의 예방 교육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자기 주도적 역량을 강화하고, 청소년 친화적 행복 환경을 조성하며, 지역 연계와 봉사를 통해 청소년 각자가 세상의 선물이 됨으로써 ‘청소년들의 행복한 성장놀이터’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양천구립신월청소년문화센터 특성사업팀 박규태 담당 02-2604-7485~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 세포기반 인공혈액 실용화를 위한 첫 걸음
    2037년 수혈 가능한 인공혈액 대량 생산기술 확보를 최종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R&D) 대장정이 시작됐다. 재생의료진흥재단 소속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은 9월 15일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에서 ‘세포기반 인공혈액 실용화를 위한 첫 걸음’이란 제목으로 이번 사업단에 참여한 17개 연구팀의 주관연구책임자들이 모여 그들의 5년간 연구 계획을 발표하고, 최종 인공혈액 개발을 위한 과제 간 협업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제1회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미래 혈액 부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공혈액 실용화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5개 정부기관이 참여하는 다부처 공동사업으로 2023년부터 2027년까지 1단계 5개년 계획에 앞으로 약 4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번 1단계 사업에서 세포 기반 인공혈액의 생산기술 확보, 제조공정 플랫폼 구축, 평가법 및 기준 개발 등 연구를 지원하며, 이후 성과를 기반으로 2·3 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최종적으로 2037년에는 세포 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및 혈소판) 실용화에 들어간다는 목표를 세워 놓고 있다. 줄기세포를 이용해 인공혈액을 만드는 기술은 다른 조직이나 장기로 분화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성향을 억제해 적혈구와 혈소판으로 분화시켜야 하는 고도의 분화기술이 필요하고, 유전적 변이 없이 산소를 공급하는 적혈구와 지혈을 담당하는 혈소판 고유의 기능을 갖춰야 한다. 앞으로 연구팀은 역분화줄기세포를 만들고, 이 줄기세포를 적혈구나 혈소판으로 분화할 수 있는 전단계의 세포인 조혈모줄기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 후 계속 같은 조혈모세포를 공급할 수 있는 불멸화세포주를 만들어 최종 적혈구나 혈소판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혈액 연구는 2005년 프랑스 연구진이 조혈줄기세포를 사용해 성숙한 인간혈구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한 것으로부터 처음 시작됐다. 이후 미국은 국방 목적으로 혈액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영국은 2022년 11월 사람을 대상으로 체외 배양한 적혈구 수혈로 임상 시험에 진입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은 교토대학을 중심으로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를 만드는 연구와 줄기세포로 인공혈소판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 김현옥 단장은 “한국이 줄기세포 강국임에도 아직까지 줄기세포 기반의 인공 적혈구, 혈소판 기술 개발 연구는 기초단계에 머물러있다”며 “20여개의 소규모 개별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번 사업단의 출범으로 협업을 통해 좋은 기술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현옥 단장은 “헌혈 혈액과 비교해 인공혈액은 체외에서 일정 기간 배양하고 분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 생산비가 높기 때문에 1980년대부터 시작된 줄기세포 기반 적혈구 및 혈소판 생산 연구가 결국 많은 국가에서 중단됐다”며 “그러나 최근에는 생명공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접목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옥 단장은 “즉, 기술 사업화에 대한 지원과 함께 국내외 연구개발 협력 파트너 발굴에 대한 지원 등 혈액관리에 대한 새로운 라이선스 표준 제정과 다부처 사업처럼 국가의 대대적인 지원에 의한 원트랙(포괄) 관리 체계 마련이 이어지는 경우 우리나라가 인공혈액산업에 있어서 글로벌 선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생의료진흥재단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 소개 재생의료진흥재단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은 ‘세포 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및 혈소판) 제조 및 실증플랫폼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자 2023년 4월 출범했다. 사업단은 혈액 부족 문제에 대응해 인공혈액 제조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이 다부처로 추진하는 연구사업을 수행한다. 언론연락처: 재생의료진흥재단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 박혜진 연구원 02-6365-225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