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1-06(수)

지역뉴스
Home >  지역뉴스  >  충청

실시간뉴스

실시간 충청 기사

  • YES Delivers Multiple VertaCure LX Systems
    Yield Engineering Systems (YES), a leading provider of process equipment for AI and HPC semiconductor applications, today announced the delivery of multiple VertaCure™ LX curing systems to one of Taiwan’s top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OSAT) providers. These systems will support advanced packaging processes for Edge Computing and HPC solutions, delivering critical low-temperature curing, annealing, and degassing for WLCSP, Plated Bump, and Cu Pillar applications. The VertaCure LX is a fully automated vacuum curing and degassing system engineered to ensure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precise control of heating and cooling rates. This results in complete solvent removal, improved film properties, elimination of outgassing after cure, and outstanding particle performance. YES products have consistently demonstrated superior quality in curing, coating, and annealing across both R&D and high-volume manufacturing environments. “The VertaCure family has become the industry’s most widely adopted high-volume manufacturing (HVM) curing solution for 2.5D packaging,” said Rezwan Lateef, President of YES. “These systems deliver exceptional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across wafer-level, 2.5D, and 3D packages. Adoption by leading IDMs and foundries has already validated the platform, and we’re excited to see growing demand from OSAT customers as well. This momentum strengthens our market leadership in advanced packaging.” Alex Chow, SVP of Sales and Business Development and Asia President at YES, added, “VertaCure LX systems deliver more than 30% improvement in thermal uniformity and 30% lower cost of ownership in HVM. We anticipate follow-on and volume purchase orders from this customer in 2026. This shipment marks another milestone that solidifies YES as the market leader in curing technology for advanced packaging.” About YES YES is a leading provider of differentiated technologies for materials and interface engineering needed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markets. YES customers are market leaders, creating next generation solutions for a variety of markets including Advanced Packaging for AI and HPC, Memory Systems, and Life Sciences. YES is a leading manufacturer of state-of-the-art cost-effective high volume production equipment for semiconductor Advanced Packaging solutions for wafers and glass panel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Vacuum Cure, Coat & Anneal Tools, Fluxless Reflow tools, Thru Glass Via and Cavity Etch and Electroless Deposition tools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y. YES is headquartered in Fremont, California, with a growing global presen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YES.tech.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3001376/en/ 언론연락처: Yield Engineering Systems Alex Chow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아티클21, 시각예술 IP 기반 비즈니스 플랫폼 ‘미묘’ 공식 론칭
    아티클21(대표 오아름)이 시각예술 IP 기반 비즈니스 플랫폼 ‘미묘(https://mimio.life)’를 정식 오픈했다. ‘미묘’는 아티스트에게 스마트 아카이빙 기능을 통해 창작 활동을 손쉽게 디지털 자산화하고 홍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기업·브랜드와 협업 기회를 연결함으로써 IP를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도 돕는다. 관련 전공 또는 전시 이력이 있는 작가라면 ‘미묘’의 아티스트 회원이 될 수 있으며, 프로필과 작품 등록 시 개별 페이지가 생성돼 상시 쇼케이스가 가능하다. 온라인 작품 공유는 창작 사실을 공표하는 행위로, 무단 도용 등 피해 발생 시 원작자를 증명하는 근거가 되므로 저작권 보호의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몇 번의 클릭만으로 완성되는 포트폴리오 자동 생성 기능은 미술관·갤러리·레지던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설계된 실전형 도구로, 전시나 공모 지원 시 제출용으로도 손색이 없다. 사용자는 제출처의 요구에 따라 일부 구성이나 순서를 편집할 수도 있다. 기업이나 브랜드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작가와 작품을 탐색하고, 아트 컬래버레이션에 적합한 IP 추천이나 계약 연계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다. ‘미묘’는 단순한 매칭을 넘어 브랜디드 콘텐츠 기획, 상품 개발, 유통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한다. ART IP는 감성 자산이자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아름 아티클21 대표는 “‘미묘’는 작가들에게는 새로운 수익 기반을, 기업에는 고감도 스토리텔링 자산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라며 “예술과 산업이 서로 이해하고 연결하기 위해선 기술 기반의 허브가 필요한데, ‘미묘’가 그 중간 지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묘’는 아티스트와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조명하는 ‘아티클’과 주요 전시·이벤트 소식 등을 선별한 콘텐츠도 제공한다. 올 하반기 중 ‘작품’처럼 특별하고 ‘굿즈’보다 가치 있는 ‘프리미엄 아트 커머스’, 아티스트와 팬들의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아티클21은 2025년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초기창업패키지 지원 기업으로 선정돼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플랫폼 ‘미묘’를 기반으로 ART IP의 해외 확장 가능성도 타진 중이다. 그 일환으로 오는 11월 아랍에미레이트(UAE) 두바이국제금융센터(DIFC)에서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2인과 함께 전통공예의 미학과 기술력을 선보인다. 아티클21 소개 아티클21(대표 오아름)은 아트 IP 중개 서비스와 상품 개발/유통/브랜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북 군산시에 본사, 서울 서초구에 R&D 부서를 두고 있다. IP 비즈니스 플랫폼 ‘미묘(mimio)’를 통해 다양한 아티스트와 작품을 소개하며, 아티스트에게는 새로운 수익 기반을, 기업에는 고감도 스토리텔링 자산을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아티클21 김지현 디렉터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서타라, 머크와 임상 기술 협력 확대 발표
    모델 기반 의약품 개발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서타라(Certara, 나스닥: CERT)는 9일 머크(Merck, 미국/캐나다 외 지역에서는 MSD)와의 새로운 협력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으로 머크는 서타라 Pinnacle 21®(P21) 소프트웨어 플랫폼 활용을 확대해 메타데이터 저장소와 데이터 표준 워크플로 관리를 포함하게 된다. 이 협약은 규제기관 제출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머크와 서타라의 기존 기술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에서 검증되고 분석 가능한 데이터셋까지의 시간 단축은 의약품 개발 전반에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3상 임상시험은 현재 평균 360만 개의 데이터포인트를 다루며, 이는 지난 10년간 3배 증가한 수치다[1]. 서타라 Pinnacle 21 플랫폼 (https://www.certara.com/pinnacle-21-enterprise-software/)은 최신 디지털 임상시험의 대규모 데이터 표준화 과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윌리엄 F. 피허리(William F. Feehery) 서타라 최고경영자는 “데이터 표준 관리를 지원하고 Pinnacle 21 플랫폼의 가치를 확대하기 위해 머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이어 “머크는 최고의 연구 중심 선도적 기업이며, 전 세계 의료적 미충족 해결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고품질 연구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제공한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서타라가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Pinnacle 21 엔터프라이즈 임상 데이터 관리 및 자동화 제품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certara.com/pinnacle-21-enterprise-software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Tufts Center for the Study of Drug Development (CSDD) Impact Report November/December 2021 Certara 소개 서타라(Certara)는 바이오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술, 서비스를 활용해 전통적인 의약품 발견 및 개발을 혁신하며 의약품 개발을 가속화한다. 66개국에 걸쳐 2400개 이상의 바이오제약회사, 학술기관, 규제기관이 서타라의 고객이다. 자세한 정보는 certar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서타라(Certara) Sheila Rocchio 서타라 홍보대행 PAN Communications Alyssa Horowitz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Invivoscribe Expands Flow Cytometry Services to Accelerate CAR-T Immunotherapy Development and Regulatory Readiness with the Initiation of CERo Therapeutics Phase 1 Clinical Trial
    Invivoscribe Inc., a global leader in precision diagnostics and measurable residual disease (MRD) testing, is proud to support CERo Therapeutics Holdings, Inc., an innovative immunotherapy company seeking to advance the next generation of engineered T cell therapeutics that employ phagocytic mechanisms. Through this collaboration, LabPMM (Invivoscribe’s global reference laboratories) have customized their multiparametric flow cytometry (MFC) services and implemented their sensitive MFC AML MRD assay to support CERo’s clinical trial of its lead compound, CER-1236. The trial targets Acute Myeloid Leukemia (AML) in patients who are relapsed/refractory, in remission with MRD, or newly diagnosed with TP53-mutated MDS/AML. AML is an aggressive blood cancer characterized by the rapid accumulation of abnormal myeloid cells in the bone marrow and blood, disrupting normal hematopoiesis.[1] Treating AML is especially complex due to its genetic heterogeneity and the high risk of relapse. CAR-T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s) and Chimeric Engulfment Receptor T-cells (“CER-T”) therapies, which involve engineering a patient’s own T-cells to recognize and attack cancer cells, have shown promise in other hematologic malignancies and are now being explored for AML. However, because these therapies are manufactured from patient-derived cells, it's critical to confirm that leukemic blasts are not inadvertently included in the final therapeutic product - underscoring the need for sensitive, validated assays like those offered by Invivoscribe and its global accredited regional laboratories, LabPMM. LabPMM’s CAP/CLIA-Validated AML MRD MFC assay, which was designed to quantify residual leukemic cells in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was customized to meet two critical needs in CERo’s drug development program: (1) assessing the purity of the manufactured T-cell product by detecting residual AML blasts prior to infusion, and (2) evaluating therapeutic response to CER-1236 during the trial. Kristen Pierce, Ph.D., CERo Chief Development Officer, commented, “Invivoscribe has played an integral role in the execution of this clinical trial. Its technology and expertise have facilitated our advancement into the clinic by helping to ensure the purity of our investigational product, and now we are reaping the benefits of our collaboration as the trial is underway and we seek to assess therapeutic response.” This collaborative effort was instrumental in advancing CER-1236, which recently received FDA Orphan Drug Designation for the treatment of AML[2]. The designation highlights the growing urgency of integrated diagnostic support in the advancement of personalized immunotherapies and reflects Invivoscribe’s commitment to driving innovation and standardization across the oncology treatment landscape - now helping bring immunotherapies to patients faster. For more information about LabPMM’s flow cytometry and molecular testing services, please visit https://invivoscribe.com/clinical-lab-services/ or contact us at inquiry@invivoscribe.com and follow us on LinkedIn. About Invivoscribe Inc. Invivoscribe® is a global, vertically integrated biotechnology company dedicated to Improving Lives with Precision Diagnostics®. For thirty years, Invivoscribe has improved the quality of healthcare worldwide by providing high quality standardized reagents, tests, and bioinformatics tools to advance the field of precision medicine. Invivoscribe has a successful track record of partnerships with pharmaceutical companies interested in clinical trial testing via our global lab network located in the U.S., Germany, Japan and China, and in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companion diagnostics, with our rigorous expertise in both regulatory and laboratory services. Providing distributable kits, as well as clinical trial services through its globally located clinical lab subsidiaries (LabPMM®), Invivoscribe is an ideal partner from diagnostic development, through clinical trials, regulatory submissions, and commercialization. About CERo Therapeutics Holdings, Inc. CERo is an innovative immunotherapy company advancing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engineered T cell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Its proprietary approach to T cell engineering, which enables it to integrate certain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into a single therapeutic construct, is designed to engage the body’s full immune repertoire to achieve optimized cancer therapy. This novel cellular immunotherapy platform is expected to redirect patient-derived T cells to eliminate tumors by building in engulfment pathways that employ phagocytic mechanisms to destroy cancer cells, creating what CERo refers to as Chimeric Engulfment Receptor T cells (“CER-T”). CERo believes the differentiated activity of CER-T cells will afford them greater therapeutic application than currently approved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cell therapy, as the use of CER-T may potentially span bo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and solid tumors. CERo has commenced clinical trials for its lead product candidate CER-1236 for hematological malignancies. [1] https://www.cancer.net/cancer-types/leukemia-acute-myeloid-aml/introduction [2] https://www.cero.bio/press-release?storyId=7477275225065985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7133010/en/ 언론연락처: Invivoscribe Inc.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기아 니로 하이브리드, 독일 유력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 자이퉁’ 도심형 SUV 비교 평가서 경쟁 모델 압도
    기아의 대표 친환경 SUV ‘니로 하이브리드’가 독일 유력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 자이퉁(AUTO ZEITUNG)’이 최근 실시한 도심형 소형 SUV 비교 평가에서 폭스바겐, 푸조, 세아트, 토요타의 경쟁 모델을 제치며 우수성을 입증했다. 자동차 산업의 본고장 독일에서 발행되는 아우토 자이퉁은 유럽 소비자들에게 높은 신뢰를 받는 매체로, 이들의 평가 결과는 차량 구매 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특히 이번 비교 평가는 유럽 시장에서 인기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전장 4.1~4.4m급 도심형 소형 SUV 5개 차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아우토 자이퉁은 니로 하이브리드를 비롯해 푸조 ‘2008 하이브리드’, 폭스바겐 ‘T-크로스’, 세아트 ‘아로나’, 토요타 ‘야리스 크로스 하이브리드’ 등 5개 모델을 △차체(Body) △주행 편의(Driving Comfort) △파워트레인(Powertrain) △역동적 주행 성능(Driving Dynamics) △친환경·경제성(Environment/Cost) 등 5가지 항목으로 면밀히 평가했다. 니로 하이브리드는 다섯 가지 평가 항목 가운데 △주행 편의 △역동적 주행 성능 부문에서 1위, △차체 △파워트레인 부문에서 2위를 기록하며 총점 2926점을 획득해 공동 2위인 2008 하이브리드와 T-크로스(각 2880점)를 46점 차로 앞서 우수한 상품성을 입증했다(※ 아로나 2865점, 야리스 크로스 하이브리드 2787점). 니로 하이브리드는 시트의 안락감, 서스펜션, 공조 시스템 등을 평가하는 ‘주행 편의’ 부문에서 최고점인 688점을 기록했으며, ‘긴 휠베이스와 멀티 링크 후륜 서스펜션이 조화를 이루며, 민감하면서도 매끄러운 반응과 함께 거친 노면에서도 뛰어난 제어력을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T-크로스 676점, 2008 하이브리드 670점, 아로나 644점, 야리스 크로스 하이브리드 633점). 조향 및 제동 성능, 주행 안정성 등을 평가하는 ‘역동적 주행 성능’ 부문에서는 경쟁 모델 대비 전장이 길고 중량 면에서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평가 모델 중 유일하게 시속 100km에서 정지까지의 냉/온간 제동거리를 모두 35m 이내로 기록했으며, 코너 주행 시 민첩한 조향과 안정적인 차체 자세로 높은 평가를 받아 1위(621점)를 차지했다(※ 아로나 619점, 2008 하이브리드 594점, T-크로스 583점, 야리스 크로스 하이브리드 556점). 이 밖에도 니로 하이브리드는 평가 모델 중 최고 연비를 기록했으며, 넉넉한 실내와 적재 공간, 소재 및 마감 품질에 대한 우수한 평가를 바탕으로 ‘차체’와 ‘파워트레인’ 부문에서 각각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아우토 자이퉁은 니로 하이브리드의 연비에 대해 ‘고부하 주행 구간이 많은 측정 조건에서도 100km당 5.3리터라는 놀라운 연료 효율을 보여준다’고 호평했다(※ 니로 하이브리드 평가 모델 WLTP 기준 복합 연비 : 4.1ℓ/100km). 엘마 지펜(Elmar Siepen) 아우토 자이퉁 편집장은 “니로 하이브리드는 차량 크기가 한 차급 위 모델과 견줄 만하지만, 가격대는 여전히 도심형 SUV 범주에 머무른다”며 “특히 넉넉한 공간, 뛰어난 연비, 최고 수준의 제동 성능을 바탕으로 경쟁 모델들을 압도했다”고 극찬했다. 기아는 도심형 소형 SUV가 대세로 자리 잡은 유럽 시장에서 니로 하이브리드가 뛰어난 상품성을 인정받아 매우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글로벌 RV 명가’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니로 하이브리드는 뛰어난 효율성과 공간 활용성을 바탕으로 유럽에서 △2023 영국 올해의 차 어워즈 ‘최고의 크로스오버’ 부문 △2022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즈 ‘소형 SUV’ 부문 △2022 오토 익스프레스 신차 어워즈 ‘올해의 소형 SUV’ 부문을 수상했으며, 미국에서 △2024 카앤드라이버 에디어스 초이스 ‘서브 콤팩트 SUV’ 부문 △2023 카즈닷컴 최고의 차 어워즈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전 세계에서 수상 이력을 쌓아왔다. 언론연락처: 기아 홍보팀 02-3464-210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YES, 여러 대의 버타큐어 LX 시스템 제공
    AI 및 HPC 반도체 응용 분야를 위한 공정 장비의 선도적 공급업체인 YES(Yield Engineering Systems)는 대만의 최고 아웃소싱 반도체 조립 및 테스트(OSAT) 공급업체 중 한 곳에 여러 대의 버타큐어 LX(VertaCure™ LX) 경화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에지 컴퓨팅 및 HPC 솔루션을 위한 첨단 패키징 프로세스를 지원하여 WLCSP, 도금 범프 및 Cu 필러 응용 분야에 필수적인 저온 경화, 어닐링 및 가스 제거 기능을 제공한다. 버타큐어 LX는 균일한 온도 분포와 가열 및 냉각 속도의 정밀한 제어를 보장하도록 설계된 완전 자동화된 진공 경화 및 탈기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용매가 완전히 제거되고, 필름 특성이 개선되고, 경화 후 가스가 제거되고, 입자 성능이 탁월해진다. YES 제품은 R&D와 대량 생산 환경 모두에서 경화, 코팅 및 어닐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우수한 품질을 입증해 왔다. YES의 레즈완 라티프(Rezwan Lateef) 사장은 “ 버타큐어 제품군은 2.5D 패키징을 위한 업계에서 가장 널리 채택된 대량 생산(HVM) 경화 솔루션이 되었다”며 “이 시스템은 웨이퍼 수준, 2.5D, 3D 패키지 전반에 걸쳐 뛰어난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능을 제공한다. 플랫폼의 유효성은 선도적인 IDM과 파운드리들의 채택을 통해 이미 검증되었으며, OSAT 고객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모멘텀은 첨단 패키징 분야에서 당사의 시장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준다”고 말했다. YES의 영업 및 사업 개발 담당 부사장 겸 아시아 지역 사장 알렉스 차우(Alex Chow)는 “버타큐어 LX 시스템은 HVM에서 열 균일성을 30% 이상 개선하고 소유 비용을 30% 절감한다. 우리는 2026년에 이 고객으로부터 추가 구매 주문과 대량 구매 주문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선적은 첨단 패키징용 경화 기술 분야의 시장 선두주자로서의 YES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또 다른 이정표다”고 밝혔다. YES 소개 YES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와 시장에 필요한 소재 및 인터페이스 엔지니어링을 위한 차별화된 기술을 제공하는 선도적 기업이다. YES 고객은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로, AI 및 HPC용 첨단 패키징, 메모리 시스템, 생명 과학 등의 다양한 시장을 위한 차세대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 YES는 웨이퍼 및 유리 패널용 반도체 첨단 패키징 솔루션을 위한 비용 효율적 최첨단 대량 생산 장비의 선도적 제조업체이다. 이 회사의 제품에는 진공 경화, 코팅 및 어닐링 도구, 무플럭스 리플로우 도구, 유리 관통 비아 및 캐비티 에칭, 반도체 산업용 무전해 증착 도구가 포함된다. YES는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웹사이트: YES.tech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3001376/en 언론연락처: Yield Engineering Systems Alex Chow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IBA 우마르 크렘레프 회장, 테렌스 크로포드·타이슨 퓨리와 함께 국제복싱협회 ‘황금기’ 개막
    국제복싱협회(IBA) 우마르 크렘레프(Umar Kremlev) 회장이 복싱의 ‘황금기(Golden Era)’를 위한 계획을 발표하자 복싱계의 거물급 인사들이 이스탄불에 모였다. P4P(pound-for-pound) 스타 테렌스 크로포드(Terence Crawford)와 헤비급 아이콘 타이슨 퓨리(Tyson Fury)가 함께한 이 자리에서 크렘레프 회장은 아마추어, 프로, 베어너클(맨주먹) 복싱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의 선수를 지원하는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IBA의 비전을 설명했다. 크렘레프 회장은 “복싱의 발전을 위한 이 행사에 수많은 챔피언을 맞이하게 되어 기쁘다”며 “우리의 목표는 모든 선수가 IBA를 자신의 집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선수가 어디에 있든 IBA는 그들을 지원할 것이다. 아이들이 자신과 가족을 위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밝혔다. 그는 복싱의 뿌리를 강조하며 “우리는 아마추어, 프로, 베어너클 복싱을 아우르는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베어너클을 포함하는 이유는 복싱이 바로 거기서 시작됐기 때문이다. 이것이 복싱의 역사다. 우리는 이를 제도권으로 들여와 규제하고 선수들에게 기회를 열어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기자회견은 알버트 바티르가지예프(Albert Batyrgaziev)와 제임스 ‘재자’ 디킨스(James ‘Jazza’ Dickens) 간의 WBA/IBA 프로 타이틀전을 앞두고 DAZN을 통해 생중계됐다. IBA의 프로 부문인 IBA 프로(IBA Pro)는 전 세계 최고 선수들을 상대로 경쟁적인 경기를 주선한다. IBA 프로 디렉터 알 시에스타(Al Siesta)는 “IBA는 우리의 비전을 펼칠 수 있는 놀라운 본거지가 됐다”며 “이곳은 마치 레알 마드리드와 같다. 아마추어에서 경험을 쌓고 실력을 증명해라. 프로가 되고 싶다면 그때는 우리가 확실히 밀어준다. 우리는 다른 기구에도 열려 있다. 이는 경쟁이 아닌 협력이다. 랭킹은 오직 실력에 따라 결정된다.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면 IBA 프로는 바로 당신을 위한 무대”라고 강조했다. 아마추어 복싱의 강자로 오랫동안 알려진 IBA는 이제 선수들에게 상금을 지급하고 인재 개발을 위한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다. IBA 사무총장 겸 최고경영자인 크리스 로버츠(Chris Roberts OBE)는 “우마르 크렘레프 회장은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며 “IBA는 유소년 아마추어 선수부터 프로 선수까지 모두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플랫폼이다. 우리의 목표는 아이들이 TV 속 영웅을 보며 자신도 챔피언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도록 길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의 운영 규모는 막대하며, 훌륭한 성과를 내기 위해 존재한다. 올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IBA 남자 세계 복싱 선수권 대회가 열린다. IBA 황금기는 우리가 수년에 걸쳐 구축한 것이다. 우마르 회장은 아무것도 없던 연맹에 수백만달러를 투자해 유소년과 미래의 챔피언들을 지원해왔다”라고 덧붙였다. 4체급 세계 챔피언인 테렌스 크로포드는 사울 ‘카넬로’ 알바레즈(Saul ‘Canelo’ Alvarez)와의 경기를 앞두고 지지를 표하기 위해 참석했다. 크로포드는 “IBA가 복싱계를 위해 하는 일은 정말 대단하다. 재능 있는 많은 유망주가 경제적인 문제로 대회에 참가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데, IBA가 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현재 컨디션이 매우 좋고, 훈련도 열심히 해왔다. 오는 9월 3체급 통합 챔피언이 될 준비가 됐다”라고 말했다. 타이슨 퓨리는 IBA의 풀뿌리 활동을 칭찬하며 “나를 이곳에 불러준 우마르 크렘레프에게 큰 감사를 표한다. 아마추어에 대한 투자는 정말 놀랍다. 내가 아마추어였을 때는 돈을 받지 못했다. 이제 우마르 회장의 덕분에 이 젊은 선수들이 진정한 기회를 얻게 되었다”고 말했다. AIBA(현 IBA)를 통해 성장한 퓨리는 복귀 가능성을 시사했다. 앤서니 조슈아(Anthony Joshua)와 IBA 프로 헤비급 타이틀을 걸고 싸울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물론이다. 100%다. 쇼미더머니, 우마르! 내게 IBA 프로 벨트는 없지만 나는 젊고, 자유로우며, 현재 소속이 없는 몸이다. 누구와도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했다. 국제복싱협회 소개 국제복싱협회(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IBA)는 1946년에 설립된 복싱 종목의 국제 관리 기구이다. 복싱의 수호자로서 IBA의 전략은 선수 우선 접근 방식에 기반을 두며, 이 유서 깊은 스포츠를 전 세계적으로 홍보, 지원, 발전 및 통합한다는 명확한 사명을 가지고 있다. *뉴스 제공: AETOSWire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aetoswire.com%2Fen%2Fnews%2F0707202547745&esheet=54286265&newsitemid=54286265010&lan=en-US&anchor=AETOSWire&index=1&md5=3ff44aa24ca08280d31eff657999b7f7)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7636910/en 언론연락처: 국제복싱협회(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엘레나 소볼(Elena Sobol) 커뮤니케이션 및 홍보 책임자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서울 노원구, 폭염 피하는 이색 피서지 ‘동천재활체육센터 실내빙상장’ 운영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동천재활체육센터 실내빙상장’이 폭염 속에서 시민들에게 새로운 여름 피서로 주목받고 있다. 이곳은 실내 평균 기온이 10도로 유지돼 한여름에도 긴 옷을 입고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 알려져 있다. 동천재활체육센터는 단순한 피서지를 넘어, 무더위 속에서도 활기차고 건강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지하철 7호선 하계역과 중계역 인근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나다. 합리적인 이용 요금 또한 동천재활체육센터의 매력 중 하나다. 성인은 6000원, 청소년은 5000원에 이용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 대여료는 3000원으로 부담 없이 시원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빙상장 내부에는 간단한 간식과 음료를 판매하는 매점이 마련돼 있어, 스케이팅 후 쾌적한 휴식 공간도 제공된다. 이러한 다양한 장점 덕분에 인근 학교 학생들 및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도심 속 이색 피서지’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오는 7월 25일부터 8월 20일까지는 빙상장 운영 시간이 기존보다 한 시간 앞당겨져 오후 2시부터 개장할 예정이다. 여름 방학을 맞아 특별 강습 프로그램도 운영해 방학을 맞은 학생들에게 시원하고 즐거운 체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빙상장 이용 방법 및 방학 특강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동천재활체육센터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일형 동천재활체육센터 관장은 “올여름, 동천재활체육센터 빙상장을 통해 무더위를 건강하게 이겨내고, 시민 모두가 시원하고 즐거운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겠다”며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피서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동천재활체육센터 이성모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몽골로 향하는 ‘미지청소년글로벌봉사단’ 21일 출정
    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센터)는 ‘2025 미지청소년글로벌봉사단’이 오는 21일부터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해외 봉사활동에 본격 돌입한다고 밝혔다. 미지청소년글로벌봉사단은 만 19세부터 2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한 미지센터의 해외 교육봉사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은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 보양트오하 7번학교에서 현지 청소년 대상 수업 운영, 테를지 국립공원 탐방, 문화교류 활동 등을 펼칠 예정이다. 미지센터는 2015년부터 약 10년 동안 몽골 현지 학교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해외 자원봉사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미지센터는 이번 몽골 봉사활동에 앞서 전국에서 선발된 대학생 봉사단원 20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8일(토)부터 29일(일)까지 센터와 서울유스호스텔에서 사전 교육을 실시했다. 사전교육 첫날은 약 1시간 동안 응급상황에 대비한 안전교육이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기본 응급처치 방법과 함께 현지 숙소 및 교육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를 사전 이미지 분석을 통해 학습하며, 사고 예방 역량을 높였다. 또한 한국 참가팀은 몽골 현지 통역 봉사단과 줌(Zoom) 화상회의를 통해 상호 기대감을 공유하고, 현지 청소년과의 소통 전략 및 수업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실제 활동을 위한 실질적인 점검과 협업 체계를 다지는 계기가 마련됐다. 이번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한 대학생은 교육봉사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배우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기대된다며, 현지 청소년들과 함께 호흡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다른 대학생 봉사단원은 몽골의 자연과 교육환경을 직접 경험하며 세계시민으로서의 시야를 넓히고 싶다고 전했다. 올해 설립 25주년을 맞은 미지센터는 서울시가 설립하고, 교보생명 공익재단인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서울시 청소년 문화교류 특화시설로, 우리 청소년이 인문적 소양과 상생의 지혜를 갖춘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소개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센터)는 서울시가 설립하고 교보생명 공익재단인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서울시 청소년 문화교류 특화시설이다. 올해로 설립 25주년을 맞았으며, 우리 청소년들이 인문적 소양과 상생의 지혜를 갖춘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미지센터 기획운영팀 김율아 팀원 02-755-80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예술산업아카데미, 예술기업 재정 자립 및 경영 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경영 특강 마련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장호)가 주관하는 예술경영 특강 ‘예술경영 인사이트 2025 - 생존을 넘어, 성장으로’가 오는 7월 25일(금) 개최된다. 이번 특강은 예술산업아카데미의 기업성장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자생력 부족과 복합적인 경영 애로에 직면한 예술기업·단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을 목표로 기획됐다. 특히 공공 지원 의존도가 높은 구조에서 재정적 불안정성을 겪고 있는 예술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분석과 전략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인 경영 전략이 제시될 예정이다. 특강은 2부 구성으로, 예술경영의 다양한 관점을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1부 ‘예술가의 심장으로, 경영의 길을 걷다’에서는 김미애 화성특례시 문화예술전문관이 연사로 나서 예술가에서 예술단체 대표, 지역문화 기업가로 성장해 온 경험을 공유한다. 창작자에서 경영자로 전환하며 마주한 현실적인 도전과 극복 과정, 그리고 예술과 경영의 접점에서 얻은 실질적인 통찰을 전할 예정이다. △2부 ‘예술, 경영을 만나 미래를 열다’에서는 이창진 에어키 전략경영본부장이 연사로 참여해 예술가와 문화기획자가 놓치기 쉬운 산업과 시장의 논리를 중심으로 예술적 가치와 경영적 성과를 융합하는 전략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특히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실무 전략을 통해 재정 자립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특강 신청은 7월 21일(월) 14시까지 아트모아 누리집을 통해서 가능하며, 예술경영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예술산업아카데미 측은 이번 특강은 예술과 경영을 아우르는 실질적인 전략과 통찰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특강을 포함한 예술산업아카데미 기업성장 교육과정은 7월부터 본격 운영된다. 예술기업의 자립 기반 구축과 실무역량 강화를 목표로 기획력, 마케팅, 인공지능(AI) 활용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으며, 급변하는 예술산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이 추진될 예정이다. 예술경영지원센터 소개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예술기관·단체들의 경영 활성화 지원 시스템 구축과 국제 교류, 인력 양성, 정보 지원, 컨설팅 분야의 다양한 매개 지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06년 1월 12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재단 법인이다. 언론연락처: 예술경영지원센터 엄희주 02-708-22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한국전자출판협회, 웹소설 아카데미 작가양성 과정 6기 수강생 모집
    한국전자출판협회에서 7월 14일부터 2주간 ‘웹소설 아카데미 작가양성 과정’ 6기 수강생을 모집한다. 본 과정은 매주 토요일에 진행되는 11차수의 오프라인 강의와 과제 수행 중심의 온라인 창작 활동으로 구성돼 있으며, 다른 아카데미와는 달리 단순히 작가 데뷔에 그치지 않고 세계로 나아가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스타 작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6기 아카데미에는 웹소설 업계의 스타작가 8인이 강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문 PD들이 투입돼 수강생들의 창작 활동을 세심하게 지원한다. 또한 다가오는 AI시대에 웹소설 작가에게 꼭 필요한 생성형 AI의 활용 방법 특강까지 준비돼 있다. 한국전자출판협회는 ‘작품의 완성도 자체가 달라졌다’, ‘여타 다른 강의와 비교하는 것조차 민망하다’ 등 1~5기 수강생들의 생생한 후기는 본 강의가 다른 강의와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며, 이는 잠깐의 호평이 아닌 초기부터 변함없이 이어져 온 평가라고 강조했다. ‘웹소설 아카데미 작가양성 과정’은 100% 무료로 진행되며, 창작지원금 100만원을 모든 수료생에게 지급해 안정적인 창작 활동을 지원한다. 한국전자출판협회는 웹소설 아카데미는 매 기수 실시한 수강생 만족도 조사에서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획득했다며, 수강생들은 업계를 대표하는 스타 강사들의 생생한 노하우를 습득하고, 현직 PD들의 세심한 서포트를 받으면서 작가로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전자출판협회가 주관하고 문화관광체육부, 한국출판진흥원이 주최하는 ‘웹소설 아카데미 작가양성 과정’ 6기 모집은 7월 14일부터 7월 27일까지 온오프믹스(www.onoffmix.com)를 통해 진행되며, 본 교육은 9월 6일 시작된다. 한국전자출판협회 소개 한국전자출판협회(Korea Electronic Publishing Association, KEPA)는 전자출판산업 발전 및 회원 간의 상호협력과 정보교류를 위해 1991년에 창립된 비영리 단체다. KEPA는 전자출판산업 관련 전문가, 기업, 출판사, 학계 등 다양한 회원들로 구성됐으며, 정보기술, 출판,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언론연락처: 한국전자출판협회 나용철 팀장 031-901-113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IBA President Umar Kremlev Joins Terence Crawford and Tyson Fury to Usher in Golden Era of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Some of boxing’s biggest names gathered in Istanbul as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IBA) President Umar Kremlev unveiled plans for the sport’s “Golden Era.” Joined by pound-for-pound star Terence Crawford and heavyweight icon Tyson Fury, Kremlev outlined IBA’s vision to build an ecosystem supporting fighters at every level- amateur, professional, and bare-knuckle. “I’m thrilled to welcome so many champions to this event for the development of boxing,” said Kremlev. “Our goal is to ensure every athlete knows IBA is their home. Wherever a boxer is, IBA will support them. It’s our duty to creat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build better futures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Kremlev stressed boxing’s roots: “We’re creating an ecosystem covering amateur, professional, and bare-knuckle boxing. Why bare-knuckle? That’s where it began. It’s boxing’s history. We want to regulate it and open chances for these fighters.” The press conference took place before the WBA/IBA Pro title contest between Albert Batyrgaziev and James ‘Jazza’ Dickens, live on DAZN. IBA Pro, the association’s pro arm, matches top fighters in competitive bouts worldwide. “The IBA has become an incredible home to express our vision,” said Al Siesta, Director of IBA Pro. “It’s like Real Madrid — you come through amateurs, earn your stripes, and when you want to go pro, we’ll look after you. We’re open to other governing bodies. This is collaboration, not competition. Rankings will be based on ability. If you can fight, IBA Pro is for you.” Long known as an amateur boxing powerhouse, IBA now backs fighters with prize money and strong support to develop talent. “President Umar Kremlev has done a sterling job,” said IBA Secretary General & CEO Chris Roberts OBE. “IBA is a hybrid platform managing kids from amateurs through to pros. The goal is to give them a path so they see heroes on TV and believe they can become champions.” “Our operational scale is huge. We’re here to deliver. We have the IBA Men’s World Boxing Championships this year in the UAE. The IBA Golden Era is something we’ve built over years. Umar has invested millions into federations that had nothing, all to support kids and future champions.” Four-weight world champion Terence Crawford flew in before his fight with Saul ‘Canelo’ Alvarez to show support. “It’s great what IBA is doing for boxing. So many talented kids can’t afford to compete. IBA gives them a chance.” Crawford said, “I feel great, I’ve been working hard. I’m ready to become a three-weight undisputed champion this September.” Tyson Fury praised IBA’s grassroots work. “Big shoutout to Umar Kremlev for bringing me here. Investment into amateurs is amazing. When I was an amateur, I didn’t get paid. Now, with Umar’s support, these youngsters have a real chance.” Fury, who rose through AIBA (now IBA), teased a possible return. Asked about fighting Anthony Joshua for the IBA Pro Heavyweight title, he said: “Of course. 100%. Show me the money, Umar! I haven’t got an IBA Pro belt, but I’m young, free, single and ready to mingle!” About the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The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IBA) is the worldwide governing body of boxing, established in 1946. As the custodian of boxing, the IBA’s strategy is underpinned by an athlete-first approach, with a clear mission to promote, support, develop and unite prestigious and historic sport worldwide. *Source: AETOSWire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aetoswire.com%2Fen%2Fnews%2F0707202547745&esheet=54286265&newsitemid=20250707636910&lan=en-US&anchor=AETOSWire&index=1&md5=3ff44aa24ca08280d31eff657999b7f7)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7636910/en/ 언론연락처: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Elena Sobol Head of Communications and P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현대차·기아, 대한항공에 ‘엑스블 숄더’ 1호 전달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능률을 올리고 근골격계 부담을 낮춰주는 착용 로봇이 항공 정비 업무에 본격 도입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지난 8일(화) 인천시 중구에 위치한 대한항공 항공기 정비고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정현보 상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용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의 1호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엑스블 숄더는 반복적인 윗보기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어깨 근력을 보조한다. 근골격계 부담을 줄여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낮추고, 작업 피로도를 경감시켜 생산성을 높여준다. 가장 큰 특징은 무동력 토크 생성 구조로 설계돼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어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다는 점이다. 또 근력 보상 모듈을 적용해 보조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어깨 관절 부하와 전·측방 삼각근 활성도를 각각 최대 60%와 30% 경감할 수 있다. 이번 전달식은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11월 엑스블 숄더의 사업화 계획을 밝힌 이후 제품을 계약 고객에게 처음으로 전달하는 자리다. 1호 고객으로 선정된 대한항공은 항공우주사업본부의 군용기 및 민항기, 무인기, 도심항공교통(UAM), 우주 발사체, 스텔스 항공기 등을 조립·정비하는 현장에 엑스블 숄더를 우선 도입한다. 특히 항공 산업은 높은 기체 규모로 인해 작업자가 정비 시 윗보기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어깨 부위의 신체 부담을 줄여주는 착용 로봇의 적용 효과가 기대된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2022년부터 시제품을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생산 공장에 시범 적용하고, 300명이 넘는 현장 작업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는 “현대차그룹 임직원들의 노력과 기술력으로 개발한 엑스블 숄더가 자동차 제조 현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 적용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정현보 상무는 “엑스블 숄더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건강과 작업 만족도를 높이고, 대한항공의 항공기 조립·정비 안전과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확대 적용을 검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기아는 전달식을 시작으로 사전 계약을 진행한 현대차그룹 계열사, 국내 제조 기업 등 다양한 고객사로 엑스블 숄더를 본격 인도할 계획이다. 그뿐만 아니라 향후 건설, 조선, 농업 등의 산업군에도 판매를 확대하고, 2026년부터는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할 예정이다. 엑스블 숄더의 상세 정보 및 가격은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공식 홈페이지에서 문의해 확인 가능하며, 구매 상담 또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엑스블 숄더는 제품 공개 후 세계적으로 제품 안전성과 디자인 경쟁력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지난 2월 유럽연합의 통합 인증마크 등록 기관인 ‘DNV(Der Norske Veritas)’로부터 안전성을 증명하는 ‘ISO 13482 인증’을 받았고, 이어서 5월에는 ‘기계류 지침(Machinery Directive) 인증’을 획득했다. 이 밖에도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2025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부문 본상을 거머쥐었고, 지난해에는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 로보틱스 부문에서 우수 디자인을 수상한 바 있다. 언론연락처: 현대자동차·기아 커뮤니케이션센터 02-3464-2102∼211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앨리슨 트랜스미션, 카운티 오토매틱 30대 운영하는 부산 지역 여행 협동조합의 성장 지원
    앨리슨 트랜스미션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강남투어협동조합이 지난 2019년 현대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 5대를 처음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총 30대의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강남투어협동조합은 부산과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 어린이들의 등·하원, 직장인 출퇴근, 여행객 수송 등을 목적으로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을 활용하고 있다. 이 차량에는 앨리슨의 T 1000 xFE™ 전자동 변속기가 탑재돼 있다. 카운티는 길이 7m급 준중형 버스 시장을 대표하는 모델로, 관광, 통학, 마을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앨리슨 트랜스미션은 110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운전 편의성, 내구성, 생산성, 경제성이 좋은 전자동 변속기 제품들을 트럭과 버스 등 상용차 제조사들에 공급하고 있다. 부산 강남투어협동조합의 박숙현 대표는 “최근 운전자들 사이에서 수동 변속기보다 전자동 변속기를 선호하는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을 선택하게 됐다”며 “앨리슨 제품은 운전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해 회사와 운전자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앨리슨의 전자동 변속기는 수동이나 반자동 변속기와 다르게 클러치나 기어 조작이 필요 없어 운행 중 운전자의 피로도가 크게 줄어든다. 더불어 부산 지역의 심한 언덕길과 협소한 도로에도 차량 탑승 인원이나 지형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적의 변속을 제공해 연비 효율성이 뛰어나며 출력 손실 없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다. 박 대표는 “하루 평균 150km를 주행하는데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은 운전 피로도가 거의 없고, 고장도 거의 없어 올해에도 추가 도입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 매년 신규 등록되는 경유 카운티 차량 중 앨리슨 제품이 장착된 오토매틱 차량은 약 75% 달한다. 앨리슨 트랜스미션 코리아의 이경미 지사장은 “카운티가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차량으로 많이 활용되는 만큼 앨리슨 제품의 장점이 시장에서 매우 큰 매력으로 작용한다”며 “카운티 오토매틱 차주들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과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앨리슨 트랜스미션 홍보대행 웨버샌드윅 송충현 이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 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여 실시간 연속 측정하는 웨어러블 혈압계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웨어러블 소프트 전자소자 연구실(Wearable Soft Electronics Lab)의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반창고처럼 피부에 부착해 장기간에 걸쳐 혈압을 실시간 연속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팔에 공기주머니를 감아 압력을 가한 뒤 혈압을 측정하는 기존 커프(Cuff) 방식과 달리 작고 부드러운 전자소자만으로 혈압 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강점 덕분에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해외 첨단 공동연구센터 설립 사업의 지원으로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와 함께 수행한 이번 공동연구의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9.0, JCR 상위 4.9%)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 배경 전 세계적으로 13억 명에 달하는 고혈압 환자 중 불과 21%만 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 중인 현실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는 커프 기반 혈압 측정 방식의 경우 측정이 일회성에 그쳐 연속적 측정이 어려울 뿐 아니라 크기에 따른 불편함으로 일상생활 중 장기간의 혈압 모니터링에 부적합하다. 또한 환자가 부정확한 위치에서 측정하거나 심리적으로 긴장하면 측정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이처럼 개인의 건강 상태와 생활 습관에 따라 다이내믹하게 바뀌는 혈압의 동적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는 기존의 측정법은 심혈관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방에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환자가 소자를 피부에 부착해 편안하게 사용하면서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혈압 모니터링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연구 성과 이 문제의 해결에 나선 연구팀은 심장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심전도)와 기계적 신호(맥박)가 손목에 도달하는 시간이 혈압에 따라 달라지는 점에 착안해 연속 혈압 모니터링 기술을 고안했다. 전기적 신호는 심장이 뛰는 순간 신체를 따라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거의 즉시 손목에서 감지된다. 반면 기계적 신호는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이 밀려오는 과정에서 전달이 지연되므로 심장이 뛴 후 손목 피부가 미세하게 움직이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이 시간차는 혈압과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데, 혈압이 높으면 혈류 속도가 빨라져 두 신호의 도달 시간 차이가 짧아지고, 반대로 혈압이 낮으면 차이가 더 길어진다. 연구팀은 이 원리를 바탕으로 매 심장 박동마다 두 신호를 정밀하게 감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연속 측정하는 모델을 구현했다. 그런데 혈액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피부의 미세한 변화를 포착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연구팀은 다음 단계로 액체금속(Liquid Metal)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활용해 환자의 피부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는 전자소자를 고안했다. 상온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기가 잘 흐르는 액체금속은 마치 피부처럼 늘어나는 특성도 지녀 이 전자소자의 소재로서 적합했다. 그러나 액체금속은 표면 장력이 매우 높아 회로를 정밀하게 그리거나 고정된 형태로 만들기 매우 어려웠다. 이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연구팀은 ‘레이저 소결(Laser-sinter)’이라는 독자적 공정을 고안했다. 미세하게 분산된 액체금속 입자를 순간 레이저로 가열해 서로 융합시키는 이 방식을 활용하면 원하는 특정 위치에만 회로를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침내 연구팀은 해당 공정을 통해 별도의 화학물질 추가 없이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지니면서 쉽게 변형 가능한 연속혈압측정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전자소자는 전기적·기계적 성능이 모두 우수해 심장에서 유래한 심전도와 맥박을 모두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소자가 원래 길이의 700%까지 늘어나거나 1만 번 이상 반복해 늘어나도 성능이 유지됨을 확인했다. 더불어 실제 운동 전후에 나타나는 혈압의 급격한 상승 및 회복 과정을 연속 측정하는 데 성공하며, 기존 커프 방식보다 더 섬세한 혈압 모니터링 능력을 입증했다. 기대 효과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연속혈압측정 웨어러블 전자소자는 향후 일상 속 건강 관리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손목에 간단히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혈압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이전처럼 병원이나 정적인 장소에서만 혈압 측정이 가능했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조용한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자소자는 실질적 도움이 된다. 그리고 운동 중 혈압의 급격한 변화나 회복을 추적할 수 있어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이나 피트니스 코칭에도 활용 가능하다. 나아가 스마트워치, 패치형 의료기기, 통기성 의류형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는 핵심 기술로서의 산업적 잠재력도 지닌다. 장기적으로는 누구나 병원이 아닌 일상적 공간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관리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 의견 연구를 이끈 고승환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혈압 측정은 귀찮고, 번거롭고, 하루에 한 번 정도면 충분하다는 기존 인식을 전환시킬 것”이라며 “특히 비침습적 방식으로 신체의 생리 신호를 일상에서 실시간 감지하고 해석할 수 있는 헬스케어 인터페이스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기술은 중환자 모니터링,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생활 건강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한 잠재력을 지녔으므로 앞으로 현대인이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사용하는 실질적 도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진 진로 이번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박정재 연구원과 홍상우 연구원은 본 연구를 바탕으로 생체신호 기반 스마트 센서 기술을 한층 더 고도화하는 후속 연구에 정진하고 있다. 두 연구원은 향후 다양한 소재의 기판, 무선통신 기능,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해당 기술에 통합해 실사용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언론연락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웨어러블 소프트 전자소자 연구실 박정재 연구원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NHN KCP, 글로벌 결제 기업 월드페이와 ‘가맹점 레퍼럴 계약’ 체결
    종합결제기업 NHN KCP는 글로벌 선도 결제 기술 기업 월드페이(Worldpay)와 ‘가맹점 레퍼럴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가맹점의 해외 진출을 본격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가맹점 레퍼럴 계약’은 국내 가맹점이 해외에서 현지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결제대행사가 글로벌 결제사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제휴 방식을 말한다. 이번 계약으로 NHN KCP의 가맹점은 해외 진출 시 월드페이와 직계약을 체결하고, 현지에서 결제 연동부터 운영까지 전 과정을 지원받게 된다. 특히 원화, 미 달러화 등 원하는 통화로 정산받을 수 있어, 환전과 정산에 따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NHN KCP 가맹점은 월드페이가 제공하는 △거래 데이터 분석 리포트 △차지백(Chargeback) 분석 리포트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가맹점이 해외 시장에 진출할 경우 월드페이의 현지 결제 데이터를 활용해 더욱 전략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월드페이는 전 세계 174개국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결제 기술 기업으로, 비자(Visa), 마스터(Master), 아멕스(AMEX), JCB 등 글로벌 카드사와 구글페이, 애플페이,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의 결제 및 정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135개 통화로 실시간 환율을 적용해 정산을 지원하고, 가맹점별로 결제 연동부터 실제 론칭까지 맞춤형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노재욱 NHN KCP PG사업부 전무이사는 “글로벌 결제 시장을 선도하는 월드페이와의 협력은 향후 국내 가맹점들의 해외 신시장 진출에 든든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NHN KCP의 싱가포르 법인인 NHN KCP PTE LTD(Global)와 함께 국내·외 가맹점의 글로벌 성장에 기여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NHN KCP는 전자지급결제대행(PG)과 부가가치통신망(VAN) 사업을 비롯해 간편결제, 정산, 보안 등 전 방위적인 전자상거래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전자결제서비스 시장 1위 기업으로서 지난해에는 업계 최초로 연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또한 지역화폐 사업 활성화 정책에 발맞추어 결제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자산 관련 제도 정비에 맞추어 관련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무역 대금 결제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지급결제 기술력을 기반으로 향후 종합 가맹점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방침이다. NHN KCP 소개 NHN KCP는 결제 시장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으며, PG 거래 점유율 1위, 온라인 VAN 서비스 점유율 1위라는 성과를 기반으로 결제 대행(PG), 온/오프라인 카드 VAN, 휴대폰 결제 서비스 등 온/오프라인 통합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1998년 전자결제서비스로 인터넷 상거래 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이래 전자금융산업의 발전과 함께 결제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언론연락처: NHN KCP IR팀 노하나 과장 070-7595-115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인비보스크라이브, CAR-T 면역치료 개발 및 규제 준비 가속화 위해 유세포 분석 서비스 확대… CERo 테라퓨틱스 임상 1상 시험 개시
    정밀 진단 및 측정 가능 잔류 질환(MRD) 검사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인비보스크라이브(Invivoscribe Inc.)가 식세포 메커니즘을 활용한 차세대 공학 T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혁신적 면역 치료 기업인 CERo 테라퓨틱스 홀딩스(CERo Therapeutics Holdings, Inc.)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에 따라 인비보스크라이브의 글로벌 표준 연구소(Global Reference Laboratory)인 LabPMM은 다변수 유세포 분석(Multi-parametric Flow Cytometry, MFC) 서비스를 맞춤 제공하고, 자사의 민감도 높은 MFC AML MRD 분석법을 적용해 CERo의 핵심 후보물질인 CER-1236의 임상시험을 지원한다. 이번 임상시험은 재발성/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 측정 가능 잔류 질환(MRD)을 동반한 관해 상태의 환자, 또는 TP53 변이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AML으로 신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AML은 골수와 혈액에 비정상적인 골수 세포가 빠르게 축적되어 정상적인 조혈을 방해하는 공격적인 혈액암이다.[1] AML 치료는 유전적 이질성과 높은 재발 위험으로 인해 특히 복잡하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및 키메라 포식 수용체 T세포(CER-T) 치료법은 환자 자신의 T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조작하는 방식으로, 다른 혈액암에서 성공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현재 AML 분야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치료제는 환자 유래 세포로 제조되므로 최종 치료 제품에 백혈병 아세포(leukemic blasts)가 혼입되지 않았는지 검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는 인비보스크라이브와 그 산하의 글로벌 공인 연구소 LabPMM이 제공하는 것과 같이 민감도가 높고 검증된 분석법의 필요성을 부각한다. LabPMM의 CAP/CLIA-검증 AML MRD MFC 분석법은 치료 중인 환자의 잔류 백혈병 세포를 정량화하도록 설계됐으며, 이번 협력에서는 다음 두 가지 핵심 목표를 충족하도록 맞춤 적용됐다. 즉, (1) T세포 치료제 주입 전 잔류 AML 아세포를 검출해 제품의 순도를 평가하고, (2) 임상시험 중 CER-1236에 대한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CERo 최고개발책임자인 크리스틴 피어스 박사(Kristen Pierce, Ph.D.)는 “인비보스크라이브는 이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며 “인비보스크라이브의 기술과 전문성 덕분에 임상시험용 제품의 순도를 보장하며 임상 단계에 순조롭게 진입할 수 있었고,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지금,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이 협력의 이점을 누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협력은 최근 AML 치료제로 FDA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은 CER-1236의 개발을 진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이번 지정은 개인 맞춤형 면역 요법의 발전에 있어 통합 진단 지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종양학 치료 환경 전반에 걸쳐 혁신과 표준화를 주도하여 환자에게 면역 치료제를 더 신속히 제공하려는 인비보스크라이브의 노력을 반영한다. LabPMM의 유세포 분석 및 분자 검사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https://invivoscribe.com/clinical-lab-services/) 또는 이메일(inquiry@invivoscribe.com)로 문의하거나 링크드인을 팔로우하면 된다. 인비보스크라이브 소개 인비보스크라이브(Invivoscribe®)는 프리시전 다이아그노스틱스(Precision Diagnostics®)로 삶을 개선하는 데 전념하는 글로벌 수직 통합 생명공학 기업이다. 30년간 인비보스크라이브는 정밀 의학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고품질의 표준화된 시약, 검사 및 생물정보학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왔다. 인비보스크라이브는 미국, 독일, 일본, 중국에 위치한 글로벌 실험실 네트워크를 통해 임상시험 테스트에 관심이 있는 제약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회사의 규제 및 실험실 서비스에 대한 엄격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동반 진단을 개발 및 상용화하는 데 있어 성공적인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인비보스크라이브는 전 세계에 위치한 임상 실험실 자회사(LabPMM®)를 통해 배포 가능한 키트와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하며, 진단 개발부터 임상시험, 규제 기관 제출 및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함께 할 수 있는 이상적인 파트너이다. CERo 테라퓨틱스 홀딩스 소개 CERo는 암 치료를 위한 차세대 엔지니어링 T세포 치료제 개발을 추진하는 혁신적인 면역치료 기업이다. 회사의 T세포 공학에 대한 독점적인 접근 방식은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에서 원하는 특정한 특성을 단일 치료 구조에 통합하도록 지원하며, 신체의 전체 면역 레퍼토리를 활용하여 최적화된 암 치료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새로운 세포 면역치료 플랫폼은 환자 유래 T세포의 방향을 전환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식세포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포식 경로(engulfment pathway)를 구축해 종양을 제거하고, CERo에서 ‘키메라 포식 수용체 T세포(Chimeric Engulfment Receptor T cell, CER-T)’라고 명명한 세포를 생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CERo는 CER-T세포의 차별화된 활성으로 인해 현재 승인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세포 치료법보다 더 광범위한 치료적 적용이 가능할 수 있어, CER-T는 잠재적으로 혈액암과 고형 종양 모두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ERo는 혈액암에 대한 주요 제품 후보인 CER-1236에 대한 임상시험을 시작했다. [1] https://www.cancer.net/cancer-types/leukemia-acute-myeloid-aml/introduction [2] https://www.cero.bio/press-release?storyId=7477275225065985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Invivoscribe Technologies, Inc. +1 858 224 66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클라우다이크, 공공기관용 스마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혁신제품’ 지정
    클라우다이크는 자사의 공공기관용 스마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정부로부터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고 9일 밝혔다. 혁신제품 지정 제도는 혁신성과 기술력을 갖춘 신기술·신제품을 정부가 심사·지정해 공공기관의 우선구매를 촉진하고, 공공 부문의 혁신적 기술 도입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운영된다. 이번 지정은 클라우다이크의 기술력과 공공 업무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 역량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결과다. 공공기관용 클라우다이크는 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워크 환경 구축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클라우드 기반 문서·콘텐츠 관리 서비스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MS Office, PDF, HWP 등 주요 문서를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열람·저장·공유할 수 있으며, 파일 암호화 저장, 접근 권한 관리, 보안 로그 추적 등 공공기관의 보안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했다. CSAP 인증을 획득한 이 솔루션은 외근, 재택, 출장 등 다양한 근무 환경에서도 시공간 제약 없는 안전한 협업을 지원한다. 클라우다이크는 이번 혁신제품 지정을 계기로 공공기관의 스마트워크 환경 조성과 클라우드 기반 업무 혁신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기술 고도화와 보안성 강화를 지속 추진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지정에 따라 클라우다이크 제품은 조달청 혁신장터 및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을 통해 보다 손쉽게 도입이 가능해졌다. 아울러 수의계약, 우선구매, 시범구매 등 혁신조달제도 혜택도 활용할 수 있어 공공 부문의 클라우드 기반 협업 환경 및 보안 인프라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클라우다이크 소개 클라우다이크(Cloudike)는 클라우드 기술 전문 스타트업이다. 클라우다이크는 개인용/기업용 클라우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빠른 속도와 쉬운 파일 공유가 특징이다. 또한 통신사업자 및 일반 기업들의 사내 서버에 설치가 용이하다. 각 기업의 상황에 맞는 확장 및 맞춤 서비스를 공급하며, 기업의 브랜드와 스타일 정책에 따라 서비스 변경이 가능하다. 중소기업을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SaaS) 형태로 자체적으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에 20여명의 현지 개발자들로 이뤄진 연구·개발(R&D)센터를 구축하고 기업용/개인용 클라우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클라우다이크 이선웅 대표 1811-988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 동아제약 ‘구강 세균 4종 살균효과 99.9%’ 치아 교정기 세정제 ‘클리덴트 세정폼’ 출시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치아 교정기 세정제인 클리덴트 세정폼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치아 교정기에는 다양한 음식물과 외부 유해균이 남아 있을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치아 교정기 전용 세척제를 사용하지 않고 주방세제와 치약으로 세척할 경우, 계면활성제와 연마제로 인해 치아 교정기를 손상시킬 수 있어 전문 세척제 사용을 권장한다. 클리덴트 세정폼은 특허받은 천연 유래 성분을 함유해 △얼룩 플라그 제거 △미백 △살균/항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살균력 테스트에서 제품 사용 5분 후 구강 세균 4종(△진지발리스균 △뮤탄스균 △칸디다균 △인터미디어균) 살균 효과 99.9%를 확인했으며 파라벤, 셀페이드계 계면 활성제 등 17종을 무첨가해 안정성을 더했다. 폼형태로 다양한 형태의 교정기에 사용 가능하며 50mL와 150mL로 구성해 휴대 편의성을 높였다. 사용 방법은 교정기에 3~5회 펌핑해 세정 폼을 골고루 도포 후 5분 경과 후에 물로 헹궈주면 된다. 클리덴트 세정폼은 동아제약 생활 공식 네이버 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이후 쿠팡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동아제약은 치아 교정 인구가 점차 증가하며 치아 교정기 세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클리덴트 세정폼을 출시하게 됐다며 구강 유해균 99.9% 살균효과와 천연 유래 성분을 함유한 클리덴트 세정폼으로 올바르게 치아 교정기를 세척하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동아제약 커뮤니케이션실 박민순 선임 02-920-83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충청
    2025-07-1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