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7-27(목)

지역뉴스
Home >  지역뉴스  >  영남

실시간뉴스
  • 현대엘리베이터, 2023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
    현대엘리베이터가 22일 코엑스(서울 삼성동)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제49회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에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제도는 품질경영을 통해 품질향상,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및 서비스 품질 개선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고 경영 성과를 거둔 기업을 발굴해 지속적인 품질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올해까지 총 15회 선정됐으며, 2015년에는 명예의 전당에 오른 바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전략관리시스템, 기업문화, 품질시스템 등 총 12개 분야 160개 항목에 대한 심사에서 △Vision 2030(글로벌 Top, 매출 5조, 해외사업 비중 50%) 달성을 위한 5대 전략의 체계적인 수립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한 품질경영활동 탁월 △각 품질 부문 전략 연계성 우수 △물류, 제품개발 및 기술력, 신뢰성 부분 관리 수준 매우 우수 △품질경쟁력을 위한 각 항목별 분명한 목적성 △체계적인 프로세스에 기반한 우수한 실행력을 높이 평가받았다. 조재천 대표이사는 “창립 초기부터 승강기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품질경영에 힘써왔다”며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로 국내는 물론 세계의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엘리베이터는 6월 탑승객 안전 확보, 고장 감소, 로봇 연동 등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첨단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를 선보인 바 있다. 또한 11월 8~10일 개최된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에서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의 허브가 될 H-PORT 시스템을 선보여 주목받은 바 있다. 언론연락처: 현대엘리베이터 커뮤니케이션팀 조찬호 부장 02-3670-067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실시간 영남 기사

  • 에이수스,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 구매 고객에 ‘PC 게임 패스’ 3개월권 증정 이벤트
    글로벌 컴퓨팅 전문 기업 에이수스(ASUS)의 한국 지사인 에이수스 코리아(지사장 강인석, 이하 에이수스)는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PC 게임 패스(PC Game Pass)’ 3개월 무료 이용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와 함께하는 이번 이벤트는 2023년 11월 28일 오후 11시부터 2024년 1월 22일까지 에이수스의 지포스 RTX™ 4060 이상급 그래픽카드를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행사 제품은 ROG STRIX 지포스 RTX™ 4090, 4080, 4070 Ti, 4070, 4060 Ti, 4060 시리즈 및 TUF GAMING 지포스 RTX™ 4090, 4080, 4070 Ti, 4070, 4060 Ti 시리즈, DUAL 지포스 RTX™ 4070, 4060 Ti, 4060 시리즈, ProArt 지포스 RTX™ 4080, 4070 Ti, 4060 Ti, 4060 시리즈다. 참여 방법은 행사 제품을 구매 후 신청자 정보, 구매 영수증, 시리얼 번호를 구글 폼으로 인증하면 된다. 참여 후 받게 되는 게임 코드로 엔비디아 지포스 익스피리언스에서 PC 게임 패스를 등록할 수 있다. 게임 코드는 신규 엑스박스 게임 패스 회원만 사용할 수 있으며, 1인 1개가 신청일 기준 선착순으로 한정 수량 지급된다. 게임 코드 소진 시 조기 마감되며, 게임 코드 인증 마감은 2024년 2월 22일까지다. PC 게임 패스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구독형 게임 서비스 중 하나로 페이데이 3(Payday 3), 포르자 모터스포츠(Forza Motorsport), 마인크래프트(Minecraft) 등 다양한 인기 게임과 즉시 플레이할 수 있는 신작 타이틀을 포함해 수백 가지 고품질 PC 게임을 PC에서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다. 초고효율의 새로운 엔비디아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3세대 RTX인 지포스 RTX™ 40 시리즈 GPU는 속도를 뛰어넘어 게이머와 제작자에게 성능, 신경 렌더링 및 더 많은 주요 플랫폼 기능에서 비약적 도약을 제공한다. GPU 기술의 이런 발전은 몰입감 있는 게임 경험, 놀라운 인공지능(AI) 기능 및 빠른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가능하다. ROG Strix 및 TUF 게이밍(Gaming) 그래픽카드는 강력한 처리 능력과 혁신적인 스택을 결합해 작업과 여가를 위한 더 높은 성능, 더 낮은 온도 및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에이수스는 PC 게임 패스와 자사의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의 강력한 성능으로 고품질의 PC 게임을 직접 체험할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제품과 관련한 사후 지원 및 가격 문의는 에이수스 코리아 그래픽카드 국내 공식 유통사인 인텍앤컴퍼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OG 소개 Republic Of Gamers(ROG)는 세계 최고의 게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전념하는 에이수스(ASUS)의 하위 브랜드다. 2006년에 만들어진 ROG는 성능 및 품질로 알려진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노트북, 데스크톱, 모니터, 오디오 장비, 라우터 및 주변기기 등 혁신적인 제품군을 제공한다. ROG는 주요 국제 게임 행사에 참여하고 후원하고 있다. ROG는 수백개의 오버클럭킹 기록을 세우는 데 사용돼 왔으며, 이는 세계적인 게이머와 마니아들의 선택 이유가 되고 있다. 챔피언들의 선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ROG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에이수스 소개 에이수스(ASUS)는 미국 포천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가운데 하나로 오늘날 IT 환경에 적합한 혁신적인 제품과 미래의 스마트 라이프를 지향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에이수스는 PC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모니터,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 토털 IT 솔루션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며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 그리고 사물 인터넷(IoT)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2023년 창립 33주년을 맞은 에이수스는 세계적으로 1만6000여명의 임직원과 5000여명의 월드클래스 연구 개발(R&D) 인력이 함께 혁신적이고 완벽한 품질의 제품을 만들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4511개의 미디어 어워드와 130억달러의 매출을 일궈냈다. 언론연락처: 에이수스 홍보대행 에픽나인 이재학 팀장 02-6951-119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임팩트피플스, 4060 신중년이 주로 이용하는 포털사이트 1위 ‘네이버’
    시니어 소셜벤처 임팩트피플스(대표 신철호)가 4060 신중년의 포털 검색 사이트 이용 트렌드 조사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임팩트피플스는 에이풀(Aful)을 통해 2023년 9월 7일부터 9월 20일까지 40세 이상 남녀 320명을 대상으로 포털 검색 사이트 이용행태 및 트렌드 조사를 실시했다. 4060 신중년들은 관심있는 주제나 궁금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디서 얻고 있을까(복수응답). 조사 결과, ‘포털 및 검색엔진’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고 있다는 이들이 전체 82.8%로 가장 많았다. 4060 신중년 10명 중 8명이 ‘포털 및 검색 엔진’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때, 2위는 유튜브 등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39.4%)’, 3위는 ‘SNS(24.7%)’로 조사됐다. 곧바로 4060 신중년에게 평소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포털검색사이트는 무엇인지 물었다. 그 결과 ‘네이버’가 전체 응답의 77.2%로 4060이 즐겨찾는 포털 검색 사이트 1위에 올랐다. 뒤이어 ‘구글’이 전체 응답의 10.8%를 차지하며 2위에 올랐고 단 1%의 차로 ‘Daum(9.8%)’이 3위에 그쳤다. 이어 동일 응답자들에게 주로 이용하는 포털 검색 사이트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 물었을 때(복수응답), ‘사용이 익숙’해서 주로 이용한다는 답변이 72.8%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이용 중인 포털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양이 많다’는 답변이 42.4%로 높게 나타났고, ‘원하는 검색 결과를 정확히 보여준다(32%)’는 응답이 3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 ‘연관 검색어 기능이 잘 되어 있다(23.1%)’, ‘홈 화면이 해당 사이트로 연결된다(15.5%)’, ‘검색 결과 외에 다른 콘텐츠가 많다(11.7%)’ 등 다양한 응답들이 열거됐다. 다음으로 동일 응답자들에게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 경험이 있는 키워드에 대해 물었다(복수응답). 그 결과 ‘음식/요리/맛집’ 키워드를 검색해 본 적 있다는 응답이 51.9%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지도/길찾기’가 48.7%로 높게 나타났고, ‘정치/경제/사회/국제’ 키워드도 45.6%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서 신중년에게 정보 검색 외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들은 무엇인지 물었다(복수응답). 그 결과 ‘메일’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이들이 64.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뉴스(52.5%)’, ‘카페/블로그(50%)’ 서비스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 밖에도 해당 문항에서는 ‘쇼핑(47.2%)’, ‘지도(43.4%)’, ‘사전/번역(26.9%)’, ‘클라우드 드라이브(10.4%)’ 등 다양한 서비스들에 높은 응답률이 조사됐다. 아울러 4060에게 포털 검색 사이트 내 ‘광고’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너무 상업적이다’는 의견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신뢰성이 떨어진다(19%)’, ‘오히려 필요한 정보를 찾기 힘들다(15.8%)’, ‘광고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는다(15.5%)’ 등 여러 의견들이 언급됐다. 임팩트피플스의 에이풀 서비스는 해외 최초 4060세대 전문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으로 4060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신중년 타깃 기업을 위한 트렌드 진단 및 예측 자료 공유, 시니어 제품 리뷰 정보 제공, 시니어 온라인 일거리 개발 등 시니어 산업 발전을 돕고 있다. 에이풀(Aful)은 높은 구매력으로 여유로운 장밋빛 인생 2막을 시작한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를 의미하는 신조어 A세대에서 따왔다. 임팩트피플스 소개 임팩트피플스(대표 신철호)는 초고령사회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시니어 온라인 플랫폼 운영, 시니어 일자리 얼라이언스를 통해 중장년층을 위한 일자리를 연결하고, 나아가 혁신적인 시니어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설립했다. 언론연락처: 임팩트피플스 UX리서치팀 조이령 매니저 02-2191-37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유데미, 2024 기업 교육 트렌드 보고서 발표… 직업의 미래, 생성형 AI, 스킬 기반 경제로의 전환 등 동향 제시
    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온라인 학습·교육 플랫폼 ‘유데미(Udemy)’가 2024년과 미래 업무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주제 및 가장 필요한 역량을 탐구한 ‘2024 기업 교육 트렌드 보고서(2024 Global Learning & Skills Trends Report)’를 발표했다. 유데미 트렌드 보고서는 약 1만5000개 비즈니스 고객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보고서는 스킬 기반 경제로의 전환,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 리더십 개발에 대한 집중 등 조직이 인력의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투자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을 제시한다. 많은 조직은 혁신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심화하는 역량 격차를 해결할 방법을 고심하고 있으며, 이런 격차로 2030년까지 약 8500만명의 인재 부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유데미는 기업이 이런 격차를 해소하고, 더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연간 사업 계획을 세울 때 투자해야 할 세 가지 주요 영역을 제안한다. 스킬 기반 접근 방식 특정 직무에 필요한 역량은 매년 10%씩 증가하고 있으며, 불과 3년 전만 해도 직무 수행에 필수적이던 많은 역량이 곧 무의미해질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의 리더들은 학위와 업무 경험에만 의존하기보다 역량 개발과 검증에 더 중점을 두는 실용적인 스킬 기반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런 변화로 기업들은 학습 및 개발에 상당한 투자를 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지난 12개월 동안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학습자 1000만명, 강의 수강 신청자 1억3400만명 이상을 기록한 유데미의 사례로 증명된다. 생성형 AI 발전에 적응 전문가들은 생성형 AI가 2030년까지 현재 업무 시간의 최대 30%를 자동화해 세계 경제에 약 15조달러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또 기업이 생성형 AI 기술과 이를 통해 창출되는 효율성을 수용함에 따라 많은 직업이 대체되고, 2025년까지 9700만개의 일자리가 재편될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조직은 기존 인재들을 생성형 AI로 양성하고, 이 새로운 기술을 일상 업무 흐름에 재배치하고자 한다. 이런 니즈는 지난 한 해 동안 유데미 플랫폼에서 AI 관련 교육이 60% 증가하고, 챗GPT(ChatGPT) 강의 등록이 2023년 1분기에만 4419% 이상 급증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력한 리더 육성 오늘날의 노동 인구는 하이브리드 근무의 영속성 증가부터 생성형 AI의 부상, 심화한 역량 격차 등 끊임없는 변화를 겪으면서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으며, 직원의 절반 이상이 번아웃에 빠졌다. 2022년 한 해 동안 업무에 제대로 몰입하지 못하는 근로자들에 대한 비용이 8조8000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조직의 디지털 혁신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기 위해 일선의 관리자급을 위한 리더십 개발에 투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022년 한 해 동안 유데미의 커뮤니케이션, 경영의 기본, 감성 지능 및 디지털 혁신 등 리더십 개발 주제에 대한 투자가 증가했다. 특히 관리자 및 리더십 사이에서 코칭에 대한 주제는 지난해 대비 177% 급증했다. 가장 빠르게 성장한 역량 올해 보고서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역량도 확인할 수 있다. 챗GPT처럼 지난해 존재감이 미미했던 기술부터 광고 전략처럼 오랫동안 지속된 기술까지, 모두 지난 한 해 동안 급격한 소비 증가율을 보였다. 모든 역량은 2024년에 가장 인기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역량과 더불어 비즈니스와 기술 중점 분야에 걸쳐 있다. 빠른 변화 속도로 그 어느 때 신속한 빠른 업스킬링과 재교육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이 습득해야 하는 급성장한 상위 10가지 역량은 △오픈형 AI의 챗GPT(4419%)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3128%) △구글 프로페셔널 클라우드 데브옵스(DevOps) 엔지니어 자격증(1454%) △행동 경제학(1326%) △광고 전략(1118%) △자격증 및 소프트웨어 시험 준비(1044%)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시냅스 분석(799%) △오토데스크 3ds 맥스(780%) △데브섹옵스(DevSecOps)(730%) △소프트웨어 디자(624%)이다. 오늘날 글로벌 임원 10명 가운데 9명은 업무, 인재, 경력 관리 등을 정의하기 위해 스킬 기반 접근 방식을 구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다수 리더는 복잡한 역량 환경을 탐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런 변화 촉진을 위한 자원 역시 부족하다. 기업이 스킬 기반 미래로 전환하는 것을 돕기 위해 유데미는 올해 초 ‘통합 역량 프레임워크’를 선보였으며, 이 프레임워크는 조직이 스킬 기반 학습 접근 방식의 기본 구성 요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로드맵을 제공한다. 또 유데미의 새로운 배지 및 자격증 서비스를 통해 조직은 현재의 기술 역량 환경을 빠르고 쉽게 평가하고, 중요한 격차를 파악하며, 직원들에게 역량을 키우고 검증 및 공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유데미의 최고 학습 책임자인 멀리사 다임러(Melissa Daimler)는 “조직이 생성형 AI를 비롯해 빠르게 진화하는 혁신의 가능성을 수용함에 따라 업무 수행 방식과 업무 본질의 괴리로부터 직원의 역할에 극심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며 “리더십의 변화는 필수적이다. 이런 혼란을 극복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회복 탄력성과 같은 역량을 개발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 전문을 비롯해 조직이 집중하고 있는 마케팅, 판매, 영업, 인적 자원,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 안보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기술 역량은 유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유데미 홍보대행 웨버샌드윅코리아 컨수머팀 우경아 과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생생현장 정책자문단 의견 수렴… 내년 정책에 반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사장 윤효식)이 ‘생생현장 정책자문단’ 운영을 통해 전국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청소년들의 자립지원 정책 관련 건의 사항을 수렴, 내년 정책에 반영한다고 29일 밝혔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올해 전국 7개 청소년복지시설을 직접 찾아 입소청소년의 의견을 수렴하고, 여성가족부에 의견을 제안해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추진했다.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청소년쉼터 4곳, 청소년자립지원관 2곳, 청소년회복지원시설 1곳의 입소청소년들은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할 정책자문단으로 활동하면서 자립지원 정책과 관련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들려줬다. 입소청소년들은 청소년복지시설에서 생활하면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자립(취업)’을 꼽았으며 ‘자립지원과 관련한 정책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또 청소년 쉼터 청소년이 받는 자립서비스를 자립지원관 퇴소 청소년까지로 확대하고, 기간도 3년보다 더 길어졌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올해 3년째 운영되고 있는 생생현장 정책자문단을 통해 취합한 의견을 바탕으로 정책 반영을 검토했으며, 내년에도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청소년의 자립지원과 관련된 주요 정책들을 개선하기로 했다. 먼저 현재 청소년쉼터 퇴소청소년에게 최장 3년까지 지급되던 자립지원수당 지원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고, 지원 대상을 청소년쉼터 퇴소청소년에서 청소년자립지원관 이용·퇴소청소년까지로 확대해 지원할 계획이다. 또 LH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대상자를 청소년쉼터 퇴소(예정)청소년에서 전체 청소년복지시설 퇴소(예정)청소년으로 확대했으며, 관계 부처 및 민간과 협력해 직업훈련과 취업촉진, 맞춤형 일자리 제공을 더 확대할 예정이다. 윤효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이사장은 “생생현장 정책자문단을 통해 가정 밖 청소년이 직접 정책 제안에 참여함으로써 수요자가 실제로 필요한 정책을 세심하게 반영할 수 있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가정 밖 청소년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자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2023 청소년복지시설 생생현장 정책자문단 운영 개요 · 목적: 청소년복지시설 서비스 품질 개선 및 정책 수립을 위해 시설 현장을 직접 방문해 가정 밖 청소년 의견 수렴 · 기간: 2023년 4~9월 · 장소: 청소년복지시설 7곳(청소년쉼터 4곳, 청소년자립지원관 2곳, 청소년회복지원시설 1곳) · 대상: 청소년복지시설 입소 청소년 및 종사자 · 주요 내용: 청소년복지시설 입소 청소년의 자립지원수당 등 정책 제도 개선 의견 수렴, 청소년복지시설 입소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위기 지원 대책 필요 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소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여성가족부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전국 시·도 및 시·군·구에 있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를 지도·지원하는 상담복지 서비스 중추기관이다.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 형성과 조화로운 성장을 위한 상담복지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및 정책의 개발과 보급, 전문 상담 인력 양성, 위기청소년 지원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천영우 홍보담당 051-662-305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BC-네이버페이, 전 세계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네이버페이 머니카드’ 출시
    해외여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가 네이버페이(대표이사 박상진)와 함께 해외 이용에 특화된 혜택을 제공하는 ‘네이버페이 머니카드’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네이버페이 머니카드는 네이버페이가 BC카드와 협력해 처음으로 출시하는 자체 머니 및 포인트 기반 카드다. 별도 연회비와 전월실적 조건 없이 △해외 가맹점 3% △네이버쇼핑(스마트스토어 및 브랜드스토어) 최대 1.5% △국내 전 가맹점 0.3% 네이버페이포인트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만 14세 이상 네이버페이 회원이면 발급 가능하다. 해외겸용 카드로서 전 세계 VISA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물카드에 VISA Tap to pay 서비스가 적용돼 단말기에 대기만 해도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고객은 선불교통 기능을 바탕으로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결제금액보다 포인트·머니가 부족할 경우 연동된 계좌에서 자동 충전돼 결제된다. 카드 출시에 맞춰 내년 2월 28일까지 3개월간 해외이용수수료(건당 $0.5+결제금액 1.1%)를 네이버페이포인트로 환급해 주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항공권·호텔 할인 등 다양한 여행 혜택을 제공하는 ‘N트래블클럽’의 스마트 등급 혜택도 카드 발급 후 3개월간 제공된다. 네이버페이는 자체 카드 출시로 BC카드의 모든 가맹점과 VISA의 전 세계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만큼 네이버페이 포인트·머니에 범용성을 확보하게 됐다. 네이버페이 머니카드 출시에는 BC카드의 지급결제 프로세싱 인프라가 뒷받침됐다. BC카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카드 발급 인프라(1300여평 규모 설비, 연 3000만장 이상 발급 가능)를 보유하고 있다. 자체 공정 및 재고관리시스템을 통해 고객사 맞춤형 카드 플레이트 제작부터 고객 발송까지 실물카드 발급과 관리에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브랜드 네트워크와 제휴 업무 노하우를 토대로 고객사를 대신해 해외겸용 카드 발급에 필요한 업무도 대신 수행하고 있다. 고객사는 BC카드와의 협력을 통해 오프라인 사용처를 해외로도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고객사가 BC카드의 개방형 API를 통해 업종과 규모에 관계없이 카드 결제 서비스에 필요한 인프라를 비용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실제 지머니트랜스, 한패스, 핀샷 등 국내 주요 해외송금 전문 핀테크 스타트업들도 BC카드와 손잡고 실물카드를 선보이고 있다. 한편 BC카드는 네이버페이 포인트·머니 기반 오프라인 간편결제 서비스를 적극 확장하는 데 있어 네이버페이와 함께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왔다. 양사는 2020년 11월 네이버페이 현장결제 활성화를 위해 QR결제 인프라를 제휴한 바 있다. 이어 9월에는 BC카드의 EMV 규격 QR결제 인프라와 글로벌 브랜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 내 유니온페이(UnionPay) QR결제 가맹점에서 네이버페이 머니·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외 현장결제 서비스를 개시했다. 또한 삼성페이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마그네틱보안전송) 방식의 비접촉 결제도 개시해 현장결제 사용처를 국내 모든 BC카드 오프라인 가맹점으로 확대했다. 네이버페이는 QR결제와 MST에 이어 실물카드를 아우르는 결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미리 충전하거나 결제 후 적립 받은 리워드를 다시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순환 구조를 완성하게 됐다. 이로써 네이버페이 생태계에 대한 고객 락인(Lock-in) 효과도 한 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호정 BC카드 상무는 “네이버페이 머니카드 출시를 통해 네이버페이 고객은 보다 친숙하고 편리하게 네이버페이 포인트와 머니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급결제 프로세싱 전문 기업으로서 국내 간편결제 생태계 성장에 핵심 파트너사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BC카드 신금융연구소 장락유 대리 02-520-45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삼성전자 2024년 정기 임원 인사
    삼성전자는 29일 부사장, 상무, 펠로우(Fellow), 마스터(Master)에 대한 2024년 정기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 삼성전자는 부사장 51명, 상무 77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4명 등 총 143명을 승진시켰다. ※ 2022년 12월: 총 187명(부사장 59, 상무 107, 펠로우 2, 마스터 19) 삼성전자는 글로벌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미래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또한 지속 성장을 위한 리더십 기반을 확대하고 미래성장동력 강화를 위해 S/W와 신기술 분야 인재를 다수 승진시켰으며, 젊은 리더와 기술인재 발탁을 통한 세대교체도 가속화했다. ◇ 경영 성과와 성장 잠재력을 갖춘 리더들을 부사장으로 승진시켜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기반 강화 - 대내외적으로 불확실한 경영 환경 下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향후 지속해서 성장시켜 나갈 리더들을 다수 발탁 · DX 부문 VD사업부 Micro LED팀장 손태용 부사장(51세) 손태용 부사장은 풍부한 DTV 개발 경험을 토대로 사업부 주력 제품의 상품화에 공헌하고 Micro LED TV, 8K, QLED 등 프리미엄 제품 개발을 성공적으로 리딩했다. · DX 부문 MX사업부 스마트폰개발2팀장 김성은 부사장(53세) 김성은 부사장은 갤럭시 S시리즈 및 폴더블 등 삼성전자의 주력 제품 H/W 개발을 주도하고, 신규 기술 발굴에 기여하며 모바일 비즈니스 성장을 견인했다. · DX 부문 DA사업부 Air Solution개발그룹장 임성택 부사장(53세) 임성택 부사장은 기계/전기/전자 융복합 기술을 보유한 부품 개발 전문가로서,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등의 친환경/프리미엄 라인업 제품 개발에 공헌했다. · DS 부문 메모리사업부 Flash설계2팀장 강동구 부사장(47세) 강동구 부사장은 Flash 제품 설계 전문가로서, 세계 최고 용량/신뢰성의 8세대 V낸드 개발 및 사업화를 주도했고 9세대 V낸드 개발을 위한 회로 요소기술 확보에 기여했다. · DS 부문 S.LSI사업부 제품기술팀장 김일룡 부사장(49세) 김일룡 부사장은 Logic 공정기술 전문가로, 설계-공정 최적화를 통한 선단 공정 안정성 확보 및 수율 개선 등으로 S.LSI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S/W 혁신을 주도해온 S/W 전문가와 차기 신기술 분야 우수인력을 다수 승진시켜 미래 핵심 성장동력 확보 · DX 부문 CTO Samsung Research AI Methods팀장 이주형 부사장(51세) 이주형 부사장은 AI 알고리즘 설계 전문가로서, 자체 생성형 언어/코드 모델 개발을 리딩하고 선행연구와 전략 방향 수립을 주도하며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DX부문 MX사업부 Display그룹장 양병덕 부사장(52세) 양병덕 부사장은 갤럭시 스마트폰의 펀치홀, UDC, 야외 시인성 개선 기술을 구현했으며 폴더블에 S-Pen 솔루션을 적용하는 등 갤럭시 Fold 시리즈 대세화에 기여했다. · DS 부문 CTO 반도체연구소 차세대공정개발실장 현상진 부사장(51세) 현상진 부사장은 차세대 반도체 공정개발 전문가로, Logic 제품 미세공정 확보를 주도해 세계 최초 GAA를 적용한 3나노 제품 양산화 성공에 기여했다. · DS 부문 S.LSI사업부 CP S/W개발팀 김병승 상무(47세) 김병승 상무는 Modem S/W 전문가로 ModAP, Thin Modem S/W 적기 개발 및 위성통신 솔루션 확보 등을 통해 Modem 사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했다. ◇ 성과를 창출해왔으며 성장 잠재력을 갖춘 30대 상무·40대 부사장 발탁… 젊은 임원 다수 배출 · DX 부문 생산기술연구소 스마트팩토리팀장 박태상 부사장(48세) 박태상 부사장은 폴더블 等 전략제품에 적용된 부품 개발 및 기술 고도화에 기여했으며, 제조/물류/로봇 자동화 및 지능화를 이끌며 사업 성과에 공헌했다. · DX 부문 MX사업부 스마트폰개발1그룹 손왕익 상무(39세) 손왕익 상무는 H/W 개발 전문가로서, 갤럭시 S 시리즈의 선행 개발을 리딩하면서 혁신 기술 및 특허 기술을 다수 확보하며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DS 부문 메모리사업부 DRAM PA1팀 박세근 부사장(49세) 박세근 부사장은 DRAM 제품 공정 Integration 전문가로, 미세공정 양산성 확보를 주도해 세계 최초 12나노급 DRAM 양산 및 현존 최대 용량 DDR5 개발에 기여했다. · DS부문 CTO 반도체연구소 Flash공정개발팀 황희돈 부사장(49세) 황희돈 부사장은 DRAM/Flash Module 공정개발 전문가로, 기술 한계 극복을 위한 新공정개발 및 불량 개선 등을 통해 9세대 V낸드 완성도 제고에 기여했다. ◇ 다양성을 갖춘 혁신적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글로벌 기업으로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성 및 외국인 승진 발탁 기조 유지 · DX 부문 MX사업부 Framework개발팀장 정혜순 부사장(48세) 정혜순 부사장은 갤럭시 스마트폰의 최적 S/W 솔루션을 기획/개발하며 제품 완성도를 높여왔으며, 사용자 환경 맞춤 기능인 Good Lock 등을 개발하며 제품 차별화에 기여했다. · DX 부문 글로벌마케팅실 D2C센터 Operation그룹장 송문경 상무(46세) 송문경 상무는 리테일 전략 기획 전문가로서, 글로벌 매장에서 제품전시 및 고객 경험 완성도를 고도화해 브랜드 가치 제고와 리테일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DX 부문 VD사업부 차세대UX그룹장 이영아 상무(40세) 이영아 상무는 UX 전문가로서 AI에 기반한 미래 스크린 UX 구체화, Micro LED TV용 대형 홈엔터테인먼트 UX 개발 등을 통해 프리미엄 제품군 차별화에 공헌했다. · SAIT Synthesis TU Lead 전신애 부사장(50세) 전신애 부사장은 나노소재 합성 및 표면제어 전문가로, 친환경 Quantum Dot 소재 개발을 주도했고 QD Display 특성 개선 및 차세대 소재 합성 기술 확보에 기여했다. · DX 부문 CTO Samsung Research 6G연구팀장 Charlie Zhang(찰리장) 상무(50세) Charlie Zhang(찰리장) 상무는 세계 최초로 5G 초고주파 데이터 전송을 성공시켰으며, 지능형 안테나 기술 콘셉트를 개발해 사업화를 견인하는 등 차세대 통신 기술을 확보했다. · DS 부문 SSIR 연구소장 Balajee Sowrirajan(발라지 소우리라잔) 부사장(54세) Balajee Sowrirajan(발라지 소우리라잔) 부사장은 Digital 회로설계 및 System S/W 전문가로 SSD, SOC 등 주요 솔루션 제품의 해외 연구개발 적기 지원을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삼성전자는 2024년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경영진 인사를 마무리했으며, 조만간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 전자(DX), 승진자 명단 · 부사장 승진 강동훈ㅣ강태우ㅣ김성은ㅣ김평진ㅣ김형로 박태상ㅣ배일환ㅣ백종수ㅣ서보철ㅣ손태용 심재현ㅣ양병덕ㅣ여태정ㅣ육근성ㅣ윤영조 윤주한ㅣ이승엽ㅣ이주형ㅣ이형우ㅣ임성택 정진국ㅣ정혜순ㅣ조성훈ㅣ차경환ㅣ최동준 최순ㅣ홍경선ㅣ황인철 · 상무 승진 고현목ㅣ곽원근ㅣ김경택ㅣ김범준ㅣ김상현 김수연ㅣ김재관ㅣ김종현ㅣ김종현ㅣ김한조 나원만ㅣ명승일ㅣ문준기ㅣ박상영ㅣ박영민 박은중ㅣ박형신ㅣ박환홍ㅣ배윤수ㅣ백혜성 서현석ㅣ손왕익ㅣ송문경ㅣ신병무ㅣ안영모 윤기영ㅣ윤성현ㅣ이광재ㅣ이규철ㅣ이명재 이선웅ㅣ이승환ㅣ이영아ㅣ이재호ㅣ이태호 이현수ㅣ임윤모ㅣ장경모ㅣ전형민ㅣ정석희 정세환ㅣ정진희ㅣ정홍욱ㅣ조근수ㅣ천홍문 최명진ㅣ최민기ㅣ최상선ㅣ최연호ㅣ최원서 최종민ㅣ한석근ㅣ허정철ㅣCharlie Zhang   · Master 선임 김세현ㅣ양칠렬ㅣ이해준ㅣ천정남ㅣ홍태화 ◇ 전자(DS), 승진자 명단 · 부사장 승진 강동구ㅣ강석채ㅣ김동욱ㅣ김성한ㅣ김일룡 김중정ㅣ박상권ㅣ박세근ㅣ서원주ㅣ성덕용 오재균ㅣ윤하룡ㅣ이승재ㅣ이정삼ㅣ이종호 이한관ㅣ전신애ㅣ조학주ㅣ편정우ㅣ현상진 황완구ㅣ황희돈ㅣBalajee Sowrirajan · 상무 승진 권기록ㅣ권기성ㅣ김병승ㅣ김석영ㅣ김인철 김태영ㅣ김형옥ㅣ김희열ㅣ남덕우ㅣ문석진 문태호ㅣ박상욱ㅣ선종우ㅣ우준명ㅣ우현수 윤상용ㅣ이명준ㅣ이병현ㅣ정성훈ㅣ정춘화 조근휘ㅣ최종근ㅣ최효석 · Fellow 선임 Shigenobu Maeda · Master 선임 김락환ㅣ김태곤ㅣ박창민ㅣ성유창ㅣ심지혜 이찬민ㅣ이천안ㅣ정재훈ㅣ지대현 언론연락처: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노승우 02-2255-73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마인퍼퓸랩, 국내 첫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이탈리아 프리미엄 니치향수 브랜드 ‘마인퍼퓸랩(Mine Perfume Lab)’이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했다. 마인퍼퓸랩 플래그십 스토어는 마인퍼퓸랩의 향수 32종을 시향해 볼 수 있는 국내 첫 오프라인 스토어로, 아시아 최초로 문을 열어 그 의미가 크다. 이탈리아 나폴리 지역의 채석장을 모티프로 공간을 디자인한 마인퍼퓸랩 플래그십 스토어는 공간을 채우는 은은한 라이트와 감각적인 오브제가 마인퍼퓸랩만의 감성을 극대화해 보여준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긴 테이블에 마인퍼퓸랩의 향수를 시향할 수 있는 메인 공간이 조성돼 있으며, 블랙 타일과 그레이시한 블록들로 모던함과 인더스트리얼 분위기를 연출했다. 미니멀한 간판과 붉은 벽돌의 외벽은 나폴리의 한적한 골목길을 떠올리게 해 잠시 여행을 떠나온 듯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이곳에서는 론칭되자마자 품절돼 예약 주문을 받았던 ‘올라’를 비롯한 전 라인의 향수 시향은 물론, 내년 봄 출시 예정인 바디워시와 향수 신제품 4종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마인퍼퓸랩의 아시아 총판을 담당하는 어필즈의 박연국 대표는 “마인퍼퓸랩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단순히 판매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가가길 원한다”고 말했다. 한편 마인퍼퓸랩은 연말을 맞아 소중한 사람들을 위한 한정 선물 세트를 구성해 선보일 예정이며, 2024년 상반기에는 마인퍼퓸랩의 향수를 일상에서 보다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레이어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내달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인퍼퓸랩 소개 마인퍼퓸랩은 어필즈가 독점으로 전개하는 이탈리아 하이엔드 니치향수 브랜드다. 이탈리아 현지에서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제작되며, 밀라노의 테일러 숍 장인이 만든 공병의 마개, 베니스의 유리공예 장인이 만든 공병, 그리고 나폴리 향수 장인이 만든 향으로 제작된다. 제품의 구성에는 각 분야 장인의 숨결이 담겨 있다. 언론연락처: 마인퍼퓸랩 홍보팀 우수정 팀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한화시스템, 정부용 우주 인터넷 개발 착수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원장 변용관) 주관 398억원 규모의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 통신체계’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본 사업은 상용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육·해·공군의 기존 전술망과 연동하는 것으로, 미래 군의 다영역 동시 통합 작전 수행(Multi Domain Operation, MDO)을 위한 초연결·다계층 네트워크의 초석을 다질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2021년 3억달러 당시 환율 한화 3450억원 투자를 단행한 유텔셋 원웹의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활용해 한국군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하며,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의 통신체계를 군에 최초로 공급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2026년까지 군에 적합한 저궤도 통신망 구축과 보안성을 높인 차량·함정용 이동형 ESA 위성 단말기 개발 등을 맡아 실행한다. ※ ESA(Electronically Steerable Antenna,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 평판형 안테나로 가볍고 얇게 설계할 수 있어 기계식 안테나에 비해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음. 수천 개의 위성과 지상 기지국 네트워크를 연결해 해상·육상·상공에서 고속 통신이 가능함. 이번 사업을 통해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의 군 통신체계가 구축되면 우리 군은 지상망의 지형적 제약을 극복하고, 기동 간 대용량 정보를 신속하고 끊김없이 주고받을 수 있어 군 작전 능력을 급격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속시범사업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변용관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원장은 “본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 통신체계 신속시범사업의 성공을 통해 군 통신전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민·관·군 그리고 국제협력까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 사업대표는 “우주산업은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로 빠르게 전환 중이며, 우주 국방력과 우주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민군협력은 필수적”이라며 “한화시스템은 군 지상 통신망을 개발·공급해온 기술력과 이번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위성망-지상망의 초연결·다계층 네트워크가 구현될 미래형 전술통신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한화시스템 커뮤니케이션팀 김수진 과장 02-729-214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30
  • 세방 ‘글로벌스탠더드 경영대상’ 2개 부문 대상 수상
    세방(대표이사 최종일)은 한국경영인증원(KMR)이 주최하는 제22회 글로벌스탠더드경영대상에서 ‘지속가능성보고서상’ 부문의 ‘4년 지속대상’, ‘그린경영대상’ 부문의 ‘3년 지속대상’을 수상했다. 세방은 물류 창고 지붕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구축, 친환경 항만하역 장비 도입 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과 사업장이 있는 지역 사회 내 생태계 보호 활동, 대기 및 해양 오염 방지 시설 설치 등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그린경영대상에서 3년 지속대상을 받았다. 특히 세방은 태양광 발전소 운영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주요 ESG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다. 세방은 2018년 부산신항물류센터에 자체 태양광 브랜드 ‘SOLVIC’ 발전소 준공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 8곳의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회사는 2022년 기준 2만5477MWH(메가와트시)의 전력을 공급해 총 1만1704tCO₂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했다. 이 밖에도 세방은 태양광 발전을 통한 소규모 전력 중개사업 참여, 신재생 에너지 정부 지원사업 참여, 태양광 발전 에너지 자가 사용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지속가능성보고서 부문에서는 △공정 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Compliance Program) 도입 △전사 안전보건경영시스템 KOSHA-MS 인증 전환 △협력사 안전관리 평가 등의 활발한 안전보건활동 전개와 지역아동센터를 쾌적하고 안전한 학습 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희망스위치 ON’ 사업 등 적극적인 지속가능 경영 활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4년 연속으로 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세방 최종일 대표는 “한 해 동안 추진한 사업의 성과를 인정받아 기쁘다”며 “장기적 관점에서 앞으로 더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속가능 경영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세방 소개 세방은 수출입 컨테이너와 벌크 화물, 중량물의 하역, 운송, 보관, 3PL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 종합 물류기업이다. 전국 13개 항만에 거점을 두고 전통적인 물류 사업인 항만하역, 보관, 운송, 중량물 프로젝트 사업에서 라스트 마일 운송, 온라인 물류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세방은 세방그룹의 모기업으로서 세계 최고의 축전지 제조업체인 세방전지를 비롯한 세방산업 등 제조업 자회사와 세방익스프레스, 성진실업, 에스비앤엘,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 세방광양국제물류 등 38개 계열회사를 보유해 방대한 물류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언론연락처: 세방 홍보대행 서울IR PR팀 김민지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세계유산 여행교실’ 온라인 문화다양성 수업 진행
    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이하 미지센터)는 2021년부터 외국인 강사가 직접 자국 문화를 소개하는 온라인 다문화 교육 콘텐츠 ‘세계유산 여행교실’ 프로그램을 제작,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유산 여행교실은 코로나19 시기 학교 내 다문화 교육 강사의 방문이 어려워지면서 발생하는 문화 다양성 교육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간·장소 제약 없이 진행할 수 있는 교육 영상 및 체험 활동 키트로 마련됐다. 해당 교육은 청소년들이 직접 해외에 가지 않더라도 다른 국가의 역사·문화·사회를 이해하며 문화적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자료로, 대면 교육이 정상화된 지금까지도 학교 교육 현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미지센터 유튜브 계정에 게재된 교육 영상은 이론편, 러시아편, 리투아니아편, 인도네시아편, 일본편, 중국편, 튀르키예편 등 총 7편이며 영상별 재생 시간은 10분 안팎이다. 영상 전반부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주제인 국가별 전통 음식, 축제 그리고 세계유산을 소개를 하며 후반부에는 해당 국가의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체험 활동으로 꾸려졌다. 국가별 체험 활동으로는 △러시아 전통인형 쿠클라 모탈카 인형 만들기 △리투아니아 전통축제 우즈가베네스 축제 가면 만들기 △인도네시아 전통문양 바틱 파우치 만들기 △일본 마쯔리 우산 만들기 △중국 달토끼 장군 투얼예 인형 만들기 △튀르키예 무형문화유산 카라괴즈 인형 만들기 등이 진행됐다. 영상에 나오는 활동 준비물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됐으며, 미지센터는 매년 하반기 서울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활동 키트를 제작해 선착순으로 배포하고 있다. 올해는 서울시 초등학교 31개교 총 5011명 학생에게 5개국(리투아니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튀르키예) 국가별 활동 키트를 제공했다. 해당 수업을 진행한 담임 교사들은 후기 설문 조사에서 ‘영상을 보면서 쉽게 따라 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체험 위주의 교육이 아이들에게 굉장히 좋았다’, ‘통합 교과목과 연계해 수업하기 좋았다. 체험 파트 때 아이들이 공작 활동을 할 수 있어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는 등 호평을 남겼다. 튀르키예 수업에 참가했던 학생은 그동안 튀르키예에 대해서는 케밥만 알고 있었는데 수업 영상과 선생님 설명으로 새로운 내용들을 알게 됐다며, 또 수업 때 전통 과자 로쿰(터키쉬 딜라이트)을 먹어보고 카라괴즈(튀크키예 무형문화유산 그림자인형극) 인형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서 재미있었다는 소감을 밝혔다.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소개 올해로 설립 23주년을 맞은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센터)는 서울시가 설립하고 교보생명 공익재단인 대산문화재단이 위탁·운영하는 청소년 특화시설로 청소년들이 다문화, 세계화 시대에 인문적 소양과 상생의 지혜를 갖춘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다양성과 국제이해 교육, 그리고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미지센터 기획운영팀 김율아 팀원 02-755-80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생명보험재단, 플레이라이프 12월 클럽 참여자 모집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장우, 이하 생명보험재단)이 PLAYLIFE(playlife.kr, 이하 플레이라이프)의 12월 워크숍 프로그램 ‘위로의 미장센’, ‘상처 받지 않는 대화법’과 챌린지 프로그램 ‘스마트폰을 멈추는 하루 1시간’의 참여자를 동시 모집한다. 생명보험재단은 마음 치유 플랫폼 플레이라이프를 통해 워크숍, 챌린지와 같은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청년들의 정신건강 회복과 자아성장을 돕고 있다. 12월에는 워크숍과 챌린지 총 세 가지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동시 모집하며, 프로그램 모두 1회의 온라인 모임 후 3주간 스스로 셀프 미션을 수행하고 인증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위로의 미장센 : 내 삶을 영화로 써본다면’ 워크숍은 지난 삶을 들여다보며 ‘나를 위로하는 기억’에 주목하고, 시나리오 기법을 통해 그 기억을 장면화하는 방법을 배우는 프로그램이다.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내가 마주 보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를 위로하고, 나의 기억을 영화의 한 장면으로 구성해 보며 회복의 순간을 경험할 수 있다. ‘위로의 미장센’ 워크숍은 기록 콘텐츠 전문 기업인 ‘미닝오브’의 안내로 진행된다. ‘상처 주고 상처 받지 않는 대화법’ 워크숍은 누구나 솔직하게 말하고 공감하며 들을 수 있는 ‘비폭력대화’ 대화법을 익혀보는 프로그램이다. 관찰, 느낌, 욕구, 부탁의 4단계 말하기를 통해 더 나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효과적인 소통의 기술을 배워본다. ‘상처 받지 않는 대화법’ 워크숍은 비폭력대화 국제 인증 트레이너이자 상담심리학 박사인 이연미 튜터와 함께한다. ‘스마트폰을 멈추는 하루 1시간’ 챌린지에서는 매일 1시간씩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하는 강제성 있는 훈련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의 고리와 무기력한 습관에서 벗어나 건강한 일상 루틴 만들기에 도전한다. 3주간 제공되는 툴킷을 활용해 매일 스마트폰 사용을 줄인 시간을 체크하며 통제력을 회복하고, 나만의 계획을 세우며 의식적이고 주도적인 삶을 꾸려갈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라이프의 모든 워크숍과 챌린지 프로그램은 무료로 진행된다. 12월 워크숍 참여 신청은 11월 26일까지, 챌린지 참여 신청은 12월 3일까지 플레이라이프 웹사이트 내 클럽 페이지(www.playlife.kr)에서 가능하다. 생명보험재단 이장우 이사장은 “생명보험재단은 플레이라이프를 통해 다양한 주제의 워크숍과 챌린지 프로그램을 동시 운영하며 보다 많은 청년들이 마음 치유와 마음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며 “12월 플레이라이프 클럽 프로그램으로 청년들이 한 해를 더욱 의미 있게 마무리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생명보험재단은 2007년에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등 19개의 생명보험회사들이 협력해 설립된 공익법인이다. 생명보험이 지향하는 생명존중 정신을 바탕으로, 선도적인 복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건강한 사회 변화를 주도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문화를 전파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홍보대행 KPR 최희경 02-3406-214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현대엘리베이터, 2023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
    현대엘리베이터가 22일 코엑스(서울 삼성동)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제49회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에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제도는 품질경영을 통해 품질향상,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및 서비스 품질 개선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고 경영 성과를 거둔 기업을 발굴해 지속적인 품질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올해까지 총 15회 선정됐으며, 2015년에는 명예의 전당에 오른 바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전략관리시스템, 기업문화, 품질시스템 등 총 12개 분야 160개 항목에 대한 심사에서 △Vision 2030(글로벌 Top, 매출 5조, 해외사업 비중 50%) 달성을 위한 5대 전략의 체계적인 수립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한 품질경영활동 탁월 △각 품질 부문 전략 연계성 우수 △물류, 제품개발 및 기술력, 신뢰성 부분 관리 수준 매우 우수 △품질경쟁력을 위한 각 항목별 분명한 목적성 △체계적인 프로세스에 기반한 우수한 실행력을 높이 평가받았다. 조재천 대표이사는 “창립 초기부터 승강기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품질경영에 힘써왔다”며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로 국내는 물론 세계의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엘리베이터는 6월 탑승객 안전 확보, 고장 감소, 로봇 연동 등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첨단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를 선보인 바 있다. 또한 11월 8~10일 개최된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에서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의 허브가 될 H-PORT 시스템을 선보여 주목받은 바 있다. 언론연락처: 현대엘리베이터 커뮤니케이션팀 조찬호 부장 02-3670-067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5 메종 마르지엘라 에디션 공개
    삼성전자가 파리 오트쿠튀르(Haute couture) 하우스 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giela)와 협업한 ‘갤럭시 Z 플립5 메종 마르지엘라 에디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와 메종 마르지엘라의 두 번째 협업을 통해 탄생한 이번 에디션은 갤럭시 폴더블 스마트폰의 혁신 기술에 메종 마르지엘라 특유의 디자인 미학과 장인 정신이 결합된 제품이다. 갤럭시 Z 플립5 메종 마르지엘라 에디션은 엑스레이를 통해 상의 재킷(Jacket)의 내부를 보는듯한 착시 그래픽을 ‘갤럭시 Z 플립5’의 후면 디자인에 적용해 외면과 내면의 본질을 중요시하는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 철학을 담았다. 또한, 메종 마르지엘라 디자인이 적용된 플랩 레더 케이스(Flap Leather Case)와 플립수트 케이스(Flipsuit Case)도 함께 제공한다. 플랩 레더 케이스(Flap Leather Case)는 고급스러운 검은색 가죽에 하얀색의 포켓 패턴 스티치 디자인을 적용해 메종 마르지엘라 특유의 미학을 적용했다. 플립수트 케이스(Flipsuit Case)는 플립수트 카드(Flipsuit Card) 2종과 함께 제공된다. 메종 마르지엘라 고유의 페인트 드롭 디자인 카드와 넘버링이 새겨진 실버 카드의 NFC 기술로 ‘갤럭시 Z 플립5’의 커버 스크린 ‘플렉스 윈도우’에 차별화된 테마를 선보인다. 특별한 패키지 박스도 함께 제공된다. 패션 디자인 장인의 수납함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패키지 박스는 원단 질감의 종이 소재에 메종 마르지엘라 고유의 시침실을 표현했다.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패키지 박스를 통해 마치 수납함에서 옷을 꺼내는 듯한 신선한 언박싱(Unboxing)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종 마르지엘라의 넘버링 디자인이 적용된 스마트폰 충전기도 함께 제공된다. 갤럭시 Z 플립5 메종 마르지엘라 에디션은 한국, 중국, 홍콩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된다. 국내는 삼성닷컴에서 추첨을 통해 판매가 진행된다. 가격은 249만7000원이며, 512GB 스토리지 모델이다. 구매를 원하는 고객은 11월 30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삼성닷컴을 통해 응모할 수 있다. 당첨자는 12월 1일 오전 9시에 발표된다. 한편, 갤럭시 Z 플립5 메종 마르지엘라 에디션은 11월 23일부터 ‘삼성 강남’과 삼성스토어 홍대점에 전시된다. 삼성전자 MX사업부 마케팅팀장 최승은 부사장은 “삼성전자와 메종 마르지엘라는 기존의 관습에서 벗어난 새로운 도전을 함께 지속해왔다”며 “패션과 기술을 융합한 이번 스페셜 에디션은 신선하고 독창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고객에게 흥미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이태양 02-2255-854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삼양사, 알룰로스 활용한 ‘제로슈가 카페시럽’ 4종 출시
    삼양사가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를 사용해 열량 부담을 낮춘 음료용 시럽을 선보인다. 삼양그룹 식품/화학 계열사 삼양사(대표 최낙현)는 23일 ‘제로슈가 카페시럽’ 4종(일하기시럽, 밥하기시럽, 운동가기시럽, 공부하기시럽)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제로슈가 카페시럽은 커피, 차, 주스 등에 첨가해 단 맛을 높이는 음료용 시럽으로, 4가지 향으로 나뉜다. ‘일하기시럽(플레인)’은 직장인, ‘밥하기시럽(바닐라)’은 1~2인 가구와 주부, ‘운동가기시럽(헤이즐넛)’은 운동하는 사람, ‘공부하기시럽(캐러멜)’은 학생과 취업준비생을 겨냥한 제품이다. 색다른 제품명은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이 입버릇처럼 말하는 ‘~하기 싫다’는 표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직장인, 취업준비생 등 다양한 소비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이들의 힘든 일상이 시럽처럼 달달하게 바뀌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제로슈가 카페시럽은 설탕 대신 삼양사가 생산하는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를 사용해 음료의 당도와 향을 높이고 열량 부담을 낮췄다. 알룰로스는 무화과, 포도 등에 함유된 단맛 성분으로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제로인 대체 감미료다. 과당과 유사한 물성과 깔끔한 단맛이 나는 특성 덕분에 음료, 스낵, 유제품, 소스 등에 두루 적용된다. 이번 신제품은 일찍이 제품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삼양사 서브큐는 8~11일 나흘간 코엑스에서 열린 ‘제22회 서울 카페쇼’에서 신제품 4종을 처음 선보였다. 당시 공식 출시 전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행사 기간 동안 서울 카페쇼 최우수 참가업체 제품에 부여되는 카페쇼 엑셀런스 어워드(Cafe Show Excellence Awards)에 선정됐다. 이 상은 카페쇼 특별 쇼케이스인 체리스 초이스(Cherry’s Choice)에 출품된 신제품 및 인기제품 중 심사를 거쳐 선정된 혁신 제품에 수여된다. 삼양사는 신제품 출시에 맞춰 고객 참여형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 신제품 라벨에 그려진 캐릭터의 이름을 공모하는 이벤트가 연내 진행될 예정이다. 서브큐몰이나 서브큐 인스타그램 채널을 통해 캐릭터명을 공모 받고, 최종 선정된 이들에게 소정의 상품을 증정할 계획이다. 삼양사의 제로슈가 카페시럽은 서브큐몰에서 개당 792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서브큐몰을 통해 각 제품을 사용해 만들 수 있는 음료 레시피도 확인할 수 있다. 삼양사 최낙현 대표는 “수차례의 시음 테스트를 거친 끝에 깔끔하고 건강한 단맛이 나는 제로슈가 카페시럽을 선보이게 됐다”며 “향후 학생, 직장인 등 제품별 타깃 고객층을 겨냥한 이벤트도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삼양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임홍조 사원 02-740-72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샘표, HACCP KOREA 2023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상 수상
    우리맛연구중심 샘표는 최인실 품질보증센터장이 ‘해썹 코리아(HACCP KOREA) 2023’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상(HACCP 공로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해썹 코리아(HACCP KOREA) 2023’은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의 발전과 해외 정보 교류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주최하는 행사다. ‘스마트 해썹 전환에 따른 식품안전관리 미래 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최인실 센터장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 우리 식탁에 빠질 수 없는 식품이자 해외에서도 주목하는 장류 식품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품질 향상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았다. 샘표는 2002년 간장, 된장, 고추장 전 품목에 업계 최초로 HACCP 인증을 받았다. 당시 장류는 HACCP 인증 의무가 없었지만 샘표는 선도적으로 기준을 도입해 식중독균, 이물 등 식품 위해요소 예방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장류 문화 발전을 위해 앞장서 왔다. 이 밖에도 2011년에는 업계 최초로 SQF(국제적 식품안전 및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으며, 2014년에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SQFI(Safe Quality Food Institute) 올해의 제조업체’에 선정되는 등 우수한 식품안전 및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성과를 인정받기도 했다. 샘표 최인실 센터장은 “내 가족이 먹지 못하는 것은 만들지도 팔지도 않는다는 창업주의 정신을 이어받아 전 직원이 한마음으로 품질 연구에 매진했기에 이런 큰 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식품 안전에 더욱 유념해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제품을 생산하고 더 나아가 우리맛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샘표 홍보대행 신시아 박준영 매니저 02-743-279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6
  • 성남산업진흥원, 메타버스 컨퍼런스 개최한다
    국내 메타버스 분야 교류 활성화를 위해 개최된 ‘2023 성남 메타버스 컨퍼런스’가 11월 22일 성남에서 열린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메타버스 정책 방향과 기술의 발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성남시(시장 신상진)와 성남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22일 오후 14시 밀리토피아 호텔 성남에서 ‘2023 성남 메타버스 컨퍼런스’를 열고 디지털 대전환 시대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결합에 대해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현장뿐만 아니라 진흥원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생중계된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최신 메타버스 기술의 개발 현황을 논의하고, 관련 정책 방향을 고민하는 장이다. 컨퍼런스에서는 ‘생성형 AI, 메타버스 생태계를 확장시키다’를 주제로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메타버스의 최신 동향과 발전 전망을 공유한다. 아울러 생성형 AI 시대에 인공지능이 메타버스와 어떻게 융합될지에 대한 시각을 공유하고,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에 대한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논의도 진행한다. 강연에 앞서 투피 살리바 IEEE 글로벌인공지능표준위원회 위원장은 ‘생성형 AI, 메타버스 생태계를 확장시키다’를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진행되는 세션은 총 2개의 세션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로 진행되는 정책 세션에서는 국회미래연구원 이승환 연구위원과 KAIST 최재식 교수가 ‘국내 메타버스 분야의 정책 방향’에 대해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두 번째 세션인 산업 세션에서는 국내 메타버스 기업인 브이리스 브이알 권종수 대표와 스코넥엔터테인먼트 최정환 대표가 ‘메타버스의 기술과 발전’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컨퍼런스 외에도 메타버스 체험 부스를 운영해 메타버스 최신 기술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 산업 관련 퀴즈 이벤트를 통해 아이패드 및 커피머신기 등 다양한 경품을 지급할 계획이다. 진흥원은 최근 디지털 기술이 가속화되고 ‘챗GPT’ 등 다양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확산되면서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하고 사회·경제·산업 등 전 분야에 인공지능 일상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그에 따라 메타버스 정책 및 산업 분야에도 인공지능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대한민국이 메타버스 선진국이 되기 위해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상관관계에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2023 성남 메타버스 컨퍼런스 운영사무국 소개 2023 성남 메타버스 컨퍼런스는 메타버스 기술의 글로벌 트렌드 공유와 국내·외 전문가 간 교류를 통해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과 정책 방향을 고민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11월 22일 성남 밀리토피아 호텔에서 개최하는 이번 컨퍼런스가 더 풍성한 논의와 유익한 의견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 언론연락처: 2023 성남 메타버스 컨퍼런스 운영사무국 정소휘 PM 070-5172-412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2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3 전국민주시민교육박람회’ 개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 이하 사업회)가 11월 23일(목)~24일(금)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아트홀 2관에서 ‘2023 전국민주시민교육박람회’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전국민주시민교육박람회’는 올 한해 사업회 민주시민교육 협력운영사업의 하나로 선정된 단체들이 지난 1년간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는 자리다. 사업회는 박람회를 통해 단체들이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서로의 비전과 다양하고 독창적인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공유하고, 활동에 대한 서로의 열정과 노고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박람회에서는 공모를 통해 심사를 거쳐 선정된 민주시민교육 협력운영사업 참여 단체 21개 팀과 초청 단체 등 총 28개의 시민교육 활동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박람회에는 북한이탈주민과 함께 음식을 만들고 북한 이야기를 나누며 평화 감수성을 높인 경기평화교육센터의 ‘줌인(zoom in) 맛있는 평화’, 청소년들이 기후위기를 주제로 거리 퍼포먼스를 진행한 안양시동안청소년수련관의 ‘권리를 찾는 기후위기 마임극’, 월경권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해 여성환경연대가 진행한 토론형 교육과 워크숍 등 민주시민교육 관련 단체들의 다양하고 독창적인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한 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번 박람회에는 내년도 개관 예정인 민주화운동기념관 관련 부스도 운영된다. 사업회는 부스 운영을 통해 박람회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내년에 개관하는 기념관을 홍보하고, 참여형 이벤트도 진행한다. 기념관 조성 축하 메시지를 리본에 기록하는 ‘민주로 지구 한바퀴 캠페인’과 민주주의 참여 기억이 담긴 관련 물품을 기증하면 소정의 기념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사업회 이재오 이사장은 “민주주의를 일상에 깊게 뿌리내리게 하기 위한 답은 교육에 있다”며 “이번 박람회가 지역과 영역의 특색을 살려 우수하고 다양한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공유하고 널리 확산하게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람회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사업회 누리집(www.kdemo.or.kr) 혹은 민주시민교육플랫폼 위빙(https://webeing.kdemo.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 동력이었던 민주화운동 정신을 국가적으로 계승·발전시켜야한다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2001년 7월 24일 제정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법률 제14839호)에 의해 설립됐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인권기념관 건립 사업 및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고 계승하기 위한 기념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 민주화운동 역사 정리를 위한 자료의 수집, 보존과 열람 서비스 제공,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학술연구사업과 민주시민교육사업, 세계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다양한 국제교류사업을 펼치고 있다. 언론연락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홍보실 이경진 031-361-952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2
  • 비디, ChatGPT 시대에 ‘초거대 AI 사전 학습용 헬스케어 질의응답 데이터’ 구축
    ChatGPT의 등장으로 올해 초부터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추진하고 있는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도 이러한 변화에 따라 초거대 AI를 위한 고품질·대규모 데이터 구축을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 전문 기업인 비디(대표 김기용, 독고세준, 이상명)는 올해 ‘초거대 AI’ 영역 자유공모를 통해 ‘초거대 AI 사전학습용 헬스케어 질의응답 데이터’ 구축 과제를 제안했고, 기술과 수행 역량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데이터 구축 사업자로 선정돼 관련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디는 2020년 부터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에 참여해 올해로 4년째를 맞고 있으며, ‘데이터 수집·정제·가공 처리 도구’와 ‘데이터 수집 공정관리 플랫폼’에 대해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이번 과제에서는 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정제·가공 처리 도구’에 ‘초거대 AI’ 구축을 위한 단계별 데이터 처리 효율화 기술, 대량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 등을 적용했다. 또한 ‘데이터 수집 공정관리 플랫폼’은 오디오/프리텍스트/센싱데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을 수집, 정제, 흐름 제어하는 과정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은 물론 작업자별 공정 수치를 시각화함으로써 데이터 품질을 보증할 수 있도록 했다. 김용목 비디 전무는 “생성형 AI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에서 해당 과제를 수행할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자체 기술로 확보된 ‘구문 정확성 검증 도구’와 ‘대화 데이터 정제 가공’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데이터 품질을 확보함으로써 AI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디 소개 비디는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API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형 서비스 개발과 플랫폼 운영 분야 전문 기업이다. 2003년 10월 블루다임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된 뒤 통신 분야 IT 기술에 대한 전문성과 사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신·전자 특화 솔루션을 제공해 시장과 고객을 창출하는 회사로 성장해왔다. 현재는 통신·전자 분야를 넘어 ICT 융합형 서비스 개발 및 오픈 플랫폼 구축 경험으로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API 사업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언론연락처: 비디 영업전략팀 안종천 팀장 02-2025-499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2
  • 아트뮤, 초슬림 40기가 CAT8 등급 랜케이블 8종 출시
    감성 모바일 충전 액세서리 브랜드 ‘아트뮤(ARTMU)’를 운영하는 아트뮤코리아(대표 우석기)가 초슬림 40기가(CAT8 등급) 랜케이블 8종을 출시했다. 일반적으로 랜(근거리 통신망) 케이블은 국제표준 규격인 ‘Category 등급’(이하 CAT으로 표기)으로 나눠지며, 일반 가정에서는 CAT5(100Mbps 전송)나 CAT5E(1Gbps 전송)가 많이 쓰인다. 반면 이번에 출시한 랜케이블은 CAT8 등급으로, 40Gbps까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하이엔드(High-end)급 제품이다. 일명 ‘칼국수 스타일’의 플랫(Flat)한 패브릭 케이블 선재를 적용, 케이블 간 마찰 감소와 선꼬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좁은 틈새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끔 만들어 차별점을 뒀다. 단선 방지를 위한 이중 커넥터 설계로 케이블선을 잡아당겨 커넥터를 뽑아도 단선되지 않는 튼튼한 내구성을 자랑하며, 금도금 단자를 채택해 노이즈도 최소화했다. 고객의 선택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신제품은 다른 업체 제품보다 세분화된 길이(0.5m, 1m, 1.5m, 2m, 3m, 5m, 7m, 8m)와 랜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타이 및 먼지방지 보호캡을 기본 제공한다. 또 엄격한 ANSI/TIA/EIA(미국 규격협회/미국 전기통신공업협회/미국 전자산업협회)-568B 규격으로 제작됐으며, FLUKE(플루크) DSX-8000 테스트를 통과하며 내구성·안정성까지 인증받았다. 아트뮤는 CAT8 랜케이블 외에도 △인텔 인증 썬더볼트4 케이블 △USB-IF 인증 USB4 케이블 △HDMI2.1 인증 초고속 케이블 △VESA 인증 DP1.4 케이블 등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고속 충전 액세서리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아트뮤 신제품 CAT8 랜케이블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연구소, 공항, 의료 시설 등 뿐만 아니라 게이밍 홈네트워크 구축과 관련해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아트뮤는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예약 한정 특별 가격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트뮤 소셜 미디어(SNS) 채널과 네이버 브랜드스토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트뮤코리아 소개 아트뮤는 차별화된 디자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 이상의 작품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감성 모바일 브랜드다. 전 세계 모든 고객이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제품을 만드는 것, 좋은 서비스를 넘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끊임없이 소통하고 기술과 사용자의 징검다리가 될 수 있는 열정적인 기업이 되는 것, 아트뮤는 이를 지켜 나가고자 한다. 아트뮤는 삶의 질을 높이려는 모든 고객들에게 아트뮤만의 축적된 디자인 경험을 바탕으로 생활 속에서 이미 존재하는 것을 새롭고 창조적인 감성 디자인으로 바라본다. 단순히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 아트한 재발견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을 변화시킨다. 전통적인 ‘예술(Art)’과 미래 지향적인 ‘기술(Tech)’이 하나 될 수 있는 것, 이것이 아트뮤의 비전이며 목표다. 언론연락처: 아트뮤코리아 홍보팀 이제욱 02-2602-88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11-2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