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ON AIR
-
- 바디프랜드, 판매 방식 다변화 ‘모바일 라이브’ 3년 연속 성장세
- 국내 라이브 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헬스케어로봇(Healthcare Robot®) 기업 바디프랜드(대표이사 지성규·김흥석)의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량이 최근 3년간 순증하고 있다. 바디프랜드는 유통과 소비자 트렌드를 빠르게 읽어내면서 2019년 업계 최초로 자체 모바일 라이브 방송 제도를 도입, 주요 판매 채널 중 하나로 성장시켰다. 바디프랜드가 모바일 라이브를 통해 달성한 상반기 매출액은 2023년에서 2024년은 114%, 2025년은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3년 사이 약 3배 성장한 셈이다. 이 같은 호실적은 바디프랜드가 일찌감치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주목해, 체계적인 시스템 아래 모바일 라이브 방송을 운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바디프랜드는 2019년 업계 최초로 사내에 MZ세대 PD, 쇼호스트 등의 전문 인력을 발탁, 전담팀을 신설해 바디프랜드 자사몰, 네이버 쇼핑 라이브, 공식 유튜브 채널 등의 플랫폼을 통해 하루 1~2회 라이브 방송 스케줄을 진행하고 있다. 시청자가 방송으로 유입되기 쉬운 채널들에 집중하고, 가장 효율이 좋은 시간대로 라이브를 편성해 방송 시간 한정으로 특별 혜택을 준 것이 매출을 순증시킬 수 있었던 강력한 요인이다. 또한 제품 체험의 제약이 있고 고관여 제품을 구매하기 쉽지 않은 모바일 라이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도 주효했다. 제품 소개와 설명 위주의 기존 모바일 라이브 형식과는 달리, 바디프랜드 모바일 라이브 방송은 운동, 육아, 퇴근 등 일상에서 안마의자가 필요한 상황을 다양하게 찾고 연출했다. 바디프랜드 도곡 타워 본사의 전용 스튜디오, 피트니스 센터, 하우스 스타일 쇼룸, 전국 곳곳의 라운지 스튜디오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콤팩트 헬스케어로봇 팔콘 시리즈, 마사지 소파 파밀레, 라클라우드 모션베드 등 요즘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디자인에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들을 내세운 것도 소비자들의 구매 허들을 낮춘 부분이다.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방송 횟수도 소비자 호응을 방증한다. 2023년 189회, 2024년 283회로 약 34% 늘었고, 2025년 6월까지 178회 방송해 올해 연말까지 300회 이상의 횟수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바디프랜드는 모바일 라이브 방송을 통해 바디프랜드 고객이 젊어지고 있다는 것이 체감된다. 라이브 방송의 주 구매 고객층은 40대(48%)와 30대(34%)라며 고객들이 바디프랜드 제품을 더 쉽고 즐겁게 소비하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더 다양한 유입 경로를 발굴하고 새로운 구매 방식을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바디프랜드 커뮤니케이션팀 이미지 홍보팀장 02-3448-898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Liquid AI Releases World’s Fastest and Best-Performing Open-Source Small Foundation Models
- Liquid AI announced today the launch of its next-generation Liquid Foundation Models (LFM2), which set new records in speed, energy efficiency, and quality in the edge model class. This release builds on Liquid AI’s first-principles approach to model design. Unlike traditional transformer-based models, LFM2 is composed of structured, adaptive operators that allow for more efficient training, faster inference and better generalization - especially in long-context or resource-constrained scenarios. Liquid AI open-sourced its LFM2, introducing the novel architecture in full transparency to the world. LFM2’s weights can now be downloaded from Hugging Face (https://huggingface.co/LiquidAI) and are also available through the Liquid Playground (https://playground.liquid.ai/login) for testing. Liquid AI also announced that the models will be integrated into its Edge AI platform and an iOS-native consumer app for testing in the following days. “At Liquid, we build best-in-class foundation models with quality, latency, and memory efficiency in mind,” said Ramin Hasani, co-founder and CEO of Liquid AI. “LFM2 series of models is designed, developed, and optimized for on-device deployment on any processor, truly unlocking the applications of generative and agentic AI on the edge. LFM2 is the first in the series of powerful models we will be releasing in the coming months.” The release of LFM2 marks a milestone in global AI competition and is the first time a U.S. company has publicly demonstrated clear efficiency and quality gains over China’s leading open-source small language models, including those developed by Alibaba and ByteDance. In head-to-head evaluations, LFM2 models outperform state-of-the-art competitors across speed, latency and instruction-following benchmarks. Key highlights: · LFM2 exhibits 200 percent higher throughput and lower latency compared to Qwen3, Gemma 3n Matformer and every other transformer- and non-transformer-based autoregressive models available to date, on CPU. · The model not only is the fastest, but also on average performs significantly better than models in each size class on instruction-following and function calling (the main attributes of LLMs in building reliable AI agents). This places LFM2 as the ideal choice of models for local and edge use-cases. · LFMs built based on this new architecture and the new training infrastructure show 300 percent improvement in training efficiency over the previous versions of LFMs, making them the most cost-efficient way to build capable general-purpose AI systems. Shifting large generative models from distant clouds to lean, on‑device LLMs unlocks millisecond latency, offline resilience, and data‑sovereign privacy. These are capabilities essential for phones, laptops, cars, robots, wearables, satellites, and other endpoints that must reason in real time. Aggregating high‑growth verticals such as edge AI stack in consumer electronics, robotics, smart appliances, finance, e-commerce, and education, before counting defense, space, and cybersecurity allocations, pushes the TAM for compact, private foundation models toward the $1 trillion mark by 2035. Liquid AI is engaged with a large number of Fortune 500 companies in these sectors. They offer ultra‑efficient small multimodal foundation models with a secure enterprise-grade deployment stack that turns every device into an AI device, locally. This gives Liquid AI the opportunity to obtain an outsized share on the market as enterprises pivot from cloud LLMs to cost-efficient, fast, private and on‑prem intelligence. About Liquid AI: Liquid AI is at the forefro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novation, developing foundation models that set new standards for performance and efficiency. With the mission to build efficient, general-purpose AI systems at every scale, Liquid AI continues to push the boundaries of how much intelligence can be packed into phones, laptops, cars, satellites, and other devices. Learn more at www.liquid.ai.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10527694/en/ 언론연락처: Liquid AI Stephen Peters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페인터즈앤벤처스, 영국 Innovation RCA와 손잡고 한국 스타트업 글로벌 도약 지원
- 초기 기업 투자 및 육성 전문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페인터즈앤벤처스가 예술 및 디자인 혁신 분야의 글로벌 명문인 영국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이하 RCA)과 함께 한국 기업의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을 위한 현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1837년 설립된 RCA는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11년 연속 예술 및 디자인 분야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적인 교육기관으로 특히 2004년에 설립된 RCA의 창업지원센터인 이노베이션 RCA(Innovation RCA)는 RCA 졸업생, 교직원, 동문 등을 대상으로 혁신적인 기술 기반의 고성장 스타트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눈부신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재까지 이노베이션 RCA는 120명의 졸업생이 84개의 스타트업을 창업하도록 지원했으며, 총 1억4500만파운드의 투자 자금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혁신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6월 23일과 24일 양일간 영국 런던 현지에서 진행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비즈니스 협업 멘토링, 네트워킹, 데모데이 등으로 구성됐으며 이노베이션 RCA의 풍부한 스타트업 지원 경험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한국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원이 제공됐다. 이노베이션 RCA에 입주한 유망 기업들과 직접 만나 교류하며 협업 기회를 모색하는 한편 RCA 소속 전문 멘토들과의 심도 깊은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각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조언과 피드백을 제공 받았다.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였던 데모데이에서는 해외 진출 및 투자 유치 가능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날카로운 피드백이 오가며 기업들의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페인터즈앤벤처스는 Innovation RCA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며, 앞으로도 RCA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 한국 스타트업들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페인터즈앤벤처스 소개 페인터즈앤벤처스는 2024년 시작된 글로벌 지향 초기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이다.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보유한 초기 단계 기업들에 투자해 기업의 펀더멘털 성장과 해외 시장에서 안착에 필요한 리소스들을 ‘paint’하는 전문가 그룹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육, 자금조달 등 전문 역량에 기반한 밸류업 활동 외에 글로벌 진출 지원 거점 지역을 선별해 피투자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언론연락처: 페인터즈앤벤처스 송은경 이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더민, 모델 캐스팅 다양화로 변화하는 캠페인 시장 공략
- 광고 에이전시 더민 엔터테인먼트(대표 최민경, 이하 더민)는 기상청 폭염 피해 예방 ‘해피해피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11일 밝혔다. 더민은 2009년부터 국내·외 광고 에이전시로 차승원, 소지섭, 제시카 고메즈 등 톱 모델과 손잡고 국내·외 유명기업과 활발한 광고활동을 벌여 왔다. 더민이 참여하는 이번 캠페인에는 아역 모델 최동준(9세)이, 아빠 역할에 모델 김진성이 캐스팅됐다. 이번 캠페인은 아동의 키 높이에서 느껴지는 여름은 어떤지 직접 체험하며, ‘아동은 뜨거운 지열로 인해 폭염에 더 취약하므로 특별한 돌봄이 필요하다’는 기상청의 아동 폭염 피해 예방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담아 학부모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더민은 13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성 모델과의 협업을 공고히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MZ세대를 겨냥한 차별화된 광고 전략에 부응할 수 있는 뉴 페이스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더민 소개 더민(THE MIN)은 각 분야 광고 대행 및 모델 캐스팅계의 선두 주자로, 최고 중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의 효과와 모델의 만족·경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노하우를 발휘하고 있다. 더민은 항상 콘셉트에 맞는 정확함과 최대한 빠른 추진을 위해 힘쓴다. 체계적·안정적인 광고주 관리, 모델 관리 및 인맥 관리, 비상시 변수까지 대비해 어떠한 콘셉트, 상황이라도 그에 맞는 정확성과 추진력을 갖췄음을 자부한다. 더민은 효과적 광고 제작, 신인부터 정상급 모델까지 자료 수집, 검토 및 테스트 등 철저한 관리로 대비하며 기업과 컨택트해 모델에게도 최대한의 경험·경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한다. 언론연락처: 더민 최민경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IQM,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로 레조넌스 양자 클라우드 플랫폼의 주요 업그레이드 발표
- 양자 컴퓨터 구축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인 IQM 퀀텀 컴퓨터스(IQM Quantum Computers)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도구로 양자 알고리즘 개발을 가속화하고 최종 사용자에게 강력한 새로운 양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오늘 양자 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인 IQM 레조넌스(IQM Resonance) (https://resonance.meetiqm.com/)에 대한 주요 업그레이드를 발표했다. 업그레이드에서는 프라운호퍼 FOKUS(Fraunhofer FOKUS)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인 Qrisp가 새로운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로 제공된다. Qrisp는 양자 개발자와 연구자를 위해 매우 강력하면서도 배우기 쉬운 고수준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Qrisp 프레임워크는 오픈 소스이며 앞으로도 계속 오픈 소스로 유지될 것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가 기본이 되면서 IQM은 키스키트(Qiskit), 서크(Cirq), 쿠다 퀀텀(Cuda Quantum), TKET 등 다른 인기 있는 양자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도 계속 지원해 모든 사용자에게 유연성을 보장한다. IQM의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양자 개발 접근 방식은 경험이 풍부한 양자 개발자와 새로운 양자 개발자 모두에게 강력한 기반을 제공한다. IQM은 또한 라파엘 자이델(Raphael Seidel)을 IQM의 Qrisp 수석 양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임명해 2025년 10월부터 Qrisp 개발의 다음 단계를 이끌도록 했다. 자이델은 “기초부터 시작해 기반을 탄탄히 다져온 Qrisp는 그 기본 프로그래밍 모델이 상당한 성능 이점을 가져온다는 것을 반복해서 입증했다. 원시 게이트 카운트부터 컴파일러 확장까지, Qrisp는 양자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최첨단을 달리고 있다. IQM의 물리적 양자 하드웨어에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통합되면서 프레임워크의 다음 장이 열리고 내결함성 양자 컴퓨터 시대로의 강력한 선두 주자를 만들어 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IQM 레조넌스 플랫폼의 기타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급 오류 처리: 이 플랫폼은 이제 오류 억제 및 완화 기술을 지원한다. 이 기능은 환경 노이즈로부터 큐비트를 보호하는 동적 분리와 실험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판독 오류 완화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양자 계산에서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고급 라이브러리와 리소스를 활용한 연구 가속화: 이 플랫폼은 또한 강력한 양자 근사 최적화 알고리즘(QAOA) 라이브러리를 도입했다. 이 핵심 애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를 통해 연구자들은 다양한 QAOA 유형을 사용해 복잡한 최적화 문제에 대한 양자 회로를 효율적으로 만들고, 테스트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빠른 반복이 가능하다. ·확장된 IQM 아카데미(IQM Academy) 리소스: IQM 아카데미에서는 이제 Qrisp에 대한 포괄적인 예제와 튜토리얼을 제공하고 오류 감소에 대한 새로운 전담 섹션을 통해 IQM의 곧 출시될 잡음 강건 추정(NRE) 기술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IQM 하드웨어상의 Qrisp 사용에 대한 전용 강의 시리즈도 곧 제공될 예정이다. ·펄스 레벨 액세스: 최대의 실험 제어를 원하는 고급 사용자를 위해 IQM 레조넌스는 이제 펄스 수준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펄스 스케줄을 직접 프로그래밍해 미세 조정된 실험과 새로운 양자 연산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IQM은 세계적인 플랫폼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모든 최종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플랜인 스타터 티어(Starter Tier)도 공개했다. 새로운 티어는 사용자에게 특정 IQM 양자 컴퓨터에서 한 달에 최대 30개의 크레딧을 제공해 학생, 연구자, 개발자가 양자 여정을 시작하는 데 있어 장벽을 제거한다. 스타터 티어의 출범과 IQM 크리스털 54(IQM Crystal 54)의 출시를 기념해 IQM은 제한된 기간 동안 54큐비트 양자 컴퓨터에 대한 액세스를 모든 스타터 티어 사용자에게로 확대한다. IQM의 양자 플랫폼 제품 책임자 슈테판 제거러 박사(Dr. Stefan Seegerer)는 “양자 컴퓨팅의 새로운 유용성 시대가 열리고 있으며, IQM 레조넌스에 대한 이번 업데이트는 생태계 강화에 대한 우리의 헌신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크리스털 54큐비트 시스템을 공개하고, 오류 감소 기술을 통합하고, Qrisp를 표준화함으로써, 우리는 연구자와 개발자가 가능성의 경계를 넓히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무료 스타터 플랜은 모든 사람이 양자 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우리 사명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단계이다”라고 덧붙였다. IQM 퀀텀 컴퓨터스 소개 IQM은 초전도 양자컴퓨터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IQM은 온프레미스 풀스택 양자컴퓨터와 이에 액세스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모두 제공한다. IQM의 고객에는 IQM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한 전체 액세스 권한을 가진 일류 고성능 컴퓨팅 센터, 연구실, 대학 및 기업 등이 포함된다. IQM은 핀란드에 본사가 있으며,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폴란드, 스페인, 싱가포르, 한국, 미국 등 전 세계에 지사를 두고 3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10268218/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IQM +35850479084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IQM Announces Major Upgrade to Resonance Quantum Cloud Platform With New Software Development Kit
- IQM Quantum Computers, a global leader in building quantum computers, today announced a major upgrade to its quantum computing cloud platform, IQM Resonance (https://resonance.meetiqm.com/),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quantum algorithms with new software tools and provide end-users with a powerful new quantum system. The upgrade features Qrisp - a project started at Fraunhofer FOKUS - as the new default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Qrisp offers a highly powerful but easy to learn higher level programming interface for quantum developers and researchers. The Qrisp framework is and stays open source. With the new software development kit becoming the default, IQM continues to support other popular quantum programming frameworks such as Qiskit, Cirq, Cuda Quantum, and TKET ensuring flexibility for all users. IQM’s comprehensive and open approach to quantum development builds a powerful foundation catering for both experienced and new quantum developers. IQM has also appointed Raphael Seidel as Lead Quantum Software Engineer for Qrisp at IQM, to lead the next steps in Qrisp development beginning in October 2025. “Starting from grassroots efforts, Qrisp has demonstrated again and again that the underlying programming model brings serious performance advantages. From raw gate-counts to compiler scaling, Qrisp is state-of-the-art in quantum programming. A direct and strong integration into IQM’s physical quantum hardware will mark the next chapter of the framework and grants a strong head-start into the era of fault-tolerant quantum computers,” said Seidel. Other key updates to the IQM Resonance platform include: ·Advanced error handling: The platform now supports error suppression and mitigation technologies. The first features include dynamical decoupling to protect qubits from environmental noise with readout error mitiga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experimental results coming next, allowing users to get more precise and reliable data from their quantum computations. ·Accelerated research with advanced libraries and resources: The platform also introduces a powerful Quantum Approximate Optimization Algorithm (QAOA) library. This key application library allows researchers to efficiently create, test, and optimize quantum circuits for complex optimization problem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QAOA flavours, enabling rapid iteration on novel ideas. ·Expanded IQM Academy resources: IQM Academy now features comprehensive examples and tutorials for Qrisp and a new dedicated section on error reduction, also providing insights into IQM's upcoming Noise Robust estimation techniques. Furthermore, a dedicated lecture series using Qrisp on IQM hardware will be available soon. ·Pulse-Level Access: For advanced users seeking maximum experimental control, IQM Resonance now offers pulse-level access. This allows researchers to directly program pulse schedules, enabling fine-tuned experiments and the development of novel quantum operations. To broaden access to its world-class platform, IQM also opens Starter tier, a free charge plan open for any end user. The new tier provides users with up to 30 credits per month on selected IQM quantum computers, removing barriers for students, researchers, and developers to start their quantum journey. To mark the debut of the Starter Tier and the availability of IQM Crystal 54, IQM is also extending access to the 54-qubit quantum computer to all Starter tier users for a limited time. “We are entering a new era of utility for quantum computing, and these updates to IQM Resonance are a testament to our commitment to empowering the ecosystem,” said Dr. Stefan Seegerer, Head of Product, Quantum Platform at IQM. “By making our Crystal 54-qubit system available, integrating error reduction techniques, and standardizing on Qrisp, we are providing the tools researchers and developers need to push the boundaries of what's possible. The new free Starter plan is a crucial step in our mission to make quantum technology accessible to everyone.” About IQM Quantum Computers IQM is a global leader in superconducting quantum computers. IQM provides both on-premises full-stack quantum computers and a cloud platform to access its computers. IQM customers include the leading high-performance computing centres, research labs, universities and enterprises which have full access to IQM's software and hardware. IQM has over 300 employees with headquarters in Finland and a global presence in France, Germany, Italy, Japan, Poland, Spain, Singapore,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10268218/en/ 언론연락처: IQM +35850479084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Biocytogen Enters into Antibody Licensing Agreement with BeOne Medicines to Accelerate Innovative Drug Development
- Biocytogen Pharmaceuticals (Beijing) Co., Ltd. (Biocytogen, HKEX: 02315), a global biotechnology company that drive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ovel antibody-based drugs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today announced that it has entered into a global licensing agreement with BeOne Medicines Ltd., a global oncology company, for multiple fully human antibodies. Prior to this licensing agreement, BeOne Medicines had obtained a license to use Biocytogen’s RenMice® fully human antibody platform. Building on this established collaboration, the new agreement expands the partnership into antibody license, further strengthening the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mpanies. Dr. Yuelei Shen, President and CEO of Biocytogen, said, “BeOne Medicines is a global leader in drug development, and we are thrilled to enter into this strategic collaboration. The antibodies licensed under this agreement were discovered using our proprietary RenMice® fully human antibody platform, highlighting our ability to empower partners in driving innovative drug discovery. We look forward to seeing these promising molecules progress rapidly into the clinic and ultimately bring transformative treatment options to patients worldwide.” Under the terms of the agreement, Biocytogen will receive an upfront payment from BeOne Medicines. In addition, Biocytogen is eligible to receive development and regulatory milestone payments, commercial milestone payments, and tiered royalties based on future net sales of licensed products. About Biocytogen Biocytogen (HKEX: 02315) is a global biotechnology company that drive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ovel antibody-based drugs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Founded on gene editing technology, Biocytogen leverages genetically engineered proprietary RenMice® (RenMab™/ RenLite®/ RenNano®/ RenTCR-mimic™) platforms for fully human monoclonal/bispecific/multispecific antibody discovery, bispecific antibody-drug conjugate discovery, nanobody discovery and TCR-mimic antibody discovery, and has established a sub-brand, RenBiologics™, to explore global partnerships for an off-the-shelf library of >1,000,000 fully human antibody sequences against over 1000 targets for worldwide collaboration. As of December 31, 2024, approximately 200 therapeutic antibody and multiple clinical asset co-development/out-licensing/transfer agreements and over 50 target-nominated RenMice® licensing projects have been established around the globe, including several partnerships with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MNCs). Biocytogen pioneered the generation of drug target knock-in humanized models for preclinical research, and currently provides a few thousand off-the-shelf animal and cell models under the company’s sub-brand, BioMice™, along with preclinical pharmacology and gene-editing services for clients worldwide. Headquartered in Beijing, Biocytogen has branches in China (Haimen Jiangsu, Shanghai), USA (Boston, San Francisco, San Diego), and Germany (Heidelberg).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en.biocytogen.com.cn.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9204455/en/ 언론연락처: Biocytogen Contacts Antibody assets and platforms Media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바이오사이토젠, 혁신적인 약물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비원 메디신스와 항체 라이선스 계약 체결
- 혁신적인 기술로 항체 기반 신약의 연구 및 개발을 주도하는 글로벌 생명공학 기업인 바이오사이토젠 파마슈티컬스(베이징)(Biocytogen Pharmaceuticals (Beijing) Co., Ltd., HKEX: 02315, 이하 바이오사이토젠)가 글로벌 종양학 회사인 비원 메디신스(BeOne Medicines Ltd.)와 다중 완전 인간 항체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라이선스 계약에 앞서 비원 메디신스는 바이오사이토젠의 렌마이스®(RenMice®) 완전 인간 항체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러한 확립된 협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계약은 파트너십을 항체 라이선스로 확장하여 두 회사 간의 전략적 관계를 더욱 강화한다. 바이오사이토젠의 사장 겸 CEO인 율레이 셴(Yuelei Shen) 박사는 “비원 메디신스는 신약 개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며, 우리는 이번 전략적 협력을 시작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 계약에 따라 허가된 항체는 당사의 독점적인 렌마이스® 완전 인간 항체 플랫폼을 사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이는 혁신적인 신약 개발을 추진하는 파트너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강조한다. 우리는 이러한 유망한 분자들이 임상으로 빠르게 발전하여 궁극적으로 전 세계 환자에게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보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계약 조건에 따라 바이오사이토젠은 비원 메디신스로부터 선불금을 받게 된다. 또한 바이오사이토젠은 개발 및 규제 관련 단계적 기술료, 상업적 단계적 기술료 및 라이선스 제품의 향후 순 판매량을 기준으로 한 계층화된 로열티를 받을 수 있다. 바이오사이토젠 소개 바이오사이토젠(HKEX: 02315)은 혁신적인 기술로 새로운 항체 기반 약물의 연구 및 개발을 주도하는 글로벌 생명공학 기업이다. 유전자 편집 기술을 기반으로 설립된 바이오사이토젠은 완전 인간 단일클론/이중특이성/다중특이성 항체 발견, 이중특이성 항체-약물 접합체 발견, 나노바디 발견 및 TCR 모방 항체 발견을 위해 유전자 조작 독점 렌마이스®(렌맵™/렌라이트®/렌나노®/렌TCR-미믹™(RenMice®/RenMab™/RenLite®/RenNano®/RenTCR-mimic™)) 플랫폼을 활용하며, 1000개 이상의 표적에 대해 100만개가 넘는 완전 인간 항체 염기서열로 구성된 기성 라이브러리를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탐색하기 위해 하위 브랜드인렌바이오로직스™를 구축했다. 2024년 12월 31일 현재 다국적 제약사(MNC)와의 여러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약 200개의 치료용 항체 및 여러 임상 자산 공동 개발/라이선스 아웃/이전 계약과 50개 이상의 표적 후보 렌마이스®(RenMice®) 라이선스 프로젝트가 수립되었다. 바이오사이토젠은 전임상 연구를 위한 약물 표적 유전자 삽입(knock-in) 인간화 모델 생성을 개척했으며, 현재 전 세계 고객을 위한 전임상 약리학 및 유전자 편집 서비스와 함께 회사의 하위 브랜드인 바이오마이스™(BioMice™) 아래에 수천 개의 기성 동물 및 세포 모델을 제공한다. 베이징에 본사를 둔 바이오사이토젠은 중국(장쑤성 하이먼, 상하이), 미국(보스턴, 샌프란시스코, 샌디에이고) 및 독일(하이델베르크)에 지사를 두고 있다. 더 알아보기: http://en.biocytogen.com.cn.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09204455/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바이오사이토젠 항체 자산 및 플랫폼 미디어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멀티뱅크 그룹, 선구적 $MBG 토큰의 조기 액세스 대기자 명단 발표
- 두바이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의 금융 파생상품 기관인 멀티뱅크 그룹(MultiBank Group)이 많은 기대를 모았던 $MBG 토큰에 대한 대기자 명단을 공개하며, 기존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을 연결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사전 판매는 2025년 7월에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token.multibankgroup.com에서 우선 액세스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투기적 공모와는 달리, $MBG 토큰은 유형 자산 가치가 290억달러이고 일일 거래량이 350억달러(2025년 4월 기준)를 초과하는 차세대 유틸리티 토큰으로 두각을 나타낸다. 이 토큰은 디지털 자산 분야에 진정한 수익 흐름, 고급 인프라, 시장 수준의 신뢰를 도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MBG 토큰은 4가지 핵심 도메인을 아우르는 멀티뱅크 그룹의 강력한 생태계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1. 멀티뱅크 트래드파이(MultiBank TradFi) - 2024년에 3억6200만달러의 수익과 2억8500만달러의 EBITDA를 창출한 CFD 강자이다. 2. MEX 거래소(MEX Exchange) - 2025년 후반에 출시될 이 기관 플랫폼은 디지털 자산과 기존 자산을 모두 다루며, 독립적으로 237억달러의 가치가 평가되고 있으며, 5년 후 예상 거래량은 하루 46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3. MultiBank.io RWA - 리츠칼튼 레지던스 두바이(The Ritz-Carlton Residences, Dubai), 크릭사이드 앳 케투라 리조트(Creekside at Keturah Resort), 케투라 리저브(Keturah Reserve) 등 30억달러 규모의 초호화 부동산으로 런칭되어 100억달러 규모로 확장될 예정인 자산 토큰화 플랫폼이다. 4. MultiBank.io - 올해 7월 암호화폐 파생상품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인 완전 규제되는 현물 거래소이다. 실제 거래 수수료와 커미션으로 운영되는 $MBG 토큰은 4년 동안 4억4000만달러 규모의 매입 및 소각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토큰 보유자에게 지속적인 수요와 장기적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17개 이상의 규제 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았고 2005년 이래로 위반 사항이 전혀 없는 흠잡을 데 없는 규정 준수 기록을 갖춘 멀티뱅크 그룹은 디지털 화폐 분야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멀티뱅크 그룹의 창립자이자 회장인 나세르 타헤르(Naser Taher)는 “이것은 단순한 토큰 출시가 아니라 글로벌 금융 생태계에 있어 획기적인 순간”이라며 “$MBG를 통해 우리는 제도적 힘과 실제적 유용성을 블록체인에 제공한다”고 말했다. token.multibankgroup.com에서 대기자 명단에 가입하면 $MBG 토큰에 대한 조기 액세스 권한을 확보할 수 있다. 멀티뱅크 그룹 소개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설립된 멀티뱅크 그룹은 금융파생상품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광범위한 중개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100개국 이상에서 200만 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350억달러가 넘는 일일 거래량을 자랑한다. 혁신적인 트레이딩 솔루션, 엄격한 규제 준수, 탁월한 고객 서비스로 유명한 멀티뱅크 그룹은 5개 대륙에 걸쳐 17개 이상의 주요 금융 기관의 규제를 받고 있다. 멀티뱅크 그룹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플랫폼은 외환, 금속, 주식, 원자재, 지수, 암호화폐 전반에 걸쳐 최대 500:1의 레버리지를 제공한다. 멀티뱅크 그룹은 거래 우수성과 규제 준수 부문에서 80개 이상의 국제 상을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멀티뱅크 그룹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10986556/en 언론연락처: 멀티뱅크 그룹(MultiBank Group) 0097158575419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MultiBank Group Announces Early Access Waitlist for Pioneering $MBG Token
- MultiBank Group, the world’s largest financial derivatives institution headquartered in Dubai, has opened the waitlist for its highly anticipated $MBG Token, ushering in a new era that bridges traditional finance and blockchain technology. The presale will take place in July 2025, with priority access now available at: token.multibankgroup.com. Unlike typical speculative offerings, the $MBG Token stands apart as a next-generation utility token, supported by tangible assets worth $29 billion and daily trading volumes exceeding $35 billion (as of April 2025). It is designed to introduce genuine revenue streams, advanced infrastructure, and market-level trust to the digital asset space. The $MBG Token is built on MultiBank Group’s robust ecosystem, which spans four core domains: 1. MultiBank TradFi - A CFD powerhouse that generated $362 million in revenue and $285 million in EBITDA in 2024. 2. MEX Exchange - Debuting later in 2025, this institutional platform for both digital and traditional assets is valued independently at $23.7 billion, with a five-year projected volume of $460 billion per day. 3. MultiBank.io RWA - An asset tokenization platform launching with $3 billion in ultra-luxury real estate, including The Ritz-Carlton Residences, Dubai, Creekside at Keturah Resort, and Keturah Reserve, and scaling toward $10 billion. 4. MultiBank.io - A fully regulated spot exchange set to expand into crypto derivatives this July. Fueled by real-world trading fees and commissions, the $MBG Token will power a $440 million buyback and burn program over a four-year period, driving sustained demand and long-term value for token holders. With an impeccable compliance record—licensed by more than 17 regulators and with zero violations since 2005—MultiBank Group brings an unmatched level of credibility and stability to the digital currency arena. “This is not just another token launch. It’s a transformative moment for the global financial ecosystem,” said Naser Taher, Founder and Chairman of MultiBank Group. “With $MBG, we’re bringing institutional strength and real-world utility to the blockchain.” Secure your early access to the $MBG Token by joining the waitlist today at token.multibankgroup.com. ABOUT MULTIBANK GROUP MultiBank Group, established in California, USA in 2005, is a global leader in financial derivatives. With over 2 million clients in 100+ countries and a daily trading volume exceeding $35 billion, it offers a broad range of brokerage and asset management services. Renowned for innovative trading solutions, robust regulatory compliance, and exceptional customer service, the Group is regulated by 17+ top-tier financial authorities across five continents. Its award-winning platforms provide up to 500:1 leverage across Forex, Metals, Shares, Commodities, Indices, and Cryptocurrencies. MultiBank Group has received over 80 international awards for trading excellence and regulatory compliance. For more information, visit MultiBank Group’s website.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10986556/en/ 언론연락처: MultiBank Group 0097158575419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브라이트코브, 독점 AI와 고객 인사이트로 비디오 인게이지먼트의 미래 비전 제시
- 지능형 비디오 인게이지먼트 기업 브라이트코브(Brightcove) (https://www.brightcove.com/?utm_source=businesswire&utm_medium=press-release&utm_campaign=roadmap)가 혁신과 고객 중심, 의미 있는 디지털 경험에 대한 새로운 약속을 발표하며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 브라이트코브는 새로운 소유주인 벤딩 스푼스(Bending Spoons) (https://bendingspoons.com/)의 지원과 강력한 독점 AI 기술을 통합해 미디어 및 기업 고객의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플랫폼을 재정비하고 있다. 이는 최첨단 혁신과 우수한 경험 품질 간의 균형을 맞추는, 제품 개발에 대한 브라이트코브의 전략적 발전을 의미한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새로운 AI 기반 기능, 향상된 수익화 도구,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등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브라이트코브의 새로운 방향성은 다양한 산업, 지역, 사용 사례에 걸쳐 50여 고객사와 진행한 광범위한 협업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논의는 현대 비디오 팀의 발전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측정 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제품 전략을 형성했다. 이 전략의 핵심은 혁신과 경험의 질이라는 두 가지 초점이다. 브라이트코브는 모든 고객에게 의미 있는 개선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이 두 가지 트랙을 병행해 추진할 것이다. 혁신 노력 트랙: · 신규 기능 도입: 울트라 HD 라이브 스트리밍, 자체 추천 엔진, 웨비나 및 가상 이벤트 플랫폼 파일럿 버전 등을 도입한다. · AI 기반 도구 확장: 자동 메타데이터 및 캡션 생성, 다국어 번역 및 오디오 더빙, 소셜 미디어 퍼블리싱에 최적화된 지능형 비디오 클리핑 및 포맷 변경, 정확한 광고 타겟팅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분석 등이 포함된다. 경험 품질 트랙: · 핵심 플랫폼 개선: 세로형 동영상 지원, 애니메이션 썸네일, 워크플로 간소화 및 사용성 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UX/UI 개편과 같은 목표 이니셔티브를 통해 플랫폼을 개선한다. · AI 기능 적용: 예측 버퍼링 및 적응형 비트레이트 최적화 등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활한 재생을 지원한다. 이러한 혁신의 핵심 원동력은 벤딩 스푼스의 독점적인 AI 기술이다. 레미니(Remini) (https://remini.ai/)와 같은 완전한 AI 기반 제품 구축은 물론, 에버노트(Evernote) (https://evernote.com/ko-kr)및 밋업(Meetup) (https://www.meetup.com/ko-KR/)과 같은 광범위한 플랫폼에 AI 기능을 통합하며 입증된 실적을 쌓은 벤딩 스푼스는 심도 있는 기술 전문성과 수직적으로 통합된 스택을 통해 신속한 개발과 매끄러운 통합을 보장한다. 이러한 역량은 브라이트코브가 더 빠르게 움직이고, 더 스마트하게 구축하며, 처음부터 더욱 세련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다. 벤딩 스푼스 최고경영자 루카 페라리(Luca Ferrari)는 “브라이트코브의 목표는 현대 미디어 및 기업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깊이 부합하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객 인사이트와 벤딩 스푼스의 AI 전문성을 결합하고 고객과 함께 장기적인 전략을 구축해 새로운 제품 전략을 실현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브라이트코브 소개 브라이트코브(Brightcove)는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하며 안전한 스트리밍 기술 솔루션을 개발해 기업이 시청자의 위치나 사용 기기에 관계없이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60여 개국에서 브라이트코브의 지능형 비디오 플랫폼을 통해 기업은 고객에게 더 효과적으로 판매하고, 미디어 리더는 콘텐츠를 더 안정적으로 스트리밍하고 수익화하며, 모든 조직은 팀원들과 더 강력하게 소통할 수 있다. 벤딩 스푼스 소개 벤딩 스푼스는 브라이트코브(Brightcove), 에버노트(Evernote), 코무트(komoot), 밋업(Meetup), 레미니(Remini), 스트림야드(StreamYard) 및 위트랜스퍼(WeTransfer) 등 디지털 기술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통해 전 세계 10억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현재 월간 활성 사용자는 약 3억 명에 달한다. 웹 사이트: bendingspoons.com (https://bendingspoons.com/).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브라이트코브(Brightcove Inc.) 레베카 오라일리(Rebecca O'Reilly) rebecca.o' 벤딩스푼스(Bending Spoons) 크리스티 키넌(Christy Keenan)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Brightcove Unveils Its New Vision for the Future of Video Engagement, Powered by Proprietary AI and Customer Insight
- Brightcove (https://www.brightcove.com/?utm_source=businesswire&utm_medium=press-release&utm_campaign=roadmap), the intelligent video engagement company, has today unveiled a bold new chapter in its evolution, signaling a renewed commitment to innovation, customer-centricity and meaningful digital experiences. Backed by new owner Bending Spoons (https://bendingspoons.com/), and incorporating its powerful proprietary AI technology, Brightcove is reimagining its platform to meet the growing demands of both Media and Enterprise customers. This marks a strategic evolution in how Brightcove approaches product development, balancing cutting-edge innovation with a relentless focus on quality of experience. The company is investing in areas that matter most to its customers, including new AI-powered features developed in-house, enhanced monetization tools, and a more intuitive user experience. Brightcove’s new direction is the result of extensive collaboration with more than 50 customers across industries, geographies, and use cases. These conversations have shaped a product strategy that is designed to meet the evolving needs of modern video teams while delivering measurable business outcomes. At the heart of this strategy is a dual focus: Innovation and Quality of Experience. These two tracks will be pursued in parallel to ensure Brightcove continues to deliver meaningful improvements for all customers. Innovation efforts will: ·Introduce new features, including ultra-HD live streaming, a native recommendations engine, and a pilot for a native webinar and virtual event platform. ·Expand Brightcove’s AI-powered tools, including automated metadata generation, caption generation, translation and audio dubbing in multiple languages, intelligent video clipping and reformatting to optimize for social publishing, and smart content analysis for precise advertising targeting. Meanwhile, the Quality of Experience track will: ·Refine the core platform through targeted initiatives, such as vertical video support, animated thumbnails, and a comprehensive UX/UI revamp to streamline workflows and enhance usability. ·Implement AI features, like predictive buffering and adaptive bitrate optimization, to help ensure smoother playback across devices and networks. A key enabler of this transformation is Bending Spoons’ proprietary AI technology. With a proven track record that includes building fully AI-powered products like Remini (https://remini.ai/), as well as integrating AI features into broader platforms such as Evernote (https://evernote.com/ko-kr) and Meetup (https://www.meetup.com/ko-KR/), Bending Spoons brings deep technical expertise and a vertically integrated stack that accelerates delivery and ensures seamless integration. These capabilities will empower Brightcove to move faster, build smarter, and deliver a more polished experience from day one. Luca Ferrari, CEO of Bending Spoons, commented: “At Brightcove, our aim is to deliver a powerful and reliable platform that is deeply aligned with the needs of modern media and enterprise users. We‘re enthusiastic to bring our new product strategy to life, combining customer insight with Bending Spoons’ AI expertise to build a long-term strategy hand-in-hand with our customers.” About Brightcove Inc. Brightcove creates the world’s most reliable, scalable, and secure streaming technology solutions to build a greater connection between companies and their audiences, no matter where they are or on which devices they consume content. In more than 60 countries, Brightcove’s intelligent video platform enables businesses to sell to customers more effectively, media leaders to stream and monetize content more reliably, and every organization to communicate with team members more powerfully. About Bending Spoons Bending Spoons has served a billion people across the globe through its suite of digital technology businesses, including Brightcove, Evernote, komoot, Meetup, Remini, StreamYard, and WeTransfer. Its products are currently used by around 300 million people each month. For more information, visit bendingspoons.com (https://bendingspoons.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710991687/en/ 언론연락처: Brightcove Inc. Rebecca O'Reilly rebecca.o' Bending Spoons Christy Keenan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뉴스더보기 +
-
김용린 07-11 10:50
플록-아이젠사이언스, 신약 개발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형 AI 협력 MOU 체결
탈중앙화·프라이버시 보호형 AI를 위한 웹3 네이티브(Web3-native) 플랫폼 플록과 AI 기반 신약 개발 분야에서 다수의 수상 실적을 보유한 아이젠사이언스가 양사 기술을 통합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제약·의료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노출하지 않고도 공동으로 AI 모델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번 MOU에 따라 플록의 온체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인프라가 아이젠사이언스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신약 개발 엔진과 연동된다. 이를 통해 병원과 연구기관은 데이터 소유권을 유지한 채 실제 임상·연구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플록의 공동 설립자 겸 CEO인 지아하오 선(Jiahao Sun)은 “이번 협력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진정한 탈중앙화 AI를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우리의 블록체인으로 보호되는 인센티브 레이어를 아이젠사이언스의 검증된 신약 개발 플랫폼과 결합함으로써 최고 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도 고부가가치 바이오헬스 분야의 인사이트를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이젠사이언스 강재우 대표는 “아이젠사이언스의 사명은 아이디어에서 임상까지의 여정을 단축하는 것”이라며 “플록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은 이전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데이터셋을 활용해 병원 및 제약사와의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더 나은 의약품을 더 빠르게 선보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사 간 기술 통합은 플록의 쩌화 청(Zehua Cheng) 최고과학책임자와 아이젠사이언스 김선규 AI 연구총괄 이사가 공동으로 주도하며, 1차 개념검증(POC)은 2025년 3분기에 착수될 예정이다. 관련 결과는 향후 AI 및 보건의료 분야 주요 학회에서 공개할 계획이다. 플록 소개 플록(FLock.io)은 연합학습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해 온체인 기반 탈중앙화 AI 모델을 구현하는 커뮤니티 중심의 플랫폼이다. 데이터 소유자, 연산 제공자, AI 엔지니어가 원본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협력할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를 제공하며, 프라이버시 보호와 AI의 보편적 활용을 동시에 추구한다. 아이젠사이언스 소개 아이젠사이언스(AIGEN Sciences)는 서울에 본사를 둔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과 다중 오믹스 기술을 결합해 저분자 및 바이오의약품 발굴을 가속화한다. 고려대학교 연구진이 설립했으며, 주요 벤처 투자사의 지원을 받아 환자 치료 성과 향상을 목표로 다각화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아이젠사이언스 김지혜 수석연구원 02-6952-353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 상반기 누적 방문자 10만 명 돌파… 레드테이블, 코리아 트레블 카드와 연결해 글로벌 의료관광 생태계 구축
외국인 대상 의료관광 전문 플랫폼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Medical Travel Korea)’가 2025년 상반기 누적 방문자 수 10만 명을 돌파하며 글로벌 의료관광 플랫폼으로 본격적인 성장세에 진입했다. 6월 기준 MAU(월간 활성 사용자)는 4만9153명, 최고 DAU(일간 사용자 수)는 4094명으로 집계됐으며, 최근 3개월간 사용자 수가 매달 두 배씩 증가하는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플랫폼에는 피부과, 성형외과, 안과, 치과, 건강검진 등 다양한 분야의 병원 250여 곳이 입점해 있으며, 초기에는 상담 위주였던 이용 행태가 최근에는 실제 예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관광-병원-기업 간 연계하는 의료관광 플랫폼 구현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는 롯데면세점, 세븐럭카지노, 우리은행, 신라면세점 등 주요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병원 단독 혹은 소규모 에이전시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대규모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면세점은 외국인 대상 타깃 온라인 ap광고를, 세븐럭은 현장 중심의 오프라인 광고와 VIP 라운지 혜택을, 은행에서는 외국인 고객을 위한 의료비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포인트 제휴를 통해 외국인 고객도 국내 통합 멤버십을 적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의료관광 고객에게 추가적인 소비 혜택을 제공하며 고객 유입을 유도하고 있다. 의료관광 시장을 ‘오프라인 에이전시’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 주도 기존의 의료관광은 지역 기반의 오프라인 에이전시에 의존해왔지만,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는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특히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24시간 다국어 상담 및 통역, 국가별 맞춤 콘텐츠 자동 생성, 병원 추천 시스템 고도화 등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R&D),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공동 과제를 통해 SaaS형 AI 스마트관광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의료뿐 아니라 관광·쇼핑 분야로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100개국 이상 외국인 사용자 기반, 병원과의 동반 성장 현재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의 사용자 구성은 100개국 이상에서 유입된 순외국인 중심으로 형성돼 있으며, 플랫폼 내 상담·예약 비율 또한 점차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단순한 중개가 아닌 빅데이터 기반의 리포트 및 솔루션을 파트너사에 제공함으로써 병원과 플랫폼 간 동반성장을 실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다.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를 운영 중인 레드테이블의 도해용 대표는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는 한국 방문 전 사전 정보 탐색 목적의 해외 사용자 유입이 중심으로, 6월 기준 상위 5개국은 미국(25.77%), 한국(13.45%), 캐나다(11.21%), 일본(10.38%), 대만(9.45%) 순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반면 레드테이블은 음식·레스토랑 검색 중심 플랫폼으로, 실제 한국 체류 중인 외국인의 사용이 많아 South Korea 비중이 55.69%로 절대적으로 높다. 또한 일본, 대만, 홍콩, 미국 순으로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외국인 결제도구인 코리아트레블카드는 국가의 구분없이 다양한 국적의 고객이 사용하고 있다”며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에는 피부과, 성형외과, 안과, 치과, 건강검진 등 다양한 분야의 병원 250여 곳이 입점해 있으며, 초기에는 상담 위주였던 사용자 행동이 최근에는 실제 예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고객의 예약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AI 기반 상담 자동화, 맞춤형 콘텐츠 생성, 국가별 인기 시술 추천 기능 등이 도입되며 플랫폼의 효율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도 대표는 또한 “단순 플랫폼을 넘어 병원·기업·고객 모두가 이익을 얻는 글로벌 의료관광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AI 기술력과 마케팅 역량을 바탕으로 더 많은 글로벌 고객에게 신뢰받는 플랫폼이 되겠다”고 밝혔다. ※ 본 보도자료는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MedicalTravelKorea.com)가 2024년 10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수집한 실제 상담 및 방문자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레드테이블 소개 레드테이블은 외국인을 위한 의료관광 플랫폼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 결제 서비스 ‘코리아 트레블 카드’, 관광 정보 서비스 ‘레드테이블’을 운영하는 관광 전문기업이다. 자체 데이터 수집·분석 시스템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외국인 고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맞춤형 의료·관광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담, 예약, 결제 전 과정을 다국어로 지원하며, 글로벌 고객의 경험을 혁신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레드테이블 도해용 대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여행·관광 산업 디지털 광고 노출 1위는 미국… 롯데, 리조트·렌터카 등 상위 브랜드 보유하며 한국 내 복합 기업 중 최다 노출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미국, 영국, 호주 등 시장에서 여행 및 관광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지출 및 노출 수 추세와 함께 주요 시장에서 아시아 태평양 여행 및 관광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노출 수 순위, 그리고 전일본공수, 캐세이퍼시픽, 싱가포르항공, 롯데그룹 등 사례 분석을 포함한 ‘2025년 아시아 태평양 여행 및 관광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 (https://sensortower.com/ko/top-apac-travel-and-tourism-advertisers-2025-report-korea?utm_source=KRNW)’ 리포트를 발표했다. 여행 및 관광 산업에서 미국 시장은 브랜드 디지털 광고 지출이 가장 큰 시장으로, 2024년 5월부터 2025년 4월까지 12개월 동안 여행 및 관광 브랜드의 전체 디지털 광고 지출이 35억달러에 달했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은 여행 및 관광 브랜드 디지털 광고 노출 수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지난 12개월 동안 약 3750억 회의 노출 수를 기록했으며, 1000회당 광고 비용(CPM)도 9달러를 넘어 전 세계 다른 시장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2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항공사인 전일본공수(All Nippon Airways), 캐세이퍼시픽(Cathay Pacific), 싱가포르항공(Singapore Airlines)은 각각 2조2600억엔, 1044억 홍콩달러와 195억4000만 싱가포르달러의 영업 수익을 기록하며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동시에 세 항공사는 타깃 시장에서 디지털 광고를 늘렸으며, 미국, 영국 등 주요 시장에서 가장 많이 노출된 아시아 태평양 여행 브랜드 중 하나가 됐다. 전일본공수는 휴일, 벚꽃 시즌, 여름 휴가 등 계절적 요소를 활용해 정밀한 디지털 광고 전략과 항공권 프로모션을 전개함으로써 광고 전환율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들의 마음 속에 ‘일본 여행을 위한 첫 번째 선택’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매년 벚꽃 시즌과 여름 휴가철은 일본 관광의 성수기로, 센서타워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2월 미국 시장에서 전일본공수의 디지털 광고 노출이 전년 대비 13배 급증했다. 캐세이퍼시픽은 영업수익 증가와 투자 전략에 힘입어 2025년 해외 시장에서 디지털 광고 역량을 크게 강화했다. 1월부터 4월까지 주요 시장에서 디지털 광고 노출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한국에서 928%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캐세이퍼시픽뿐만 아니라 고액 자산가에게 정확하게 도달하는 것은 항공사의 중요한 디지털 광고 전략이다.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 전일본공수, 캐세이퍼시픽, 싱가포르항공은 미국 시장에서 각각 광고 지출의 39%, 54%, 51%를 데스크톱 광고(디스플레이 및 동영상 광고 포함)에 투자해 비즈니스석과 일등석 이용 가능성이 높은 고액 자산가를 효과적으로 공략했다. 2024년 5월부터 2025년 4월까지 한국 시장에서 롯데의 디지털 광고 노출 수는 44억 회에 달했으며, 한국 시장 브랜드 노출 수 순위 20위 안에 들었다. 롯데호텔앤리조트(Lotte Hotels & Resorts)와 롯데렌터카(Lotte Rentacar) 등 여행 및 관광 산업 브랜드가 전체 노출의 13%를 차지했다. 이를 바탕으로 여행 및 관광 브랜드 중에서는 4위에 올랐으며, 복합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였다. 7~8월의 여름 휴가철과 12월 크리스마스 및 연말연시는 롯데호텔앤리조트의 디지털 광고 캠페인 성수기로, 국내 관광 성수기 예약 수요를 잡기 위한 캠페인이 집중된다. 한편 롯데렌터카는 4월 꽃구경 계절, 7~8월 여름 휴가철과 12월 크리스마스 및 연말연시 등 수요가 몰리는 시기에 맞춰 인기 거점에 대한 투자를 늘렸다. 또한 롯데월드의 상위 광고 소재를 살펴보면 다크문, 피너츠, 포켓몬, 마루는 강쥐 등 인기 IP와 손잡은 공동 브랜드 광고 소재가 눈에 띄었다. 롯데월드는 이러한 소재를 통해 고객 호감도를 향상시켰다. 2025년 한국, 유럽, 미국, 일본 등 다양한 시장에서 여행 및 관광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지출과 노출 추세 및 전일본공수, 캐세이퍼시픽, 싱가포르항공, 롯데그룹 등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전략 등 더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아시아 태평양 여행 및 관광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 리포트 전문을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다. 센서타워 소개 센서타워는 모바일 앱, 디지털 광고, 리테일 미디어, 사용자 인사이트 분야에서 전 세계 주요 브랜드와 앱 퍼블리셔들이 신뢰하는 선도적인 정보 제공업체다. 전 세계 디지털 경제를 측정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센서타워는 수상 경력에 빛나는 자사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앱과 디지털 생태계 전반에 대한 완벽한 가시성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보에 기반한 전략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3년 설립 이래 센서타워는 마케터, 앱 및 게임 개발자들이 사용량, 참여도, 유료 획득 전략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해 모바일 앱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현재 센서타워의 디지털 시장 인사이트 플랫폼은 오디언스, 리테일 미디어,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옛 패스매틱스) 등으로 확장돼 브랜드와 광고주들이 웹, 소셜, 모바일 전반에서 경쟁사의 광고 전략과 오디언스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언론연락처: 센서타워 한국지사 마케팅팀 유예나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람다테스트, iOS 실제 기기상의 플레이라이트 테스트 지원으로 모바일 테스트 정확도 향상
생성형 AI 기반 품질 엔지니어링 플랫폼인 람다테스트(LambdaTest)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ambdatest.com%2F%3Futm_source%3Dmedia%26utm_medium%3Dpressrelease%26utm_campaign%3Djuly9_ps%26utm_term%3Dps%26utm_content%3Dpr&esheet=54288027&newsitemid=54288027010&lan=en-US&anchor=LambdaTest&index=1&md5=4c5a5e2972dc66d3dc4f6332b1513661)는 실제 iOS 기기에서 플레이라이트(Playwright) 테스트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ambdatest.com%2Fsupport%2Fdocs%2Fplaywright-ios-device%2F%3Futm_source%3Dmedia%26utm_medium%3Dpressrelease%26utm_campaign%3Djuly9_ps%26utm_term%3Dps%26utm_content%3Dpr&esheet=54288027&newsitemid=54288027010&lan=en-US&anchor=Playwright+testing+on+real+iOS+devices&index=2&md5=8d71f436d323a1729e86978b11117a4d)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모바일 웹 팀은 사파리(Safari)를 사용하여 실제 아이폰(iPhone) 및 아이패드(iPad)에서 자동화된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번 업데이트는 QA 및 엔지니어링 팀이 시뮬레이터나 에뮬레이터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사용자 경험을 검증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상 환경에서 모바일 웹 앱을 테스트하면 터치 상호작용 누락, 브라우저 렌더링 불일치, 감지되지 않은 성능 병목 현상 등 실제 동작과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람다테스트는 이제 개발자가 실제 iOS 기기에서 플레이라이트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그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한다. 플레이라이트 자체는 실제 iOS 하드웨어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지만 람다테스트 통합은 그 간극을 메워 실제 기기에서 애플(Apple)의 사파리 브라우저에 원활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CI/CD 파이프라인과 직접 통합하고, 여러 장치에서 병렬 테스트를 실행하고, 네트워크 로그, 명령 로그, 비디오 녹화와 같은 풍부한 디버깅 아티팩트에 액세스하여 문제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람다테스트의 공동 창립자이자 제품 책임자인 마얀크 볼라(Mayank Bhola)는 “우리는 개발자들이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더 빠르게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이제 실제 iOS 기기에서 플레이라이트 테스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팀은 마침내 모바일 브라우저 자동화의 정확도 격차를 줄이고 모든 사용자에게 언제나 적합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람다테스트는 규모에 맞는 원활하고 실제적인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 최신 릴리스를 통해 팀은 버그를 조기에 발견하고 실제 장치에서 실제 사용자 조건하에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iOS 실제 기기상의 플레이라이트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https://www.lambdatest.com/support/docs/playwright-ios-device/를 방문하면 된다. 람다테스트 소개 람다테스트는 팀이 지능적이고 스마트하게 테스트하고 더 빠르게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성형 AI 기반 품질 엔지니어링 플랫폼이다.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구축된 람다테스트는 1만 개 이상의 실제 장치와 3000개 이상의 브라우저를 갖춘 풀스택 테스트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AI 네이티브 테스트 관리, MCP 서버,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를 갖춘 람다테스트는 셀레니움(Selenium), 앱피움(Appium), 플레이라이트(Playwright) 및 모든 주요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하이퍼엑스큐트(HyperExecute) 및 케인AI(KaneAI)와 같은 AI 에이전트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워크플로에 AI와 클라우드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해 120개 이상의 통합을 통한 원활한 자동화 테스트를 지원한다. 람다테스트 에이전트(LambdaTest Agents)는 테스트 계획 및 작성부터 자동화, 인프라, 실행, RCA 및 보고에 이르기까지 전체 SDLC에 걸쳐 테스트를 가속화한다. 웹사이트: https://lambdatest.com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람다테스트(LambdaTest)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에이수스, 부산에서 게이밍 기어 팝업 행사 진행
에이수스 코리아(오픈플랫폼 비즈니스그룹 지사장, David Fu, 이하 에이수스)는 7월 11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에서 진행되는 키보드 팝업 스토어 행사인 ‘롯키팝’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부산 서면에 위치한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에서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터치플레닛에서 주관하는 키보드 팝업스토어로 9층 엘아레나에서 진행된다. 에이수스는 최근 출시된 ROG Azoth X를 시작으로 △AZOTH EXTREME △Falchion ACE HFX △Falchion LP △ROG STRIX SCOPE X 2 △ROG STRIX SCOPE 96 게이밍 키보드를 전시할 예정으로 행사 현장에서 직접 제품을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다. 주력 전시 모델인 ROG Azoth X는 이전 제품보다 향상된 스위치가 적용됐으며, 부드러운 입력감과 만족스러운 타건음을 주는 ‘ROG NX Snow V2’와 클리키 타입의 뚜렷한 키 사운드를 제공하는 ‘ROG NX Storm V2’ 스위치 중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5층 댐핑 구조 설계로 하울링을 억제했을 뿐만 아니라 2.4GHz / USB-C / Bluetooth 연결로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며, Windows/Mac 지원으로 폭넓은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ROG Azoth 시리즈는 출시 이후 예약 판매마다 매진을 기록한 인기 모델로, 이번 팝업 행사를 통해 보다 수월한 구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Falchion ACE HFX는 프로게이머는 물론, 글로벌 E-Sport팀인 Team Vitality를 유럽 카운터 스트라이크 리그 우승으로 이끈 강력 추천 제품이다. ROG HFX 자석축을 기반으로 FPS 게임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레피드 트리거 기능을 지원하며, 스피드 탭, 8000Hz 폴링레이트를 갖추고 있어 프로게이머의 빠른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5층 댐핑 구조 및 실리콘 개스킷 마운트를 적용해 하울링을 최소화하고, 듀얼 Type-C USB 포트로 2대의 시스템에 연결해 즉각적인 전환 및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팝업 행사에는 구매자 대상 이벤트와 함께 주말 대상 참여형 경품 이벤트를 진행하며, 에이수스의 다양한 게이밍 기어를 직접 만져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즐거운 체험 공간이 되도록 진행될 예정이다. 에이수스 소개 ASUS(에이수스)는 대만에 본사를 둔 글로벌 IT 기업으로, 1989년 설립됐다. 주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전자기기를 제조하며,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노트북, 데스크톱, 모니터, 네트워킹 장비,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서버 등을 생산한다. ASUS는 혁신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ASUS는 게이밍 브랜드인 ‘ROG(Republic of Gamers)’를 통해 고성능 게이밍 하드웨어를 제공하며, 전 세계 게이머들 사이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품질과 성능을 중시하는 ASUS는 다양한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에이수스 홍보대행 티샷 정지은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게이밍 의자 브랜드 DXRacer,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와 파트너십 체결
DXRacer가 2023년 ‘파이널 판타지 XVI’에 이어 2025년에도 스퀘어 에닉스(Square Enix)와 파트너십을 갱신했다. DXRacer와 스퀘어 에닉스는 출시 예정인 ‘게임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Final Fantasy VII Rebirth)’를 위해 맞춤형 게임용 의자 ‘Drifting Series Final Fantasy VII Rebirth Edition’을 개발하기로 공동으로 결정했다. ‘Drifting Series Final Fantasy VII Rebirth Edition’은 여러 적을 한꺼번에 쓰러뜨릴 수 있는 Cloud Strife의 거대한 검과 같은 게임에서 가장 상징적인 요소에서 영감을 받았다. 전문적인 기능성과 세련된 디자인의 이상적인 조합은 더욱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선사한다.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에 대해 스퀘어 에닉스에서 출시될 액션 RPG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는 크게 호평받은 파이널 판타지 (https://www.dxracer.kr/pages/ip-collaborations/ff7) 리메이크 프로젝트의 두 번째 게임으로, 전설적인 RPG를 세 개의 독립형 파트로 재구성했다. 이는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의 기대를 모은 새로운 스토리로, 원작의 상징적인 게임을 원작자가 세 개의 독립형 타이틀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스토리가 전개되는 가운데 다양한 새로운 요소를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은 원작 ‘파이널 판타지 VII’의 ‘잊혀진 수도’로 향하는 파티의 여정으로 마무리된다. 이 게임은 플레이어가 전략적 사고와 스릴 넘치는 액션 전투를 결합할 수 있는 진화된 전투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는 새로 추가된 캐릭터를 포함한 동료들이 함께한다. 또한 이 게임은 플레이어가 초코보를 타고 초원을 질주하고 광활한 환경을 탐험하는 등 새로운 모험을 기대할 수 있는 활기차고 광대한 세계를 특징으로 한다.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의 알려지지 않은 여정은 계속된다. 팬과 신규 유저를 위한 이 독립형 모험에서 클라우드와 그의 동료들은 행성을 가로질러 모험을 떠난다. 이들의 운명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디스토피아 도시인 미드가르 밖으로 나가는 모든 발걸음이 새롭고 신비롭다. 클라우드와 그의 동료들은 타락한 영웅 세피로스를 쫓아 미드가르에서 탈출한다. 이들은 전 세계를 여행하며 행성의 운명을 결정할 여정을 떠난다. ※ 제품 링크 · 게이밍 의자 (https://www.dxracer.kr/collections/gaming-chairs) · 카피바라 (https://www.dxracer.kr/products/gaming-chairs/blade?sku=GC/LBC23LTA/CAPYBARA) DXRacer 소개 게이밍 의자 분야의 선구적 프리미엄 브랜드인 DXRacer는 2006년 세계 최초의 게이밍 의자인 Formula Series를 출시해 게이밍 산업에 획기적인 이정표를 세우고 게이밍 의자의 전설적인 지위를 확립했다. 2013년 DXRacer는 미국 시장에 진출해 미시간에 본사를 설립했다. DXRacer는 MLG, UMG, LPL, LCK와 같은 유명한 게임 토너먼트를 후원하고 Faze Clan, SKT T1, Samsung Galaxy 등과 같은 최고의 e스포츠 조직과 협력해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특히 DXRacer는 Monster Energy, Facebook Gaming, Sony, Razer, Twitch와 같은 유명 브랜드와 협력해 맞춤형 시트를 만들었다. 영향력은 할리우드까지 확대돼 주요 스포츠, 영화, TV 시리즈에 출연함으로써 광범위한 팬층을 사로잡았다. DXRacer는 또한 전 세계적으로 매우 유명한 카피바라와 같은 IP 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원래의 게이밍 의자(Formula Series)부터 현재까지 DXRacer는 20년 이상 게이밍 의자를 연구하고 개발해 왔다. 2024년 DXRacer는 Smart Electric Gaming Chair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진정으로 특별하고 혁신적인 제품으로, 최고의 편안함과 최적의 성능을 위해 이 세상에서 벗어난 무중력 경험을 제공한다. 현재 DXRacer는 200개의 리셀러로 구성된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자랑하며, 1000개의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많은 팔로워를 확보하고 전 세계에 걸쳐 상당한 사용자 기반을 보유한 DXRacer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충성스러운 팔로워를 확보했다. 언론연락처: DXRacer Aurora Cao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NCT 도영 ‘곧장기부’ 통해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대상아동 지원에 1억원 기부 공약 실천
1원도 빠짐없이 전달하는 기부 플랫폼 ‘곧장기부’는 NCT 도영이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대상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1억원을 기부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작년 2월 생일 기념 기부에 이은 두 번째 곧장기부다. 도영은 지난달 두 번째 앨범 ‘Soar’ 컴백 인터뷰에서 음악방송 1위 달성 시 기부를 약속한 바 있다. 이후 도영은 타이틀곡 ‘안녕, 우주(Memory)’로 음악방송 3관왕을 달성했으며, 이번 기부로 팬들과의 약속을 지켰다. 도영은 “시즈니(팬덤 별칭)의 사랑 덕분에 1위라는 소중한 선물을 받고, 기부 공약을 실천할 수 있어 뜻깊고 감사하다”며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들에게 저의 마음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번 앨범의 메시지처럼 자신만의 ‘꿈꾸게 하는 힘’을 찾아 마음껏 펼쳐나가기를 응원한다”고 말했다. 곧장기부는 이번 기부금으로 아동복지시설의 아동·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에게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한 물품 지원 키트를 전달할 예정이다. 보육원 및 그룹홈에 거주하는 아동·청소년과 시설을 퇴소한 자립준비청년에게 식료품, 영양제, 밀키트 등 생필품이 담긴 키트가 제공된다. 곧장기부를 담당하는 고하은 매니저는 “지난번 생일 기부에 이어 곧장기부와 함께해 주셔서 감사하다”며 “도영 님의 따뜻한 응원이 자립준비청년과 보호대상아동들에게 힘이 되도록 빠짐없이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곧장기부는 기부금을 1원도 빠짐없이 기부처에 100% 전달하는 SK행복나눔재단의 기부 플랫폼이다. 기부처마다 필요한 물건을 장바구니에 담으면 기부자가 이를 확인하고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부금 전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기부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곧장기부의 모든 기부금은 장바구니를 결제하는 데에만 사용되며, 그 외의 비용은 SK행복나눔재단이 부담한다. 곧장기부는 2020년 시작된 이래 5년 만에 누적 기부금 40억원을 돌파하며 투명한 기부 문화 확산과 기부자와의 신뢰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SK행복나눔재단 소개 SK행복나눔재단은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 사회공헌 전문 재단이다. 혁신에서 소외된 사회 문제들 속에서 작고 구체적인 문제를 찾아 실험을 거듭하며 최적의 문제 해결 모델을 만들고 있다. 언론연락처: SK행복나눔재단 제소윤 매니저 070-7601-440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동아제약 ‘아일로 애사비 구미’ 출시… CU편의점 입점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이너뷰티 브랜드 아일로(ILO)가 ‘애사비 구미’를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애사비 구미는 사과를 발효시켜 만든 애플 사이다 비니거(Apple Cider Vinegar, 사과초모식초)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젤리 형태로 만든 식품이다. 애플 사이다 비니거는 사과를 인위적인 첨가물 없이 자연 발효해 만든 식초로, 유기산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기산은 과일, 식초, 발효식품에 함유된 활성 성분으로 식초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도 유기산의 함량이다. 최근에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와 저속노화(Slow-ag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혈당 관리와 체중 조절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아일로 애사비 구미는 1 구미 당 사과초모식초 분말을 400mg 이상을 함유했다. 1 포(5구미) 섭취 시 총 2000mg 이상의 애사비를 섭취할 수 있으며, 1포 기준 유기산이 323mg 들어있다. 비옥한 토양과 온화한 기후에서 자란 헝가리산 사과를 전통 생산 방식으로 발효한 애플 사이다 비니거를 사용했으며, 당류와 지방 걱정 없이 사과 농축액을 활용해 풍부한 단맛을 구현했다. 특히 젤리 속에 또 다른 젤리를 넣는 센터 필링 공법을 적용해 쫀득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다. 아일로는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른 애플 사이다 비니거(애사비)를 바탕으로, 당과 지방 걱정 없이 건강한 이너뷰티 습관을 만들 수 있는 제품을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아일로 애사비 구미는 11일부터 전국 CU편의점에서 출시 기념 1+1프로모션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동아제약 공식 온라인몰(:Dmall)과 네이버 스토어,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아일로는 최근 레드벨벳 아이린을 브랜드 모델로 발탁해 ‘진짜 빨간 맛, 아일로’ 라는 슬로건 아래 캠페인을 전개하며, 건강한 이너뷰티 철학을 담은 콘텐츠로 소비자와 소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동아제약 커뮤니케이션실 양이슬 02-920-859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앤더슨 컨설팅, 10가드로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앤더슨 컨설팅이 우크라이나에 본사를 둔 서비스 중심 회사인 10가드(10Guards)와 협력하여 컨설팅 역량을 강화한다. 10가드는 제품(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을 제공하지 않고 광범위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2017년에 설립된 10가드는 규정 준수 감사, 갭 평가, 전략적 자문을 포함한 맞춤형 사이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안 태세를 강화한다. 또한 가상 CISO와 완전한 가상 팀을 통해 아웃소싱 사이버 보안 지원을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위협 탐지 및 대응을 위해 보안 운영 센터를 최적화하며, 웹,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침투 테스트, 소셜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보안 평가와 같은 윤리적 해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10가드의 최고경영자 비탈리 야쿠센프(Vitaliy Yakushev)는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 사이버 회복력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기본”이라며 “우리의 목표는 조직에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진화하는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앤더슨 컨설팅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의 전문 지식을 더 광범위한 글로벌 고객에게 전달하고,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더욱 영향력 있는 성과를 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앤더슨의 글로벌 회장 겸 최고경영자 마크 L. 보르사츠(Mark L. Vorsatz)는 “10가드는 특히 공격적 보안과 사고 후 대응 분야에서 당사의 사이버 보안 역량에 전문성을 더해준다”며 “그들의 실무적인 접근 방식과 복잡한 사이버 위험을 탐색하는 데 있어 입증된 실적은 고객의 디지털 생태계를 보호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당사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들의 추가로 인해 우리는 산업 전반에 걸쳐 탄력적이고 미래에 대비한 보안 전략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더 나은 입지를 확보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앤더슨 컨설팅 (https://global.andersen.com/consulting)은 기업 전략, 사업, 기술, AI 혁신은 물론 인적 자본 솔루션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컨설팅 업체이다. 앤더슨 컨설팅은 앤더슨 글로벌(Andersen Global) (https://global.andersen.com/)의 다차원적 서비스 모델과 통합되어 전 세계적으로 20,000명 이상의 전문가와 회원사 및 협력사를 통해 500개 이상의 지역에 진출해 있는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컨설팅, 세무, 법률, 가치 평가, 글로벌 모빌리티 및 자문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앤더슨 컨설팅 홀딩스(Andersen Consulting Holdings LP)는 유한 책임 합자회사로, 전 세계의 회원사 및 협력사를 통해 컨설팅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앤더슨 컨설팅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대웅제약, 신제품 ‘합쎈’ 와디즈 론칭
최근 여러 영양제를 따로 챙기기보다, 한 번에 담긴 제품을 찾는 흐름이 뚜렷하다. 실제 오메가3, 마그네슘, 비타민B, D, C, 유산균을 한꺼번에 챙기려는 수요가 늘면서, ‘영양제 복합 시대’라는 말이 더는 낯설지 않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기초 건강 관리를 위한 복합 건강기능식품 신제품 ‘합쎈’을 오는 14일 오후 2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Wadiz)를 통해 최초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사전 알림은 지난 1일부터 시작돼 현재 신청이 진행 중이다. ‘영양제 복합 시대’에 맞춰 탄생한 합쎈은 오메가3·마그네슘·비타민B·비타민D·비타민C·유산균 군으로 구성된 ‘오마비디유씨’ 기본 조합에 아스타잔틴을 더해 눈 건강까지 고려한 7-in-2 복합 건강기능식품이다. 소비자들이 지적한 복잡한 섭취 방식과 성분 중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인이 결핍되기 쉬운 7가지 기초 영양을 하루 한 번 2캡슐로 간편하게 제공한다. ‘합쎈’은 △혈행 건강을 위한 rTG 오메가3(EPA 및 DHA 함유) 600mg △근육과 신경 건강에 필요한 마그네슘 157.5mg △활력과 에너지 대사를 위한 고함량 비타민B군 8종 △항산화 작용을 돕는 비타민C 100mg △햇빛 에너지로 알려진 고함량 비타민D 4000IU △장 건강을 위한 유산균 20억 CFU △눈의 피로를 완화하는 아스타잔틴 4mg으로 구성됐으며, 식약처 기준 일일섭취량 100%를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대웅제약은 제품 개발 단계부터 실제 소비자 인터뷰를 통해 섭취 타이밍이 복잡해 자주 놓친다, 성분이 겹쳐 불필요한 중복 섭취가 걱정된다, 무엇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다, 이것저것 챙겨 먹기 번거롭다 등 구체적인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적극 반영했다. 기존에는 성분별로 여러 제품을 구입해 다수의 알약을 따로 섭취해야 했지만 ‘합쎈’은 2캡슐만으로 일상 속 기초 건강을 통합 관리할 수 있어 부담을 줄이고 실용성을 높였다. 기술적인 차별화도 두드러진다. 대웅제약은 이번 제품에 두 가지 핵심 공법을 적용했다. ‘엑스기스(X-GIS)’ 공법은 오메가3 기유 안에 6가지 주요 성분을 안정적으로 담아내는 기술로, 기존 건강기능식품에서 부피를 차지하던 첨가물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복합 성분임에도 불구하고 부피는 줄이고 농축도는 높일 수 있도록 했다. 하루 2캡슐만으로 섭취가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었던 기술적 기반이다. 또한 ‘베어쉴드(BearShield)’ 공법은 위산으로부터 성분을 보호하는 특허 장용성 코팅 기술로, 캡슐이 장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위산에 특히 민감한 유산균 성분도 이 공법을 통해 장까지 생생하게 전달되며, 공복이나 식후 관계없이 섭취할 수 있어 일상 속 섭취 유연성까지 확보했다.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 ‘합쎈’은 1일 기준 약 1330원(1개월 기준 3만9900원)으로, 여러 제품을 따로 구입하는 것보다 경제적인 동시에 복합 영양 관리를 실속 있게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대웅제약 건강기능식품사업부 고성재 팀장은 “합쎈은 실제 사용자의 고민에서 출발한 제품”이라며 “건강관리의 기본이 되는 기초 건강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챙길 수 있도록 기획된 만큼, 이번 론칭을 통해 ‘영양제 복합 시대’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합쎈’은 오는 7월 14일 와디즈 펀딩 페이지를 통해 공식 공개될 예정이며, 얼리버드 혜택, 제품 체험 이벤트 등 출시와 관련한 상세한 정보는 와디즈 공식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안내될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대웅제약 홍보실 조영득 과장 02-2190-692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한살림, 임차농 보호를 위한 소비자-생산자 국회 기자회견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친환경 농지가 2배 이상 늘어나도록 농업정책을 전면 전환하고 안정적인 농지 이용 체계를 구축할 것을 촉구했다. 참여 단체들은 △실경작 임차농 보호 대책의 즉각 마련 △ 친환경농지 장기임차를 위한 ‘농지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의 조속한 통과 △친환경농업 확대를 위한 농지이용 체계 안정화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요구했다. 이들은 7월 11일(금)부터 22일(화)까지 국회와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며, 23일(수)에는 농식품부 앞에서 2차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요구할 예정이다. ‘농지법’·‘조세특례제한법’ 조속한 통과 필요… 친환경 장기 임대차 활성화 취지 이번 기자회견에는 친환경 임차농 보호와 장기 임대차 활성화를 위해 ‘농지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국회의원들이 참석했다. 두 건의 법 개정안은 친환경 농업의 공익성을 인정하고, 임차농이 안정적으로 농지를 빌려 농사짓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불안정한 임차농의 현실을 개선하며, 지속가능한 농업을 도모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은 “친환경 농업은 저탄소, 탄소중립 사회로 가기 위한 길”이라며 “친환경 농민에게 예외적으로 농지를 임차할 수 있도록 농지법을 개정해 공익적 가치와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친환경 농민들이 농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고, 도시민의 건강과 농민의 소득을 함께 지킬 수 있도록 입법과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은 “실제로 경작은 농민이 하고 있지만, 농민이 농지를 떠나야 하거나 친환경 인증을 포기하게 만드는 지금의 법을 반드시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은 “여러 농정의 현안이 많지만, 친환경 임차농의 현실을 보니 답답한 마음이 앞선다”며 “새 정부에서 친환경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농사지을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실경작자의 현실, 친환경 농가 피해 특히 심각… 농지는 국민의 밥상을 지키는 기반 한국친환경농업협회 김상기 회장은 “지금 가장 큰 문제는 임차농이 친환경 농사를 지어도 인증 취소 위협을 받거나 직불금도 받지 못한 채 유령처럼 존재해야 하는 현실”이라며 “이대로라면 친환경 농업을 육성하겠다는 정책은 구호에 그치고 말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기 여주의 김동환 생산자는 “친환경 농업은 1~2년 만에 되는 게 아니라 오랜 시간 토양을 가꾸며 짓는 농사인데, 농사를 지을 만하면 땅을 잃고야 만다”며 “귀농을 꿈꾸던 사람들도 이런 현실에 부딪혀 포기할 수밖에 없는 모습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임차농들은 10년 넘게 토양을 일궈도 지주의 사정으로 임대가 중단되면 계획된 농사마저 무너진다”며 “농민들이 안정적으로 농사지을 수 있는 환경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 서산의 전량배 생산자는 “현행 제도가 농민과 지주 모두를 범법자로 만든다”며 “농지를 소유한 사람은 농사를 짓지 않아도 농민 행세를 하고, 정작 농사를 짓는 임차농은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그는 “농민과 지주 모두가 법을 지키면서도 지속가능한 농업을 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대표로 나선 한살림동서울생협 강말숙 이사장은 “임차농을 법과 제도 밖의 존재로 만드는 것은 농민의 삶을 부정하는 일”이라며 “농사를 지을 땅을 잃고 유령처럼 내몰리는 현실은 결국 농업의 기반을 무너뜨려 소비자도 밥상을 지킬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만든다”고 말했다. 강 이사장은 “농지와 농부를 지켜내는 일이 곧 우리의 밥상과 자연, 생명을 지키는 일이기에 소비자 단체도 지속해서 목소리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농지를 농부에게… 경자유전 실현과 실경작자 보호 대책 촉구 한살림생산자연합회 지완선 회장은 “농지를 경작하고 있지만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한 임차농이 법과 제도 속에서 지워지고 있다”며 “정부가 현실을 외면한 채 제도를 방치하고 있어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신지연 사무총장은 “헌법에 명시된 경자유전의 취지를 현실에 맞게 구현하고, 국가 식량안보를 위해서라도 실경작자 보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두레생협연합회 황홍순 회장은 “수십 년간 흙을 일구며 살아온 농민들의 노력이 유령처럼 사라지지 않도록 정부와 국회는 더 이상 책임을 미루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전국 각지의 소비자와 생산자들이 작성한 메시지를 담은 ‘임차농 희망우체통’이 국회의원들에게 전달됐다. 참석자들은 이 뜨거운 여름날 모인 우리의 뜻이 헛되지 않도록 국회와 정부가 임차농 보호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끝까지 함께 행동하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한살림연합 소개 한살림은 ‘밥상살림·농업살림·지역살림·생명살림’ 가치를 내걸고 도시와 농촌이 더불어 사는 생명 세상을 지향하는 생활협동조합이다. 1986년 한살림농산으로 출발한 이후 꾸준히 생명살림운동을 실천해왔다. 전국 95만여 세대의 소비자 조합원과 2300여 세대의 생산자가 친환경 먹을거리를 직거래하고, 유기농지를 확대하며, 지구 생태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온라인 장보기와 전국 235개 매장에서 유기농 쌀과 친환경 물품을 만날 수 있다. 언론연락처: 한살림연합 홍보기획팀 이선미 02-6715-94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최영식 07-11 10:47
HD현대건설기계, 베트남에 ‘K-건설기계’ 노하우 전수
HD현대건설기계가 베트남 현지 대학과 협력해 건설기계 기술 인재 양성에 나섰다. HD현대건설기계는 최근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직업훈련 전문대학 ‘The Central College of Transport No.1(CCT1)’에서 대학 측과 ‘친환경·스마트 건설기계 인력 양성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금) 밝혔다. 이와 함께 실습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베트남 현지 수요가 높은 22톤급 굴착기 1대를 기증했다. 이번 협약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포용적 비즈니스 프로그램인 ‘IBS-ESG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식에는 HD현대건설기계 AM/PS 담당 김병수 상무와 CCT1 즈엉 테 안(Duong The Anh) 총장을 비롯해 글로벌교육센터, KOICA, 베트남 정부 및 CCT1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MOU를 통해 HD현대건설기계는 향후 5년간 CCT1에 △스마트 건설기계 장비 및 기자재 지원 △교육 커리큘럼 개발 △국제 기능올림픽 참가 지원 △취업박람회 개최 지원 △취약계층 및 지역사회 대상 교육 제공 등 다각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건설기계 분야 학생, 교직원, 정부 관계자 및 현직 기술자 등 500여 명의 인력 양성이 기대된다. CCT1은 교육생 모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강사진의 신기술 교육과 교·강사의 한국 파견을 추진하고, 취업박람회 개최 및 교육생 평가, 우수 인재 선발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HD현대건설기계는 이번 협약으로 친환경·스마트 기술 교육을 위한 인프라와 커리큘럼 개발을 지원하고, 강화되는 배기가스 배출 규제를 충족한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베트남 내 지속 가능한 건설기계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현지 교육 및 산업 기반과의 접점을 넓혀 나가며, 향후 베트남 내 사업 확장과 브랜드 경쟁력 강화까지 함께 도모할 계획이다.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베트남 신규 건설기계 시장은 정부의 도시화 정책으로 인해 연평균 4.35%의 성장률을 기록해 2029년까지 7900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HD현대건설기계는 베트남을 시작으로 추후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주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신규 공공·다자간 프로젝트 발굴에 나설 계획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사업 성장과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HD현대건설기계는 지난 2006년 충북 음성에 글로벌교육센터를 설립해 고도화된 현장 중심 교육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해외 테크니션 초청 교육, 국내 건설기계 정비 신규 인력 양성 과정, 국제 기능올림픽 선수 선발 및 훈련 등을 지속 운영하며, 국내외 건설기계 산업의 고급 인력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HD현대사이트솔루션 커뮤니케이션팀 황영훈 파트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투데이 HOT 이슈
- 위장된 정비공장 부당이득 편취 !!!
- 소비자불만119신문=김용길/기자 사람도 아프면 병원에 가야 하고 차량도 사고가 발생하고 고장이 나면 정비공장에 가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이 기사에 나타나는 1급 정비소는 철 구조 건물 3층과 4층에 있는데 차량 1대씩 운반하는 주차용 승강기를 통해서만 정비공장에 입차 가능하고 타이어가 파손되거나 엔진이 고장 난 차량은 입차를 할 수가 없어서 정비할 수 없다. 견인해 오는 차량은 절대로 공장에 입차를 할 수가 없어 수리가 불가하고 자동차 겉면이 찌그러진 것을 펴거나 하는 작업은 불가하고 도색만 가능하고 철판 판금은 할 수가 없는 것이 아래층이 2층인데 타타대우 고객상담실이 있어서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이 안되는 것이다. 3층 내부에는 도장 부스 사무실 휴게실 설치해 있는데 모두가 불법 건축한 것으로 중구청에 이행강제금을 내고 있으며 이 내용을 알고 있는 인천 중구청 교통 운수과 공무원은 정비소 등록을 2020년 7월부터 현재까지 영업하게 하는 것은 당시의 공무원과 업체와 결탁이 돼 있어 어쩔 수 없는 처지라는 의구심이 드는 것이다. 이" 정비공장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진 출입할 수 있는 통로가 승용차 한 대씩 운반이 되다 보니 내부에 차량이 있다면 모두가 전소하는 피해가 발생한다. 이렇게 취약한 장소에 1급 정비소를 영업하게 하는 것은 공무원 직권 남용이라는 것이다. 인천 중구청은 공장 내부에 불법 건축한 건물있어 화재의 취약한 장소에 1급 정비소 사용을 더이상 영업을 못하게 해야 하는 데 이 문제를 국토교통부에 법적으로 1급 정비소 등록이 문제가 있는지 질의해서 문제가 있다면 행정처분 할 것이라고 하는데 말이 안 되는 것은 정비소 등록은 지자체 소관 업무이고 위 내용으로 솔직하게 질의한다면 답변해줄 기관은 한 곳도 없을 것이다. 이유는 모르는데 인천 중구청은 국토교통부에 3~4층에 정비소가 있어도 되는지의 3번을 질의했으나 답변이 없자 국토교통부가 직무유기 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또다시 법제처에 질의해서 문제가 있다면 행정조치 하겠다고 한다. 이" 기사의 내용은 동력이 없는 차량은 출입이 불가하고 고장 차량은 수리할 수 없고, 운전해서 들어갈 수 있는 승용차도 판금 수리는 불가하고 승용차 도색만 가능하고 견인해 오는 차량은 안 된다. 이런 내용인데 중구청은 국토교통부와 법제처에 어떤 부분을 질의해서 답변을 받아서 행정조치 한다는 것은 속임수로 사기꾼들이나 하는 짓으로 중구청 각성해야 하고 하루빨리 1급 정비소는 폐업처리 돼야 한다.
포토슬라이드1 / 2
뉴스
-
부산 최초 클래식 전용 공연장 '부산콘서트홀' 첫 공개!!
소비자불만119=유인옥/기자] 2.17. 14:00 박형준 시장, 클래식부산 정명훈 예술감독, 클래식부산 박민정 대표, 부산콘서트홀 대공연장에서 기자간담회 개최… '부산콘서트홀 최초 공개'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 기획공연 등 부산콘서트홀의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소개 예정 부산시 클래식부산은 오는 6월 20일 개관하는 부산 최초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인 '부산콘서트홀'과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을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부산콘서트홀'은 부산시 클래식부산이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대공연장(2,011석)과 소공연장(400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적의 클래식 공연을 위한 다양한 설비는 물론, 접근성이 좋은 부산시민공원 내 위치해 개관 이후에는 부산시민들이 '열려있는 공연장'을 자유롭게 누릴 수 있게 된다. 특히, 부산콘서트홀이 개관하게 되면 비수도권 최초의 파이프오르간(파이프 수 4,406개. 스탑 수 62개)*이 설치된 공연장이 될 전망이어서 부산시민들과 음악 애호가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파이프오르간: 파이프오르간은 파이프와 음색버튼(스탑)를 조합하여 오케스트라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음색을 가지고 있어 ‘악기의 제왕’으로 불림 2,011석의 대공연장은 비수도권 최대규모이면서도, 포도밭(빈야드) 형태로 구성돼 시각적인 아름다움도 동시에 추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최적의 음향 구현을 고려한 객석 의자, 앙상블 음향 반사판, 무대 하부 자동화 시스템 등 세세한 부분까지 클래식 공연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성했다. 클래식을 보다 가까이'… 부산콘서트홀 정식 개관을 기념해 6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 진행되는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은 정명훈 초대 예술감독의 지휘 아래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이며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첫 무대(6. 20.)에서는 정명훈 예술감독이 직접 지휘봉을 잡는다. 사야카 쇼지(바이올린), 지안 왕(첼로) 등이 참여하여 베토벤의 대표적인 곡들인 ‘삼중 협주곡’, ‘합창 교향곡’을 선보일 예정이다. 챔버시리즈는 피아니스트 조성진 리사이틀(6. 22.), 선우예권(6. 23.), 정명훈(6. 25.)이 공연한다. 조성진은 베토벤과 브람스의 소나타를 연주하는 피아노 독주 무대를, 선우예권과 정명훈은 APO** 수석 단원들과 함께하는 실내악 연주를 준비한다. APO(Asia Philharmonic Orchestra) : 이번 부산콘서트홀 개관을 위해 세계적인 교향악단에서 활동 중인 아시아 단원들을 섭외하여 구성한 오케스트라 바이올리니스트인 이구데스만과 피아니스트 주형기는 수려한 클래식에 유쾌한 유머를 더한 독특한 공연(6. 22.)을 준비하고 있으며, 오르가니스트 조재혁의 ‘오르간 리사이틀(6. 24.)’에서는 파이프오르간의 풍성한 음향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마지막 공연(6. 27.~6. 28.)으로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 작품인 ‘피델리오’를 준비한다. ‘피델리오’는 불의한 현실에 맞서 정의를 실현하는 대서사시로 부산시립합창단과 국립합창단, 그리고 테너 에릭 커틀러, 소프라노 흐라추히 바센츠, 손지훈 등 국내외 정상급 성악가들이 참여한다.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 티켓 예매는 클래식부산 누리집(classicbusan.busan.go.kr)을 통해 가능하며 티켓 판매는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기타 문의 사항은 클래식부산 공연기획팀(051-640-8822)으로 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2024년) 7월 출범한 '클래식부산'은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 예술감독과 함께 '클래식 문화도시 부산'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클래식부산’은 부산콘서트홀과 부산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예정)를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두 대형 공연장은 향후 지역문화를 대표할 상징물(랜드마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민정 시 클래식부산 대표는 “부산콘서트홀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공연뿐 아니라 자연 속에서 즐겁고 편안하게 음악을 즐기고 배우는 공간이 될 것이다”라며 “또한, 국내외 클래식 음악계에 새로운 장을 펼칠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부산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 예정)와 함께 국내 클래식 음악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부산 콘서트 홀 기자 간담회 콘서트 홀 대 공연장 !!